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김수현과 이병훈, 거장들은 왜 박수 받지 못했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김수현과 이병훈, 거장들은 왜 박수 받지 못했나

D.H.Jung 2016. 11. 8. 09:57
728x90

자기복제의 덫, 달라진 시대와 소통하지 못했다

 

51부작 MBC <옥중화>가 종영했다. 최고 시청률 22.6%. 지상파 드라마의 평균적인 시청률과 비교하면 나름 선전했다 평가할 수 있지만, 동시간대의 MBC 주말드라마가 이미 20%를 상회하는 시청률을 갖고 있었고 <내 딸 금사월> 같은 드라마는 34.9%의 최고시청률을 기록했다는 걸 염두에 두고 보면 좋은 성적이라 말하기 어렵다. 현대극과 사극은 극성이 다를 수밖에 없고, 게다가 <옥중화>는 우리가 이른바 거장이라고 부르는 이병훈 감독의 사극이 아닌가.

 

'옥중화(사진출처:MBC)'

물론 누구나 알다시피 시청률은 평가기준이 되기 어렵다. <내 딸 금사월>이 제 아무리 30%를 넘는 시청률을 가져갔다고 해도 이 시간대의 MBC 주말드라마가 막장드라마오명을 갖고 있었던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애초에 <옥중화>는 그래서 이런 이미지를 상당 부분 털어낼 수 있는 작품으로 기획됐고 그 기대감도 높았다. 하지만 결과는 정반대가 되었다. 심지어 막장 사극이라는 오명까지 갖게 됐으니 말이다. 그러면서도 시청률이 20%대라는 건 성적에서도 완성도에서도 모두 실패했다는 걸 의미한다.

 

<허준>, <상도>, <대장금> 같은 이른바 퓨전 사극의 기틀을 만들었고, <이산>, <동이>, <마의> 같은 작품들을 연달아 내놓으며 MBC 사극의 브랜드를 확고히 해온 이병훈 감독. 하지만 어째서 이번 <옥중화>는 이런 혹평을 받으며 종영하게 됐을까. 애초에 전옥서라는 배경을 다룬다는 점에서 이 사극은 당대의 어려운 민초들의 영웅담이 되지 않을까 기대하게 했다. 하지만 주인공인 옥녀(진세연) 캐릭터가 전옥서 다모에서 체탐인으로 변화하면서 이야기는 엉뚱하게 튀었다. 갖가지 직업을 소화해내고 그러면서도 모든 걸 다 잘하는 전지전능한 캐릭터. 후에는 명종(서하준)까지 의지하는 비선실세가 된다는 캐릭터는 현실성을 잃어버리며 공감대를 확보하지 못했다.

 

하지만 <옥중화>가 가진 가장 큰 약점은 이미 그토록 많이 해왔던 이병훈 감독의 작품들에서 요소요소들을 가져온 자기복제로 지목되었다. <대장금>의 틀을 그대로 가져온 듯한 여성 캐릭터의 미션-해결-성장 구조는 물론 지금도 매력적인 이야기 틀이지만, <옥중화>는 거기에 새로움을 덧붙이는 데는 실패했다. 물론 이것은 이병훈 감독의 문제라기보다는 그와 <허준> 시절부터 함께 작업을 했었던 최완규 작가의 안일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빛과 그림자>로 재주목을 받았던 최완규 작가지만 이번 작품은 그 답지 않게 너무 졸작이었다. 하지만 이병훈 감독이 지금껏 작품을 해오며 사실상 작가들을 리드해왔다는 걸 생각해보면 이번 <옥중화>의 패인에서 그의 책임을 피하기는 어렵다.

 

최근 들어 드라마의 성패를 가름하는 것이 더 많은 의견들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데 있다는 이야기가 드라마 제작자들 사이에서 나온다. 이제 작품은 한 천재와 거장이 홀로 만들어낸 세계로는 많은 대중들의 다양한 취향들을 반영하기 힘들게 됐다는 것이다. 김수현 작가가 쓴 지난 SBS <그래 그런거야>가 실패한 이유도 작품이 나빴다기보다는 달라진 시대와 소통하지 못한 결과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물론 거기에도 가장 근본적인 문제로 지목됐던 건 자기복제였지만.

 

이병훈 감독이나 김수현 작가 같은 이들을 우리는 거장이라 부른다. 오랜 세월동안 작품을 해오며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어 이른바 일가를 이뤘다고 말해도 무방한 그들이다. 하지만 확실히 시대는 바뀌었다.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건 좋은 일이지만 그것이 자칫 지금 시대와의 소통에 실패하게 되면 그건 독선이 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그 자기만의 세계가 갖고 있는 노하우는 자칫 자기복제의 유혹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거장들이 최근 박수 받지 못하게 된 건 그래서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그 자기의 세계가 너무나 확고하기 때문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