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김과장’, 어떻게 직장인들의 엄청난 열광 이끌어냈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김과장’, 어떻게 직장인들의 엄청난 열광 이끌어냈나

D.H.Jung 2017. 2. 24. 08:46
728x90

'김과장', '약치기 드라마'라고 불러도 과언 아니다

“어지간히 좀 해요!” 참다 참다 못한 김과장(남궁민)이 직장상사인 서율(준호)에게 소리친다. ‘구조조정 없는 회생안’을 만들어보겠다고 경리부가 나서자 직장상사인 서율은 도와주기는커녕 터무니없이 짧은 기간에 마무리하라 통보하고 만일 제대로 된 회생안이 나오지 않으면 경리부를 공중분해 하겠다고 한다. 그래도 경리부 직원들이 동요되는 걸 막으려 그 통보를 쉬쉬하던 차에 이제는 아예 서율이 나서서 경리부 직원들에게 그 이야기를 떠들어댄다. 제 아무리 직장상사라지만 김과장의 입에서 ‘어지간히 좀 해라’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김과장(사진출처:KBS)'

드라마 <김과장>의 이야기지만, 현실에서 김과장 같은 대꾸는 입 안에서만 뱅뱅 돌 뿐, 입 밖으로 나오기 힘들 것이다. 그러니 김과장이 터트리는 이 사이다 같은 일갈은 속 시원하긴 하지만 비현실적인 것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라. 같은 회사의 부하직원이 회사 잘 되자고 하는 짓을 대놓고 막는 서율 같은 직장상사는 비현실일까. 그렇지 않다. 이사급의 임원들 중에 일부는 회사 잘 되자고 어떤 일을 도모하기보다는 자신이 좀 더 오래 버티기 위해, 또 더 높은 곳을 올라가기 위해 일을 한다. 그러니 비상식적인 일들이 벌어진다.

그 와중에 등 터지는 건 애꿎은 직원들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괜스레 쓸데없이 야근을 하는 일도, 합리적으로 생각해보면 회사에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 일도 때론 상사의 요구에 해야 하는 샐러리맨들은 넘쳐난다. 샐러리맨들이 힘겨운 건 업무 그 자체 때문이 아니다. 이런 갖가지 비합리적인 일들을 괜찮은 척 웃으며 견뎌내야 하는 게 더 큰 스트레스다. 

최근 직장인들의 애환을 속 시원한 이야기로 풀어내는 이른바 ‘사이다 콘텐츠’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른바 ‘약치기 작가’로 불리는 양경수 작가의 <일하기 실어증>이라는 한 컷 짜리 웹툰도 그 중 하나. “보고서가 개판이네”라는 상사의 말에 속으로 ‘개처럼 일만 시키니까요’라고 응수하고,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에 상사의 뺨을 때리며 “못 피했으니 즐기세요”라고 하는 이 웹툰 속 인물이 주는 공감은 샐러리맨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웹툰이 가진 힐링적 성격 때문에 직장인들에게는 일종의 약이 된다는 의미에서 팬들이 그에게 ‘약치기’라는 예명을 붙여줄 정도.

<김과장>의 엔딩에 들어가는 웹툰이 바로 이 약치기 작가 양경수의 그림이다. 드라마와 웹툰이 이렇게 완벽한 콜라보를 이루게 된 건 둘 다 직장인들의 속을 시원하게 해주는 사이다라는 유사점 때문일 게다. <김과장>이 상상 이상의 엄청난 열광을 이끌어낸 가장 큰 이유는 최근 직장인들 사이에 화제가 된 바로 그 약치기 콘텐츠의 명맥을 드라마로 제대로 이어주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실로 <김과장>은 그런 의미에서 ‘약치기 드라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월급 로그아웃, 직장살이, 메신저 감옥, 야근각.... 최근 직장인들 사이에 회자되고 있는 이런 신조어들을 보면 지금의 직장생활이 얼마나 힘겨운가를 잘 말해준다. <김과장>이 보여주고 있듯이 그들이 힘겨운 건 업무의 어려움 때문이 아니다. 그것보다는 비상식적인 일들로 인해 그 상황을 견뎌야 하는 것이 더 큰 스트레스다. 

하지만 어쩌랴. 목구멍이 포도청인지라 말 한 마디 못하고 그 답답한 속내를 꾸역꾸역 안으로 삼킬 수밖에 없는 샐러리맨의 처지. 그런 그들에게 김과장이 마치 갑질 하는 직장상사와 회사를 비웃듯이 골려주고 비아냥대고 때로는 속 시원히 일갈하는 그 모습이 어찌 마음에 닿지 않을까. 직장인들이 김과장의 한 마디 한 마디에 격하게 공감하는 까닭은 하루 종일 시달리고 견뎌내던 그들이 이 드라마를 볼 때만큼은 그 힘겨움을 날려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