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법변호사' 과연 시청자 놀라게 할 반전 제시할 수 있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무법변호사' 과연 시청자 놀라게 할 반전 제시할 수 있을까

D.H.Jung 2018. 6. 25. 11:17
728x90

‘무법변호사’, 사이다에 대한 갈증 알지만 어딘지 아쉬운 건

어쩌면 애초 기획부터 tvN 주말드라마 <무법변호사>는 고구마 현실 속에서의 사이다 드라마를 꿈꿨는지도 모르겠다. ‘결국은 돈 있는 자가 이긴다’는 ‘법’에 대해 서민들의 감정을 이미 기획에서 끌고 온 것이고, 그래서 ‘무법(無法)’ 천지인 현실을 드라마를 통해서나마 뒤집어보겠다는 것. <무법변호사>는 ‘무법(無法)’에 법으로 싸운다(武法)는 판타지를 동력으로 삼은 드라마다. 

그래서 이 드라마가 배경으로 삼은 기성은 우리네 고구마 현실을 환기시키는 여럿 장면들이 등장한다. ‘법꾸라지’가 떠오르기도 하고, ‘문고리 3인방’이 떠오르는 인물들도 등장한다. 깡패에서 시장이 된 안오주(최민수) 같은 인물이나, 겉보기엔 기성을 위해 헌신하는 판사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부패한 기성시의 정점에 서 있는 차문숙(이혜영) 같은 인물, 그리고 거기 붙어 문고리 역할을 하다가 뒤통수를 맞는 남순자(염혜란) 같은 인물이 그렇다. 

<무법변호사>는 그래서 이들 악역들을 전제로 세우고, 그들이 만들어내는 고구마 상황들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분을 불러일으킨 후, 이를 뒤집는 봉상필(이준기) 변호사의 사이다 반격이라는 마치 공식적인 전개를 이어가고 있다. 이를테면 봉상필의 눈앞에서 그를 키워준 최대웅(안내상) 같은 인물이 죽음을 맞게 되는 회차에서 시청률이 높게 나온 건 그 고구마 전개가 가진 힘이다. 

하지만 위기가 만들어내는 고구마와 그를 뒤집는 전형적인 복수극의 사이다를 반복하고 있는 <무법변호사>는 그래서 어딘지 뻔한 틀에 들어와 있는 느낌을 준다. 하재이(서예지)의 엄마인 노현주(백주희)가 차문숙(이혜영)의 안마사로 잠입하고 있다 붙잡혀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되는 상황에서 그만한 긴박감이나 긴장감이 잘 느껴지지 않는 건 반복된 이야기 틀 때문에 그것 역시 봉상필의 반전으로 쉽게 해결될 것이라 예측되기 때문이다. 

노현주가 드럼통에 넣어져 강물에 던져질 위기에 처한 순간, 마침 봉상필의 이야기를 듣고 그 곳을 안오주(최민수)가 찾아오고, 그래서 잠시 태광수(김병희)가 자리를 비운 순간 봉상필과 손을 잡은 전갈(김용운)에 의해 노현주가 탈출하게 되는 시퀀스는 그래서 너무나 우연적이면서 또한 예측 가능한 전개가 된다. 또한 그렇게 두 번 노현주를 죽이라고 사주한 남순자(염혜란)가 그 사실 때문에 검거되는 과정도 너무 쉽게 그려진다. 

하지만 이런 우연의 반복과 단순한 틀을 반복하는 데도 불구하고 드라마가 굴러가는 이유는 개연성이나 신선한 이야기 그 자체보다 단지 ‘고구마-사이다’라는 그 효과 때문이다. 시청자들은 어딘지 어색해도 그간 꾹꾹 고구마로 눌러놓았던 전개 속에서 하나씩 풀어주는 사이다에 그럭저럭 갈증을 풀어낼 수밖에 없다. 

언제부턴가 드라마가 고구마 혹은 사이다로 단순 구분되기 시작했다. 그것은 마치 희극이냐 비극이냐로 한 드라마를 재단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그 중간 지점에 놓여진 다양한 드라마의 결들을 놓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드라마들은 아예 고구마와 사이다를 기획 포인트로 삼기도 한다. 그것이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단지 고구마-사이다가 주는 효과에만 기대게 된다면, 이야기는 퇴행될 수밖에 없다. 

<무법변호사>가 만들어내는 사이다에 대한 시청자들의 갈증은 당연히 이해되는 일이다. 하지만 그 효과에만 기대 어딘지 이야기의 촘촘함이나 섬세함 혹은 신선함을 찾기가 어렵게 된다면 사이다 전개를 보면서도 그만한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 단계를 맞을 수 있다. 이제 몇 회 남지 않은 <무법변호사>가 사이다지만 뻔한 결말이 아닌 시청자들을 놀랍게 만드는 반전을 제시할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