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지켜주고픈 복실, '쇼핑왕 루이' 반전의 비결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지켜주고픈 복실, '쇼핑왕 루이' 반전의 비결

D.H.Jung 2016. 11. 4. 10:09
728x90

상실의 시대, <쇼핑왕 루이>가 주는 위로란

 

지켜주고 싶다. MBC 수목드라마 <쇼핑왕 루이>의 복실(남지현)을 볼 때마다 떠오르는 생각이다. 그녀는 현실에선 존재하지 않는 순수함 그 자체다. 산골에서 할머니와 남동생 그렇게 셋이 오순도순 살아왔던 만큼 세상의 때가 하나도 묻지 않은 인물.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남동생 복남(류의현)마저 가출하자 그녀는 동생을 찾기 위해 상경한다. 순수하기 그지없는 복실에게 각박한 서울 살이는 모험이다.

 

'쇼핑왕 루이(사진출처:MBC)'

그런 그녀 앞에 사고로 과거의 모든 기억을 잃어버린 루이(서인국)가 나타난다. 길거리 노숙자가 되어 살아가는 루이를 복실은 단지 동생과 비슷한 옷을 입었다는 것만으로 거둬 먹인다. 그녀가 그렇게까지 하는 이유는 기억이 돌아와 동생을 찾을 수 있으리라는 희망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저 그 루이의 처지를 지나칠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낯선 타지에 의지할 사람 하나 없는 두 사람은 그렇게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낸다.

 

<쇼핑왕 루이>의 이야기 구조는 마치 동화 같다. 산골에서 살던 집을 떠나와 모험을 떠나는 복실의 이야기가 그렇고, 역시 온실 속 화초처럼 자라온 루이가 사고로 기억을 잃은 채 그녀를 만나 그려가는 이야기가 그렇다. 이 동화 같은 이야기는 그래서 그 발랄한 흐름만 봐도 대충의 결론을 예측할 수 있다. 결국 복실은 동생을 찾는 것이고 루이는 기억을 찾고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며 두 사람의 사랑은 이뤄지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쇼핑왕 루이>는 예측대로의 결말을 향해가고 있다. 이 특별히 새롭다고도 할 수 없고 그렇다고 진부하지도 않은 이야기가 초반의 부진을 털어내고 점점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하더니 후반부에 이르러서는 놀라운 반전의 힘을 보여준 까닭은 무엇일까. 그 시작은 멍뭉이로까지 불리던 루이라는 캐릭터의 순수함이 가진 판타지가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 끌었기 때문이지만, 이제 결말에 가까워지면서 새삼 느껴지는 건 복실이라는 캐릭터가 주는 위로가 만만찮다는 점이다.

 

프랑스로 돌아간다며 복실에게 보낸 루이의 기억 노트에는 그간 그가 그녀와 함께 지내며 했던 추억들이 단어들로 빼곡하게 적혀 있다. ‘복실, 토스트, 막심골드, 부산, 500, 장미, 컵라면, 설거지, 버스정류장, 천둥번개, 우산, 운동화, 파마.’ 그 단어 하나하나들은 루이의 기억 속에 각인된 복실과의 추억들이 묻어난다. 갈 곳 없던 그를 보살펴주고 챙겨줬던 복실에게 느꼈을 루이의 고마움이란. 루이는 어색한 글씨로 그녀에 대한 마음을 남긴다. ‘안녕. 복실 머해? 잘 지내? 보고 싶다. 가치 라면 먹고 시퍼. 밥 먹자. 미아내. 내가 마니 미안해. 내가 마니 고마워. 내가 많이 좋아해. 내가 많이 보고싶어. 복실... 이젠 정말 안녕.’

 

그 어떤 물적 보상으로도 채워주지 못할 고마움을 루이는 그 노트의 글자들로 대신한다. <쇼핑왕 루이>라는 이 드라마의 제목이 드러내듯, 물건을 파는 사람과 물건을 사는 사람으로 나뉜 세상이지만, 루이와 복실은 그것을 뛰어넘어 마음과 마음이 서로에게 이어진 소중한 존재들로 자리 잡는다. 이 부분은 요즘 같은 상실의 시대에 특히 우리들의 마음을 울리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그토록 찾았던 복남이 루이 대신 죽었다고 믿게 된 그녀가 모든 걸 잃게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면서 시청자들의 복실을 지켜주고픈 마음은 그래서 더 간절해진다. 결국 복남은 죽지 않았고 그런 복남을 찾아낸 루이가 차중원(윤상현)과 김호준(엄효섭), 허정란(김선영) 그리고 조인성(오대환)과 남준혁(강지섭) 등을 모두 동원해 그녀를 위한 깜짝 서프라이즈 만남을 준비하는 일이 엉뚱하면서도 유쾌할 수 있었던 건 바로 이 시청자들의 복실을 지키고픈 마음 역시 거기에 공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믿었던 최소한의 것들까지 무너져 내리고 있는 시국이다. 상실감을 느끼는 건 당연하다. 심지어 흘러나오는 순실의 시대라는 말 속에는 그 상실감이 자리해 있다. 그래서일까. 마치 동화 속 이야기처럼 순수함을 끝까지 지켜내고 부자든 거지든 상관없이 보듬어주는 복실이라는 인물이 주는 위로는 더 크게 다가온다. 우리에게 그녀 같은 청춘들이 그 순수함을 끝까지 지켜낼 수 있는 복실의 시대는 요원하기만 한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