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비장하기까지 했던 손석희의 소신 고백이 만든 큰 울림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비장하기까지 했던 손석희의 소신 고백이 만든 큰 울림

D.H.Jung 2017. 3. 22. 09:50
728x90

<뉴스룸>, 손석희 앵커브리핑이 만든 울림

“적어도 저희들이 생각하기에 언론의 위치는 국가와 시민사회의 중간에 있으며 그 매개체로서의 역할은 국가를 향해서는 합리적 시민사회를 대변하고 시민사회에는 진실을 전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뉴스룸(사진출처:JTBC)'

JTBC <뉴스룸> 앵커브리핑에서 손석희 앵커는 저널리즘에 대한 소신을 그렇게 밝혔다. 사실 이 이야기가 그리 특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 스스로도 밝혔듯이 “교과서적인, 뻔한 얘기”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손석희 앵커의 이 교과서적인, 뻔한 얘기가 주는 울림은 컸다. 그건 심지어 비장하기까지 했다. 지난 주말 홍석현 회장의 사임으로 불거진 대선출마설은 JTBC <뉴스룸>으로서는 소문이라고 해도 난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가 앵커브리핑을 통해 말하듯 “자본주의 사회에서 언론은 공적 영역이지만 사적 영역”이기도 하다. 이것은 JTBC <뉴스룸>이 삼성 관련 사안이 불거져 나올 때마다 과연 제대로 보도를 할 것인가 의구심을 갖게 만들었던 이유다. 그 때마다 <뉴스룸>은 그런 의구심을 불식시키라도 하듯이 할 이야기를 당연히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런 모습은 시청자들이 <뉴스룸>에 신뢰를 갖게 된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뉴스는 중립적인 위치에서 객관적인 사실 보도를 해야 하는 소임을 맡고 있지만, 결국 그 뉴스를 하는 방송사는 하나의 회사이고, 그 회사는 방송을 허가하는 정치권력과 그 방송사가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광고료로 지탱된다. 그러니 정치권력이나 그 광고를 내는 광고주를 비판한다는 건 자칫 뉴스의 존립 자체를 흔들 수도 있는 일이다. 

이것은 어쩌면 언론인들 대부분이 공감하는 딜레마일 것이다. 즉 언론인들이라면 손석희 앵커가 말하는 것처럼 “시민사회에 진실을 전하는 것”이 그 소임이지만, 그들 역시 자신이 속한 회사의 구성원으로서 그저 교과서적으로 진실을 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이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딜레마에 대해 손석희 앵커는 명확한 소신을 밝혔다. “저희는 특정인이나 특정집단을 위해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대가 바뀌어도 모두가 동의하는 교과서 그대로의 저널리즘은 옳은 것이며 그런 저널리즘은 특정인이나 특정집단을 위해 존재하거나 복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만일 자신이 그 소신을 지키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된다면 할 선택에 대해서도 쐐기를 박았다. “저나 기자들이나 또 다른 JTBC의 구성원 누구든. 저희들 나름의 자긍심이 있다면, 그 어떤 반작용도 감수하며 저희가 추구하는 저널리즘을 지키려 애써왔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비록 능력은 충분치 않을지라도, 그 실천의 최종 책임자 중의 하나이며, 책임을 질 수 없게 된다면 저로서는 책임자로서의 존재 이유를 찾기 어려울 것입니다.” 

비장하기까지 한 소신의 고백. 지나치게 교과서적인 정답 같아 보이지만 손석희의 앵커브리핑이 어떤 울림을 만든 건 그것을 공공연하게 밝혔다는 점이다. 그것은 스스로도 밝혔듯 “저널리즘의 실천”을 그대로 보여주는 일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지금까지 <뉴스룸>의 성취가 어느 한 순간 불쑥 이뤄진 것이 아니라 매번 한 걸음씩의 실천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걸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