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별 것도 없는 '삼시세끼', 어째서 우리는 매료됐을까 본문

옛글들/명랑TV

별 것도 없는 '삼시세끼', 어째서 우리는 매료됐을까

D.H.Jung 2016. 9. 4. 08:58
728x90

<삼시세끼>, 그들이 보여준 것은 일상의 특별함이다

 

이제 <삼시세끼>는 시즌 종료를 앞두고 있다. 출연자들은 입을 모아 이것도 마지막이구나라는 말을 한다. 모내기 했던 벼가 어느새 익어가고, 폭염으로 뜨거웠던 여름이 이제는 선선한 바람이 느껴지는 계절의 변화를 보여주는 고창에서 그들은 마치 마지막을 보내는 사람들처럼 시내에 나가 짜장면 한 그릇의 호사를 부리고 구시포 해수욕장에서 빙수를 먹는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그렇게 하릴없이 동네를 돌아다니다 세끼집으로 돌아와서는 읍내에서 사온 고등어로 저녁을 준비한다. 세끼집에서의 일상도 특별할 것이 없다. 이미 시청자들은 여러 번 봐서 익숙할만한 풍경들이 반복된다. 오리집을 하루 종일 뱅뱅 도는 유해진의 반려견 겨울이는 그 날도 그것을 반복하고 그러다 새까맣게 흙투성이가 되자 유해진은 물로 겨울이를 씻겨준다.

 

그토록 빠져들었던 탁구가 시들해지자 야구 캐치볼을 하는 풍경은 <삼시세끼>의 한가로움을 잘 드러낸다. 마치 <개그콘서트>의 오성과 한음 코너를 보는 듯한 여유로움. 중학시절 야구선수였다는 차승원의 너무나 익숙한 캐치볼과 타격에 맞춰 마치 연습을 하듯 기이한 소리를 내며 나이스 캐치를 하는 유해진의 즐거운 한 때는 사실 특별할 것 없는 하루 속에서 오히려 대단한 즐거움처럼 느껴진다.

 

그리고 어스름해지기 시작할 무렵 차승원은 일찌감치 묵은지 고등어조림을 시작해 오래도록 푹 익혀놓고 어묵 김치찌개를 만들어 저녁상으로 내놓는다. 그리고 맛있게 먹고는 늘 그랬다는 듯 문학모임을 빙자한 술 한 잔을 마시며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눈다. 그렇게 그들은 하루를 보낸다.

 

다음날도 역시 특별할 것 없는 한가한 하루가 시작된다. 갈비를 닮은 구름을 보고는 유해진이 오늘은 갈비를 먹어야겠는 걸.”하고 말하고, 그 말이 씨가 되어 저녁 갈비찜을 위해 한낮의 노동을 해야 하는 일이 벌어진다. 노동이 우선인 것 같지만 그건 오로지 목적이 갈비찜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이 일은 생계와는 무관한 일종의 놀이가 된다.

 

<삼시세끼>는 어느덧 사건이라는 것이 전혀 벌어지지 않는 그 한가로움이 특징인 프로그램이 되었다. 이미 시청자들은 이 세계가 익숙해졌고 그리고 그 익숙한 세계를 즐기고 있는 듯 하다. 사실 이렇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는 프로그램이 케이블 채널에서 10% 시청률을 넘긴다는 건 놀라운 일이다.

 

물론 나영석 PD<삼시세끼>라는 막강한 브랜드가 이미 만들어졌지만 그 브랜드에 의한 관성이라고만 보기는 어려운 현상이다. 오히려 <삼시세끼>의 이 하릴없는 정경을 지금의 시청자들이 즐기고 있다고 보인다. 별 것도 없기 때문에 오히려 즐기는 상황. 별 일이 매번 벌어지고 그것이 엄청난 스트레스로 다가오기도 하는 도시인들에게는 이런 익숙함과 편안함이 어떤 힐링으로도 다가올 수 있다는 얘기다.

 

사실 그 누가 한가로움을 예능의 재미 요소로 끌어들이는 과감한 시도를 할 수 있었을까. 예능이라고 하면 무언가 굉장한 재미를 끝없이 이어 붙여야 하는 듯한 강박이 존재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삼시세끼>는 그 반대의 길을 걸었다. 그래서 굉장한 재미는 아니지만 보통의 별 일 없는 일상을 가만히 들여다보는 그 한가로움의 맛이 또 다른 재미라는 걸 느끼게 해주고 있다. 별 것이 없기 때문에 매료되는 세계라니. 우리 현실이 얼마나 복잡한 지를 에둘러 말해주는 프로그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