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태왕사신기, 캐릭터의 힘은 위대하다 본문

옛글들/명랑TV

태왕사신기, 캐릭터의 힘은 위대하다

D.H.Jung 2007. 12. 6. 10:02
728x90

태왕에 의한, 태왕을 위한, 태왕의 드라마, ‘태왕사신기’

‘태왕사신기’에서 고우충(박정학)은 태왕 담덕(배용준)에게 전황을 브리핑한다. “나머지 3만은 두 개의 길로 남하하여 가야와 왜의 연합군을 퇴치하는 중입니다.” 담덕이 “미적미적 싸우고 있으면 곤란해요. 빗자루로 쓸어내듯이 그렇게 내려가야 한다구.” 이렇게 말하자 고우충은 웃으며 이렇게 답변한다. “염려 마십시오. 흑개장군입니다.” 이 짤막한 대화를 통해 ‘태왕사신기’의 전쟁 신은 굳이 보여질 필요가 없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고우충이 전황을 묘사하면서 ‘흑개장군(장항선)’이라는 인물을 거론한 점이다. 시청자는 흑개장군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용맹성과 앞뒤보지 않고 뛰어드는 과감성 같은 것을 통해 전쟁의 그림을 유추하게 된다. 구구절절이 전쟁상황을 보여주거나 설명하지 않아도 캐릭터 하나를 통해서 그것이 설명되는 것. 이것이 ‘태왕사신기’가 가진 독특한 드라마의 색깔이자 힘이다.

수 없는 전쟁과 전투를 통해 영토 확장을 한 광개토대왕의 면면을 스펙터클로 보여준다는 것은 어찌 보면 무모한 일이다. 하지만 또한 광개토대왕이라는 역사적 영웅을 다루면서 그 핵심이 되는 전장의 사건들을 빼놓는다는 것 역시 납득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 딜레마를 넘어서기 위해 ‘태왕사신기’가 선택한 것은 캐릭터다. 잘 구축한 캐릭터 한 명은 몇 백 명의 군사들보다 유용하다.

백제와의 전쟁에서 수만 명의 백제군이 등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처로(이필립)라는 일당백의 카리스마를 지닌 캐릭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구려와 백제가 맞붙는 이 전쟁은 고구려를 대변하는 담덕과 백제를 대변하는 처로가 맞붙는 장면으로 충분히 설명된다. 담덕이 수적으로 우위에 있는 연호개(윤태영)의 군대와 맞서는데 있어서 전면전을 피하고 몇몇 별동대와 인물들만으로 충분한 것도 같은 이유다. 스스로도 일당백이라 자처하는 주무치(박성웅)는 실로 수백 명의 엑스트라를 대체하는 효과를 주는 캐릭터다.

즉 ‘태왕사신기’의 개개 인물들은 여러 가지의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광개토대왕의 영토 장악을 태왕이 사신을 얻는 과정으로 설명하면서 태왕은 쥬신의 왕이란 상징을 갖고, 사신은 네 부족을 대변하는 상징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니 태왕이 사신을 얻는다는 것은 그 자체가 영토를 장악한다는 의미로서 전달된다. 여기에 사신이 가진 신물이라는 환타지적인 요소를 덧붙이면서 이 상징은 더 공고하게 구축된다. 네 부족은 각각의 개성을 지닌 존재로서 물(현고-현무), 쇠(주무치-백호), 나무(처로-청룡), 불(수지니, 기하-주작)로 설명된다. 즉 네 부족-사신-신물-네 상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 밖에도 절대적인 악을 상징하는 화천회 대장로(최민수)는 화천회라는 조직을 실제 목도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설명해주는 캐릭터다. 담덕이 전쟁터에 나가는 동안 고구려의 모든 행정이 잘 돌아갈 수 있는 것은 연가려(박상원)라는 한 명의 캐릭터 덕분이다. 이처럼 ‘태왕사신기’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 캐릭터들을 세움으로써 최소의 장면만으로도 최대의 효과를 끄집어낸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그 중심에 서 있는 담덕, 배용준의 힘이다.

사실 이 믿기 어려울 수 있는 상징적 진술은 배용준이라는 아시아적 스타배우와 담덕이라는 역사적 영웅이 만나는 지점에서 가능해진다. 따라서 담덕이란 캐릭터가 세워지는 그 힘을 통해서 주변의 캐릭터들도 구축된다. 담덕을 보위하는 사신들이 납득되는 것은 담덕이 쥬신의 왕이라는 설정 때문이며, 그 설정은 드라마 밖에서의 배용준이라는 배우의 힘과 음으로 양으로 연결된다. 이 사극은 따라서 담덕이 사신을, 아시아적인 영토를 얻는 이야기이면서 동시에 현재의 배용준이 아시아권을 장악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담덕의 적수로 세워졌던 연호개나 사신이 아닌 인간들이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 것은 사극 자체가 담덕과 배용준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구축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사극은 태왕에 의한, 태왕을 위한, 태왕의 드라마이며 그 태왕이라는 단어에 배용준으로 대치해도 무방한 드라마이기도 하다. ‘태왕사신기’가 우리 드라마사에 한 획을 그을만한 작품이 된 것은 첫 회부터 마지막까지를 관통하는 짜임새 있는 송지나 작가의 대본과, 그 대본을 시각화하는 김종학 PD의 잘 짜진 연출 위에 그 모든 것을 한 몸으로 지탱해나가는 배용준이라는 아시아적 스타가 있었기 때문이다.

담덕과 사신의 캐릭터만으로 아시아를 정복해가는 이야기가 구축될 수 있었던 것처럼 배용준이라는 배우 한 명의 힘은 그 어느 것 하나 가능할 것 같지 않은 우리 드라마의 현실을 보기 좋게 뛰어넘었다. 이것은 마치 드라마 속에서 아시아를 아우르는 쥬신의 아들들이 그토록 희구하던 쥬신의 왕을 만나는 경험에 비견되는 것이 아닐까. 캐릭터의 힘은 위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