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미안하다 '터널', 처음엔 '시그널'의 아류인 줄 알았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미안하다 '터널', 처음엔 '시그널'의 아류인 줄 알았다

D.H.Jung 2017. 5. 2. 08:54
728x90

영화 같은 ‘터널’, 이토록 소름 돋는 전개라니

30년의 세월을 뛰어넘는 타임리프. 연쇄살인범을 추적하는 형사들. 그리고 피해자들. OCN 주말드라마 <터널>은 시작 전만 해도 tvN 드라마 <시그널>과 비교되었다.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방식이 무전기에서 터널로 바뀐 것 아니냐는. 

'터널(사진출처:OCN)'

하지만 이런 비교가 미안하고 무색할 지경이다. <터널>의 전개는 스릴러 장르를 줄곧 고집해온 OCN의 정수가 총체적으로 모여져 재미와 의미까지 모두 함의하는 놀라움을 보이고 있다. 스릴러 장르가 갖는 긴장감은 기본이고, 시간을 뛰어넘는 타임리프 설정이 주는 새로운 이야기 전개의 신선함이 돋보이는 수작이다. 

무엇보다 <터널>은 스릴러 장르와 타임리프라는 다소 복잡할 수 있는 틀거리를 가져오면서도 헤어진 이들이 다시 만나는 가족이야기와, 무거울 수밖에 없는 이야기를 따뜻하게 만드는 인간적이면서도 유머러스한 형사들 이야기를 더해 누구나 몰입할 수 있는 드라마로 만들었다. 

또한 스릴러 장르의 구성이 여러 사건들을 나열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각각의 사건들이 주인공들, 박광호(최진혁), 김선재(윤현민), 신재이(이유영)의 사연들과 엮어지게 한 것도 주목할 만한 지점이다. 이 작품이 얼마나 주도면밀하게 짜여져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지금껏 스릴러 장르에서 메인으로 등장하는 연쇄살인범을 한 명이 아닌 둘로 설정한 것도 <터널>의 이야기를 쫄깃하게 만든 설정이다. 연쇄살인범 정호영(허성태)이 사실은 30년 전 연쇄살인의 범인이었던 목진우(김민상)의 살인을 본 목격자였다는 설정. 그래서 정호영을 면회온 목진우가 말 몇 마디로 그를 자살하게 만들고, 정호영 역시 이 게임을 공평하게 하기 위해 박광호에게 목진우가 범인이라는 단서를 남겨 놓는 이 상황은 보는 이들을 흥미진진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타임리프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터널>은 남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tvN <내일 그대와> 같은 작품이 타임리프를 너무 쉽게 활용했던 것과 비교해보면 <터널>은 과거와 현재를 넘어서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할 것처럼 어렵게 설정해 놓았다. 그것은 그 시간의 장벽 너머에 존재하는 이들에 대한 그리움과 간절함 같은 것을 더 강렬하게 만들어낸다. 그러던 시간의 벽이 살인범인 목진우와 박광호가 다시 터널에서 마주하면서 깨지고, 박광호가 그 순간 과거로 되돌아간다는 상황도 보는 이들을 놀랍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바로 눈앞에 살인범을 잡을 수 있는 순간에 박광호는 그토록 간절히 원했던 과거로 되돌아갈 수 있게 된다는 것. 과거로 돌아간 건 기쁜 일이지만 동시에 살인범을 눈앞에서 놓칠 수밖에 없다는 안타까움이 교차한다. 이 지점에서 터널이라는 타임리프 설정은 서로 다른 시간대를 넘는 가능성인 동시에 손에 닿지 않는 다른 시간대에 대한 안타까움을 극대화하는 장치로도 활용된다. 

이처럼 예상치 못한 반전들을 담고 있으면서도 그것들이 내적 의미로 인해 공감되는 건 <터널>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이다. 결국 <터널>의 이런 판타지 설정들이 공감되는 건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이 갖는 간절함이 있기 때문이다. 얼마나 간절하면 저렇게 시간의 벽을 뛰어넘고 싶겠는가. 그래서 타임리프의 공간으로서의 터널이라는 설정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터널>은 여러모로 <시그널>이 보여줬던 스릴러의 새로운 세계와는 또 다른 이 작품만의 완결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것은 재미와 의미가 결합되어 커다란 공감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실로 상찬 받아 마땅한 일이다. <시그널> 이후 근자에 들어 이만한 스릴러가 있었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