주간 정덕현

'또 오해영'이 가벼운 로코라는 건 또 오해였던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또 오해영'이 가벼운 로코라는 건 또 오해였던가

D.H.Jung 2016. 6. 8. 08:28
728x90

<또 오해영>, 오해가 풀려도 비극은 끝나지 않는다

 

tvN <또 오해영>이 가벼운 로맨틱 코미디라고 생각했던 건 오해였던가. 그저 발랄하게만 느껴졌던 <또 오해영>에게서 진중한 비극의 냄새가 난다. 그것은 어쩔 수 없는 가녀린 존재로서의 인간의 운명이 그려내는 고통 같은 것이 배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오해영(사진출처:tvN)'

가벼운 로맨틱 코미디라면 분명한 악역이 존재해야하는 게 맞다. 하지만 <또 오해영>에는 악역이 잘 보이지 않는다. 물론 그냥 오해영(서현진)과 늘 비교되는 존재로 그녀를 괴롭게 만든 예쁜 오해영(전혜빈, 이하 전해영)이 있긴 하다. 하지만 전해영은 악역이라기보다는 밉상에 가깝다.

 

그녀는 이른바 예쁜 척 하는그런 캐릭터로 보인다. 가만있어도 남자들이 모여들고 늘 주목받는 존재이며, 사회생활에서도 부족함 없이 잘 나가는 인물이다. 이런 존재는 드라마 여자 캐릭터로서는 밉상으로 그려지기 마련이다. 어딘지 자기중심적인 캐릭터인데다 드라마 시청자들의 마음을 빼앗는 남자주인공을 현혹(?)시키는 존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전혜영은 도경(에릭)이 오해영의 남자친구였던 태진(이재윤)을 파산시킨 것을 그가 자신을 사랑했다는 증거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이 대목은 그녀가 얼마나 자기중심적인가를 드러내는 장면이다. 그래도 오해영에게 친구라고 늘 밝은 얼굴로 다가가곤 했던 그녀가 아닌가. 하지만 그녀와 도경의 불행을 알면서도 전혜영은 자신의 입장만을 드러낸다.

 

그래서 밉상이지만 그렇다고 전혜영이 악의를 가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녀 역시 겉으로는 늘 밝은 표정을 짓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아픔이 있기 때문이다. 도경의 어머니의 노골적인 반대는 전혜영이 도경과의 결혼을 포기하게 된 이유가 되었다. 게다가 그녀는 자신을 살갑게 챙겨주는 가족이 없다.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았지만 그래도 아버지라고 있는 장회장(강남길)은 도경의 엄마와 사귀면서 전혜영에게 더 이상 보지 말자고 말한다. 또한 도경과 가까이 지내지 말라고도. 전혜영 역시 의지할 데 없는 인물이라는 것이다.

 

<또 오해영>의 갈등이 선명한 악역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이 드라마가 궁극적으로 하려는 이야기인 오해에서 비롯되는 것이란 점은 이 드라마를 그저 가벼운 로맨틱 코미디로 바라보게 하지 않는다. 제목과 인물의 이름이 말해주고 있는 것처럼 이 드라마는 오해가 얼마나 인간을 비극으로 몰아가는가를 담고 있다. 거기에서 느껴지는 건 운명 앞에 스러지는 인간들에 대한 연민과 동정이다.

 

전혜영이 결혼식 당일 나타나지 않은 것에 대해 도경은 깊은 오해를 했고 분노했다. 그래서 전혜영이 새로 사귄다는 남자 이야기를 듣고 그 남자를 파산시켰다. 하지만 그건 오해였다. 그 남자, 태진은 전혜영의 남자가 아니라 오해영의 남자였던 것. 그래서 태진 역시 결혼식 전날 오해영에게 사실을 알리지 않은 채 파혼 선언을 하고 구치소에 들어간다.

 

오해영은 태진이 자신을 사랑하지 않았다고 절망했지만 그것 역시 오해. 그녀 앞에 다시 나타난 도경은 자신이 저지른 원죄 때문에 오해영에 대한 연민과 동정의 마음에서부터 시작해 점점 사랑이 싹텄지만 나중에 이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오해영은 도경의 접근을 의도적인 것으로 오해한다. 그 사실을 알게 된 태진 역시 그렇게 오해하지만 그것이 결국은 똑같은 이름 때문에 생겨난 오해라는 걸 그도 오해영도 알게 된다.

 

이렇게 모든 것이 오해로부터 시작되었고 그래서 오해영도 전혜영도 또 도경도 태진도 비극적인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안타까운 건 이 비극적 상황이 오해가 풀린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것은 오해로 시작되었다고 해도 그 과정에 보였던 많은 행동들이 그 진심을 의심받게 되었기 때문이다. 오해영은 여전히 도경이 자신에게 다가온 이유의 발단이 전혜영을 그토록 사랑했고 그래서 미워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은 전혜영의 생각도 마찬가지다. 도경과 태진은 어쩌다 이 오해로 빚어진 사건의 가해자이자 피해자가 되어버렸다.

 

이처럼 악역이 존재한다기보다는 인간이 어쩔 수 없는 운명이나 한계 앞에서 비극을 겪게 된다는 점에서 <또 오해영>이 보여주는 갈등은 훨씬 근원적인 면이 있다. 마치 그리스 비극의 주인공들처럼 인물들은 그 작은 오해로도 삶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존재로서 고통 받는다. 그걸 전지적 시점에서 바라보는 시청자들은 연민과 동정을 느끼게 될 수밖에 없다. 이것은 <또 오해영>이 그리스 비극이 가진 힘을 닮은 구석이다.

 

그저 작은 로맨틱 코미디로 시작했던 <또 오해영>은 그래서 이제 인간의 운명을 슬쩍 들여다보는 비극의 틀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고 보면 이 드라마를 그저 달달한 남녀 관계를 다루는 가벼운 로맨틱 코미디로만 치부했던 것 역시 오해가 아니었나 싶다. 물론 그렇다고 이 드라마가 비극적 결말로 치닫는 걸 바라는 건 아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