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썰전'의 진가 보인 담화문 vs 유시민의 통역 본문

옛글들/명랑TV

'썰전'의 진가 보인 담화문 vs 유시민의 통역

D.H.Jung 2016. 12. 3. 10:49
728x90

<썰전>, 유시민이 썰어 낸 담화문의 실체

 

JTBC <썰전>은 마치 논술시험 풀이 해제를 보는 것만 같았다. 문제는 청와대가 내놓았고 그 해체는 유시민이 했다. 대통령의 3차 담화문의 내용이 워낙 애매모호하고 정교한 정치적 의도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액면 그대로의 표현과 그 이면에 담긴 진짜 내용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마치 배배 꼬아놓은 문제처럼 내놓은 담화문을 유시민은 명쾌하게 풀어냈다.

 

'썰전(사진출처:JTBC)'

통역을 전체를 하면 앞부분 절반 정도는 딱 요약하면 이거예요. 나는 애국자야. 그리고 나 결백해. 나 먹은 게 없어. 아래 것들이 다 먹었어. 그거 관리 못한 게 내 유일한 잘못이야. 이게 앞부분이고요. 뒷부분은요. 제가 통역을 하면 이렇게 되요. 내가 잘못 없는데 자꾸 시끄럽게 나가라고 그러니까 나 결심했어. 국회에서 합법적인 절차와 일정을 만들어주면 받아들일게. 하야는 없어. 가로열고 너네 합의 못할걸? 괄호 닫고. 맨 뒤에 하나 생략한 거는 내가 이렇게 나올 걸 몰랐지? 메롱.”

 

물론 이건 <썰전>이 취하고 있는 예능의 방식이다. 그래서 다소 표현이 거칠게 되어 있지만, 바로 그런 직설적인 표현들 덕분에 짐짓 교양의 폼을 잡고 있는 담화문의 뒷면에 숨겨져 있는 실체들이 보다 쉽게 풀이된다. 그것은 유시민이 <썰전>이라는 프로그램의 형식에 힘입어 대중들의 목소리로 해제를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시민은 담화문의 골자를 그렇게 간단히 요약한 다음, 이 담화문에 담겨진 박근혜 대통령의 자의식, 법의식, 그리고 정치의식을 들여다본다. “앞부분을 보면 대통령의 자의식이 보이는데요, 이런 대목이에요. ‘정치 시작했을 때부터 오늘 이 순간까지 오로지 국가와 국민을 위하는 마음으로 모든 노력을 다 해왔습니다. 단 한 순간도 저의 사익을 추구하지 않았고 작은 사심도 품지 않고 살아왔습니다.’ 이거는 박근혜 대통령이 정직하게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을 밝힌 거예요. 지독한 나르시시즘이고요. 그리고 확신이에요. 나는 애국자라는 확신이요. 이게 사실이든 아니든 대통령 자신은 자기 자신을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거예요.”

 

그리고 두 번째로 담화문에 담겨진 지금 벌어진 여러 문제들 역시 저로서는 국가를 위한 공적인 사업이라고 믿고 추진했던 일들이었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개인적 이익도 취하지 않았습니다.’라는 대목에서 유시민은 박근혜 대통령의 법의식을 들여다본다.

이 얘기는 우리 법은 국가보안법만 제외하고는 모든 형법이 행위를 처벌하는 거에요. 생각과 의도를 처벌하는 게 아니고. 범죄의 의도가 없어도 범죄의 행위를 저지르면 처벌받는 거에요. 그러면 박근혜 대통령이 자기가 한 일에 대해서 이 일이 법에 어긋 나냐 안 어긋 나냐를 생각하는 게 아니고 내가 범죄를 저지를 의도가 없었다는 사실만을 눈여겨보는 거예요. 저는 박근혜 대통령이 그런 의식이 없었다고 봐요. 범죄를 저지르겠다는 의지, 고의 또는 자신이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는 인식이 없었으리라고 봐요. 이 일을 할 때. 그리고 본인은 확신하고 있는 거예요. 그래서 억울해요. 박근혜 대통령은 무지무지 억울해요 지금. 이거는 되게 무지한 거거든요. 사실은. 법에 대해 인간에 대해서 무지한 거예요.”

 

그리고 이번 담화문의 가장 논란이 큰 정치에 대한 의식을 보여주는 대목을 통역한다. “제 대통령직 임기단축. 사임이 아니에요. 임기단축을 포함한 진퇴문제. 퇴진문제가 아니고 진퇴문제에요. 나아갈 진 물러날 퇴. 이거를 국회의 결정에 맡기겠습니다. ‘여야 정치권이 논의하여 국정의 혼란과 공백을 최소화하고 안정되게 정권을 이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 주시면 그 일정과 법 절차에 따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습니다.’ 이렇게 표현되어 있어서 물러나겠다는 뜻으로 해석을 해요 자꾸 사람들이. 임기단축이란 표현을 쓴 거는 하야할 뜻이 없다는 의미에요. 두 번째로 퇴진이라는 단어를 안 쓰고 진퇴를 쓴 거는 그냥 있을 수도 있다는 뜻이에요. 제가 해석하기에는. 그리고 자기가 물러나는 것이 아니고 정권을 이양하는 거예요. 내가 하야하고 탄핵 당해서 쫓겨나는 게 아니고 내가 정권을 이양하는 거예요.”

 

말과 말의 부딪침은 마치 무사들이 휘두르는 칼날처럼 날카롭고 정교하다. 이번 담화문에 대해서 전원책 변호사는 듣자마자 똑똑한 사람들이 붙었구나했다고 말했다. 그만큼 담화문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만들어낸 후폭풍은 컸다. 하지만 그것을 조목조목 썰어서 풀이하고 통역해내는 유시민은 그들을 똑똑한 바보들이라고 지칭했다. 그것은 이번 사안이 정치권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국민 여론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야당을 스톱시키는 건 이 카드로 가능하겠지만 국민들을 스톱시킬 수는 없어요.”

 

대통령의 3차 담화문을 풀어낸 유시민의 통역은 <썰전>이라는 프로그램 제목 그대로의 느낌으로 다가온다. 다소 예능적인 표현으로서의 썰전이지만 그건 아마도 권력자의 말 한 마디는 무기 같은 것이라는 전제가 담긴 의미가 깔려 있다. 그 칼날에 유시민의 통역이 맞서고 있는 듯한 장면들. <썰전>이 그 진가를 발휘 하는 순간이다. 유시민은 이렇게 조각조각 썰어 담화문의 실체를 드러내놓고 국민적 분노의 에너지가 빠져나갈 구멍이 사라질 때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가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지금 우리 사회가 압력솥이에요. 정치적으로 볼 때 압력솥이라서 밑에서 계속 김이 올라와요. 뚜껑을 어딘가에 따야 이게 빠질 거 아니에요? 아니면 폭발하니까. 빠질 수 있는 데가 대통령의 자진 하야. 이것도 하나의 통로고. 또 하나는 국회의 탄핵. 이것도 제도를 통해서 김을 배출시키는 거란 말이에요. 이 에너지를. 근데 이 두 개가 다 안 되고 구멍이 다 막히게 되면. 에너지가 식어버리면 모르겠는데 김이 계속해서 올라오게 되면 그 솥은 어떻게 될 거냐? 이 점이 저는 불안하게 느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