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이하나의 '보이스', 이 미친 몰입감은 어디서 생겨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이하나의 '보이스', 이 미친 몰입감은 어디서 생겨날까

D.H.Jung 2017. 1. 17. 09:32
728x90

<보이스>가 형사물에 골든타임을 덧붙인 까닭

 

즉석사진도 경찰과 응급환자들을 위한 비상출동 시간도 세계 어느 곳이든 3분이다. 왜냐하면 3분은 한 사람의 인생에서 기적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시간이기 때문이다.’ <3분력>의 저자인 타카이 노부오의 문구는 왜 OCN <보이스>에 들어가게 된 걸까. 마치 tvN <시그널>을 연상시키는 형사물의 색채를 깔고 들어온 <보이스>는 거기에 골든타임이라는 콘셉트를 장착했다.

 

'보이스(사진출처:OCN)'

<시그널>이 과거와 현재를 잇는 무전기라는 판타지를 활용해서까지 미제사건을 해결하려는 그 간절함을 형사물에 담아냈다면, <보이스>는 누군가에게는 생과 사를 오가는 몇 분이 될 수 있는 사건 후 몇 분 간의 골든타임에 대한 절박함을 형사물에 녹여낸다. 그 시간은 단지 몇 분에서 몇 십 분에 불과할 수 있지만 그 시간에 대한 몰입이 그 어떤 작품들보다 강하게 다가오는 건 골든타임이라는 장치를 달았기 때문이다.

 

사건이 발생하고 112 콜센터에 피해자의 전화가 울린다. 그 전화 저편에서는 살려주세요라는 피해자의 간절한 목소리가 울려 펴지고 강권주(이하나) 센터장은 피해자와 지속적으로 통화하며 그들을 구하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불의의 사고로 눈을 다친 후 남다른 청각을 소유하게 된 그녀는 작은 소리까지도 듣고는 피해자의 상황들을 추리해낸다. 그리고 그녀의 지시에 따라 현장에 투입된 무진혁(장혁)은 온 몸으로 부딪쳐 골든타임에 몰려 있는 피해자를 가해자들로부터 구해낸다.

 

물론 우리가 흔히 많이 봐왔던 연쇄살인범들이 등장하는 스릴러물의 장면들처럼 보이지만 <보이스>는 여기에 현실적 공감대들을 더 얹어 놓는다.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적인 트라우마가 되어 있는 골든타임에 대한 절박함이 그것이다. 전화기 저편에서 들려오는 살려주세요라는 말은 그래서 더 절절하게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몰입시킨다. 어떻게든 그 절박한 골든타임을 넘기지 않고 그들을 구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얹어지면서 <보이스>는 흔한 스릴러물 이상의 미친 몰입감을 만들어낸다.

 

이 일련의 골든타임을 요구하는 사건들을 해결해가는 강권주와 무진혁이 모두 과거의 트라우마로 엮여 있는 이야기 구조는 현실에서 트라우마를 갖게 된 시청자들을 심적 공감대로 연결시켜 놓았다. 3년 전 무진혁의 아내가 무참하게 살해당했고 마침 당시 콜센터에서 일하던 강권주는 검찰 측이 내놓은 범인이 목소리가 다르다는 이유로 진범이 아니라는 증언을 내놨다. 결국 당시의 진범은 따로 있을 것이지만 이 사건으로 무진혁은 강권주를 오해하게 된다.

 

결국 이 오해가 서서히 깨지고 강권주의 진심을 알게 되는 건 이들이 함께 골든타임을 요하는 많은 사건들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통해서다. 이런 이야기 구조는 형사물이 갖고 있는 편편이 끊어질 수밖에 없는 여러 사건들의 이야기를 또 통합적으로 이어가는 힘이 된다. 매회 새로운 사건이 터지고 그걸 해결해가는 이야기가 에피소드로 등장하지만, 그건 결국 강권주와 무진혁이 연관된 사건을 해결하고 그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큰 이야기 틀 속에 담기게 된다.

 

형사물이 골든타임 설정을 만나면서 한 시간을 훌쩍 넘기는 이야기는 실로 순식간에 지나가 버리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만든다. 그것이 마치 진짜 골든타임(너무나 빨리 지나가버리는)처럼 다가오기 시작하는 것이다. 물론 <보이스>는 거의 공포물에 가깝게 극악무도한 범인들이 등장하고 심지어 아이가 칼에 찔려 범인으로부터 도망치려 안간힘을 쓰는 자극적인 장면들이 넘쳐난다. 하지만 적어도 이 골든타임에 대한 공감대는 이런 과한 자극들을 자극으로만 그치지 않게 해주는 힘이 된다.

 

무엇보다 침착하고 냉철하게 소리들을 분석해 사건을 진두지휘하는 강권주 역할을 연기하는 이하나의 연기변신이 흥미롭다. 지금껏 조금은 풀어지거나 가벼운 캐릭터를 연기해오던 그녀는 이번 역할에서는 훨씬 무게감이 있는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끊임없이 추론해가는 그 내면의 목소리들이 사건과 중첩되며 만들어내는 긴박감은 <보이스>라는 형사물만의 독특한 재미를 만들어준다.

 

<보이스>가 형사물에 골든타임이라는 설정을 덧붙인 이유는 명백해 보인다. 우리사회가 얼마나 골든타임에 목말라 하는가를 이 드라마는 정확히 짚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살려달라는 목소리에 콘트롤타워는 얼마나 빨리 침착하게 대응했던가. 콘트롤타워 부재에 대한 트라우마와 그래서 생겨날 수밖에 없는 결핍을 채워줄 판타지에 대한 욕망. <보이스>는 이 정서들을 건드림으로써 우리의 시선을 돌릴 수 없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