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음악과 몸 개그, 그리고 웃기는 가수들 본문

옛글들/명랑TV

음악과 몸 개그, 그리고 웃기는 가수들

D.H.Jung 2007. 12. 22. 05:00
728x90

음악 버라이어티 쇼가 보여주는 가수들의 현실

음정 박자 틀려도 막춤에 열창을 해대는 사람, 그리고 그 맥을 끊는 땡! 하는 소리와 함께 터져 나오는 웃음. 28년 장수 프로그램인 ‘전국노래자랑’의 트레이드마크다. 암기한 가사를 조심조심 부르는 출연자들, 토씨 하나가 틀리자 갑자기 머리로 떨어지는 쟁반과 함께 터져 나오는 웃음. 바로 ‘쟁반노래방’만의 진풍경이다. 유난히 노래와 춤을 즐기는 국민성 때문일까. TV는 오래 전부터 춤과 노래를 웃음으로 전달해왔다. 그것은 시대가 지나도 마찬가지. 버라이어티쇼라 해서 연예인들이 모일라 치면, 어김없이 노래와 춤이 등장한다. 거기에는 멋진 춤과 노래가 등장하기도 하지만, 그것보다 프로그램이 주목하는 것은 노래와 부조화되어 무너지는 몸과 음이 유발하는 웃음이다. 그래서일까. 이들 프로그램들을 보다보면 정작 노래를 해야할 가수들이 몸 개그를 하고 있는 상황을 엿보게 된다.

‘불후의 명곡’, 웃기는 가수들의 이상한 세계
과연 여기 올려진 음악들이 ‘불후의 명곡’이냐고 질문해보면 그 답변은 부정적이다. 하지만 10만장 음반 팔기가 하늘의 별 따기가 된 요즘의 상황을 비추어 다시 질문을 던진다면? 아마도 고개가 끄덕여질 수도 있다. 우리 가요사의 중흥기라 할만한 8,90년대에는 몇 백만 장의 음반 판매고에 대한 이야기가 전설처럼 내려오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니 ‘불후의 명곡’이란 제목에는 이 시대에 대한 아련한 향수가 어려있다.

명곡의 주인공인 가수와 신정환, 탁재훈이 주축이 되고 김성은이 감초가 되는 이 프로그램은 명곡의 ‘노래와 춤 배우기’가 형식이지만 실제는 음치, 몸치, 박치들의 웃음주기가 주요 컨셉트다. 따라서 안 되는 몸으로 당대의 유행했던 춤을 막춤으로 만들어버리거나(탁재훈), 태생부터 음치에 박치인 김성은이 전혀 다른 노래를 편곡(?) 해버리거나, 과장된 목소리와 몸 동작으로 음악을 패로디하는(신정환) 것이 이 코너의 진면목이다.

재미있는 것은 개그맨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재담꾼들인 신정환, 탁재훈이 가수라는 사실이다. 아무리 컨셉트라 해도 가수인 그들이 스스로를 음치, 몸치, 박치로 내세우며 노래를 배우는 상황은 이색적이라 할만하다. 이 상황을 희석시키는 것은 김성은이라는 원초 음치 학생이 있기 때문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불후의 명곡의 주인공인 가수조차 자신의 노래를 웃음의 대가로 쉬 내놓는다. 그러니 ‘불후의 명곡’이 보여주는 상황은 과거의 전설을 그리워하며, 현재는 명곡조차 웃음으로 팔아야 하는 가수들의 현실이다. 생존을 위해 노래보다는 웃음을 주는 웃기는 가수들의 이상한 세계, 그것이 ‘불후의 명곡’이다.

‘도전 암기송’, 노래와 몸 개그의 만남
‘불후의 명곡’이 무너지는 가수들의 세계를 보여준다면, ‘도전 암기송’은 그 확장판이다. 개그맨들이야 그것이 직업이라 할 것이지만, 여기에는 가수는 물론이고 아나운서, 배우들까지 등장해 열심히 무너진다. 뜨거운 양철 지붕 위에 고양이를 올려놓듯, 프로그램은 이들은 뜨거운 사우나 속에 몰아넣고 노래를 시킨다. 배경이 목욕탕인 것은 적나라하게 이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방향이 몸 개그에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땀을 뻘뻘 흘리면서 안 외워지는 노래를 부르면서도 이들은 성대모사나 춤동작을 따라하는 여유까지 보인다. SES 출신 가수 유진과 슈가 나온 코너에서 유진이 마빡이로 변신해서 태연하게 노래를 부르거나, 정종철이 성대모사를 하고, 이정민 아나운서가 노래를 부르는 풍경은 뜨거운 사우나라는 상황을 고려하면 조금은 가학적이란 생각마저 들지만 어쨌든 큰 웃음을 주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이것은 본래 개그맨들의 일상이었지만 이제는 그 영역이 가수와 아나운서, 배우들까지 넓어진 것뿐이다. 분명 과거보다 이들의 삶은 더 절실해졌다. 가수들은 자신들이 정작 서야할 무대가 사라진 현실 앞에서 웃음을 주는 개그맨으로의 전향을 꿈꾸기도 하며, 아나운서들은 보도의 기능보다 오락의 기능에 더 충실해진 TV환경 속에서 몸 개그도 마다하지 않아야 하고, 배우들은 자신들이 출연한 영화의 홍보를 위해서라면 언제 어디서든 한없이 무너질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이들은 모두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입장이어서 자신의 본래 직업에 플러스 알파로서 부가수익을 내고 있다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연예인들이 이들처럼 달라진 환경에 적응한 것은 아니며 분명 한 가지만 해도 충분히 생존할 수 있었던 시대보다는 더 어려워진 것이 사실이다. 버라이어티 쇼를 구성하는 멤버들이 점점 가수들로 채워지는 현상은 이런 상황을 잘 말해준다(대표적으로 ‘1박2일’은 이수근과 강호동을 빼고는 전부 가수이다). 음악은 늘 우리에게 큰 웃음을 전달해주었지만, 그것이 현실이 되는 순간 어떤 비장함을 느끼게 만든다. 버라이어티 쇼에서 웃기는 가수들을 보며 그저 웃기만 할 수 없는 건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