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귓속말' 시국과의 한판 승부, 과연 희망은 있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귓속말' 시국과의 한판 승부, 과연 희망은 있을까

D.H.Jung 2017. 3. 29. 09:17
728x90

‘귓속말’, 첫 회만 봐도 우리 시국의 밑바닥이 보인다

“법을 이용해서 사욕을 채우는 도적을 법비라고 합니다. 사람들이 법률회사 태백은 법비라고 하더군요. 도적떼나 되려고 법 배운 게 아닙니다.” 대놓고 시국과 한판 승부를 벌이기라도 하려는 걸까. SBS 새 월화드라마 <귓속말>의 첫 회는 현 탄핵 시국을 맞은 우리네 현실의 적나라한 시스템을 화두로 던졌다. ‘법비(法匪)’. 지금 이 단어를 인터넷 검색 창에 치면 우리는 이번 탄핵 정국에서 이른바 ‘법꾸라지’로 지칭되는 이들의 이름들이 줄줄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귓속말> 첫 회 대쪽 같은 판사 이동준(이상윤)은 자신을 회유하려는 로펌 태백 대표 최일환(김갑수)에게 바로 이 ‘법비’라는 표현을 썼다. 

'귓속말(사진출처:SBS)'

법비 로펌 태백은 정관계까지 광범위하게 권력을 뻗치고 있는 시대의 악. 태백의 최일환은 방산비리가 드러날 위기에 놓이자 그 진실을 추적하던 기자를 살해하고 그의 선배 해직기자였던 신창호(강신일)를 살인범으로 몰아 사건을 덮으려 한다. 그가 살인범이 아니라는 증거도 나왔지만 태백의 힘은 막강하다. 판결을 맡게 된 대쪽 같던 판사 이동준마저 그 신념을 저버리고 자신들의 편으로 끌어들일 만큼. 판사 임용을 저지하고 누명을 씌워 감옥에 보내겠다는 위협 앞에 이동준은 결국 소신을 저버린다. 

이 과정에서 신창호 살인죄로 형이 확정되고, 그의 딸인 형사 신영주(이보영)은 형사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법이 무고한 서민들을 지켜주기는커녕, 권력자들이 마구 휘두르는 칼날이 되어 서민들을 피눈물 흘리게 하는 현실. 이 일련의 과정 속에서 우리네 참담한 법비들이 활개치는 현실이 드러난다. 아버지의 도움마저 물리칠 정도로 소신 있던 이동준 판사가 결국 무너지는 그 과정은 우리네 사회가 어떻게 무너져 내리는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말 안 듣는 소신 있는 판사는 재임용 심사에서 누락시켜버리고, 그 싹마저 밟아버리기 위해 사찰을 통해 어려운 사람을 돕기 위해 나선 일을 판사의 권력 남용으로 몰아세운다. 갖가지 비윤리적인 일들을 해온 법비는 이동준 같은 판사를 끌어들여 이미지 세탁을 하려 한다. 위협과 함께 회유책도 따라온다. 태백에 무릎을 꿇으면 이동준을 사위로 삼고, 그의 아버지를 대통령 주치의로 만들어준다고 한다. 소신을 버리는 순간, 권력을 쥐게 되는 시스템의 구조. 게다가 충격적인 건 이들의 악행은 최선을 다하는 ‘성실함’까지 보여준다는 점이다. 

“악은 성실하다.” 탄핵 시국 속에서 법망을 피해가려 별의 별 방법을 다 동원하는 그 과정들 속에서 대중들은 이 대사가 실감났을 게다. <귓속말>이 첫 회에 보여준 건 그래서 이토록 성실하게 악행을 준비하고 처리해가는 그 우리네 현실의 밑바닥이다. 그리고 그 밑바닥을 첫 회에 드러낸 이유 또한 명백하다. 그 곳에 내버려져 더 이상 잃을 것조차 없는 신영주 같은 인물들이 온 몸을 던져 법비와 대항해가는 이야기를 해보려는 것. 

작은 소리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귓속말>이라는 제목에 담겨진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이 말은 거꾸로 우리네 현실이 이런 소소한 서민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인 적이 없었다는 걸 말해주는 대목이다. 저들이 방산비리를 일삼으며 자신들의 권력의 배를 채우고 있을 때 소소한 서민들이 쓰러져 나갔다는 사실을 큰 소리로 듣지 못하고 그저 작은 소리로 치부하는 현실. 하지만 그 작은 귓속말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질 때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가를 우리는 또한 이번 시국에서 느끼지 않았던가. 드라마 <귓속말>이 보여줄 시국과의 한판 승부에서 과연 희망을 발견할 수 있을 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