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물꼬 트인 한중관계도 '한끼줍쇼'처럼 훈훈해지기를 본문

옛글들/명랑TV

물꼬 트인 한중관계도 '한끼줍쇼'처럼 훈훈해지기를

D.H.Jung 2017. 11. 3. 10:09
728x90

‘한끼줍쇼’, 한중관계 냉랭해도 개인들은 훈훈하다는 건

이제 우리가 사는 공간에서 외국인을 발견하는 일은 그리 새로운 일이 아니게 되었다. 일을 하기 위해 오는 이들도 있고, 공부를 하기 위해 오는 이들도 있으며 그저 여행을 목적으로 오는 이들도 있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다원화되어가고 있고 외국인들에 대한 문호가 열려 있다는 뜻이다. 

'한끼줍쇼(사진출처:JTBC)'

그러니 JTBC 예능 프로그램 <한끼줍쇼> 같은 낯선 동네에서 초인종을 누르고 한 끼 저녁식사를 청하는 콘셉트의 프로그램에서 외국인을 만나는 일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흑석동에서 촬영된 <한끼줍쇼>에서 우연찮게 베트남에서 와 시어머니와 함께 사는 며느리를 만나고, 또 중국에서 온 유학생들을 만나는 일은 그래서 이렇게 다원화된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듯 했다. 

특히 이경규와 김성주에게 문을 열어준 중국 유학생과의 한 끼 식사 풍경은 그 의미가 남다르게 다가올 수밖에 없었다. 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 관계가 냉각기를 겪고 있는 와중이지만 그런 국가 간의 문제들과는 사뭇 다르게 개개인들은 훈훈한 풍경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3년 째 거주 중이라는 하얼빈에서 온 중국 유학생은 기꺼이 이들을 초대해줬고, 자신이 평상시에 먹는 중국에서 가져온 사천식 라면으로 차린 소박한 밥상을 내놓았다. 부족한 반찬을 마련하기 위해 마트에 간 김성주는 마침 대학시절 갔던 마트의 주인아주머니를 만나 반가운 회포를 풀고는 간단한 재료들을 사와 반찬을 만들었다. <냉장고를 부탁해>를 진행하며 김풍에게 배웠다는 야매 레시피지만 먹음직한 계란말이를 놓자, 그 좁은 공간에서의 작은 식탁에 채워진 사천식 라면과 계란말이가 너무나 훈훈한 풍경으로 다가왔다. 마치 민간인 차원에서 벌어지는 교류를 상징하는 듯 느껴졌기 때문이다. 

사실 TV를 잘 보지 않아 <한끼줍쇼>라는 프로그램을 잘은 모른다는 유학생에게서는 그래도 문을 열어준 그 선택이 마치 단단히 닫아버린 한중관계의 문에도 불구하고 그 밑으로는 열려 있는 교류들을 보여주는 듯 했다. 어학원에서 만나 친구로 지낸다는 같은 동네의 또 다른 유학생을 초대했고 그래서 네 명이 다닥다닥 붙어 앉은 그 모습은 더 따뜻하게 느껴졌다. 

왜 중국인들이 한국에 이렇게 많아졌나를 묻는 이경규의 질문에 “인구가 많아서가 아닐까”라는 다소 쿨한 답변을 주면서도 <아빠 어디가>를 통해 김성주를 잘 알고 있다는 유학생에게서는 한국에 대한 애정 같은 게 느껴졌다. 그리고 다른 유학생은 아예 한국 가수가 좋아서 한국으로 유학을 오게 됐다고 말했다. 한중 관계가 어찌됐든 그 관계가 호의적인 상황이 만들어지는데 한류 콘텐츠가 미친 영향은 분명히 컸다는 걸 두 유학생은 보여줬다. 

최근 사드 배치 문제로 냉각됐던 한중관계는 양군 간 협의결과를 발표함으로써 일단 정상화 궤도에 올라섰다. 물론 그렇다고 실질적인 변화가 바로 일어나는 건 아니지만, 양국이 “모든 분야의 교류 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사실은 고무적이다. 모쪼록 한중관계가 이를 계기로 다시 본래의 호의적인 관계로 돌아가기를 바라며, 그래서 콘텐츠 교류 역시 계속 이어지길 바란다. 

<한끼줍쇼>가 보여준 중국인 유학생 두 명과 함께 한 식사는 그래서 이런 시의성과 맞아 떨어지면서 묘한 울림을 줬다. 사실 국가 간에 벌어진 대결 양상이 치열했고, 그래서 피해와 손실도 적지 않았지만 그런 갈등과 상관없이 양국의 개개인들은 호의적이며 또한 교류에 대한 갈증도 느끼고 있다는 것. 그래서 기꺼이 한 끼를 함께 하며 식구가 될 수도 있다는 것. 한중관계도 <한끼줍쇼>처럼 훈훈해지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