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위기엔 상식과 초심으로, '1박'의 위기관리 대처법 본문

옛글들/명랑TV

위기엔 상식과 초심으로, '1박'의 위기관리 대처법

D.H.Jung 2016. 10. 18. 10:11
728x90

<1>, 세종특집이 보여준 상식과 초심의 힘

 

정준영 하차가 <12>에는 어떤 위기감을 줬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정준영이 <12>에서 보여준 존재감이 어느 정도였던가를 차치하고라도, 늘 여섯 명이 동고동락하며 합을 맞춰오던 그 균형이 깨진 건 분명한 사실이니 말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준영 없이 새롭게 시작한 <12>대왕세종 특집은 이런 위기감 자체를 한 방에 일소시키는 힘을 발휘했다.

 

'1박2일(사진출처:KBS)'

시청률은 되레 상승했고 시청자들의 반응 역시 호의적이었다. 법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던 정준영 하차가 과연 적절 했는가 아닌가에 대한 판단과는 별개로, <12>이 발 빠르게 내린 결정은 결과적으로는 잘 한 선택이 되었다. 사실 법적인 결과보다 더 중요한 건 시청자들이 느끼는 정서적인 반응들이다. 시청자들은 <12>이 온 가족이 둘러앉아 보는 프로그램으로서 이번 정준영 사안이 어쨌든 가져오게 될 부정적 이미지를 이 프로그램이 떠안는 걸 원치 않았다.

 

물론 쉬운 결정은 아니었겠지만 <12>은 지극히 상식적인 결정을 내렸다. 정준영은 하차했고 다섯 멤버들로 한글날을 기념해 대왕세종 특집을 찍었다. 물론 그 난 자리에 대한 아쉬움의 소회가 없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출연자들은 그 동생에 대한 그리움의 마음을 털어놓기도 했다. 김준호가 한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얘기했듯이 그 동생이 빠진 자리에서 웃기는 일은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다.

 

흥미롭게도 대왕세종 특집은 지극히 <12>다운 기획으로 채워졌다. <12>KBS라는 공영방송에 가장 어울리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그러니 예능 특유의 재미를 담보하면서도 동시에 공영성을 가진 의미를 포착해내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초심이라고 할 수 있다. 갖가지 복불복을 통한 웃음을 주면서 동시에 그 여행지가 가진 의미나 가치를 되새기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여주에서 벌어진 복불복 게임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게임으로 얻어내 그 조합을 통해 음식을 주문해 먹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이 게임은 그래서 자연스럽게 한글이 얼마나 대단한 발명인가를 드러내주었다. 게임에서 별로 이기지 못해 몇 개 안되는 자음 모음을 얻어낸 김준호와 김종민은 그러나 그 조합만으로도 충분히 한 끼를 주문할 수 있는 음식의 글자들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또한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던 세종의 면면을 상기하며 덕수궁에서 펼쳐진 저녁 복불복 행차 음악 만들기 역시 재미와 의미를 모두 잡아낸 기획이었다. 이들을 돕기 위해 특별 게스트로 출연한 국악계의 김연아라 불리는 판소리꾼 김나니와 쑥대머리의 작곡자인 오철은 그 짧은 복불복 미션 속에서도 우리네 국악이 가진 흥취를 제대로 느끼게 해주었다. 물론 이 행차음악에 맞춰 큰 웃음을 만들어내는 출연자들의 우스꽝스런 행차는 이 의미에 재미를 더하게 해주었다.

 

결국 위기를 대처하는 방식은 상식초심이라는 걸 이번 <12>대왕세종 특집을 통해 보여줬다. 물론 본인들은 아쉽고 힘든 결정이었겠지만 시청자들 입장에서 <12>은 상식적인 결정을 내렸고, 또한 그 빈자리를 느끼면서 방송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았을 테지만 출연자나 제작진들은 초심으로 돌아가 재미와 의미를 모두 포착하려는 노력을 버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