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이산’이 그리는 건 영조인가 정조인가 본문

옛글들/명랑TV

‘이산’이 그리는 건 영조인가 정조인가

D.H.Jung 2008. 2. 12. 01:44
728x90

퓨전사극 속 카리스마 이양이 어려운 이유

‘이산’이 시작한 지 벌써 42회가 지났다. 사실상 연장이 확정된 상태라 앞으로 20여 회 이상이 더 남았지만 그래도 드라마의 3분의 2를 이산이 양위조차 받지 못한 상태로 그리고 있는 것은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정조 즉위 당시 걸출한 인물들이 많은데다, 이들이 한 업적 또한 상당하고, 또한 그 과정에서 숱한 드라마적인 이야기들이 나올 가능성이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껏 ‘이산’이 보여주고 있는 이야기구조는 ‘암살위기-극적모면’이라는 단순구조로 반복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혹자는 이것을 가지고 ‘이병훈 PD식 사극’의 장점이자 단점이라 할 것이다. ‘이병훈 PD식 사극’이란 ‘허준’과 ‘대장금’을 통해 반복되어 왔듯이, 무한반복되는 미션과 미션해결과정을 통한 성장드라마이다. 여기에 반드시 들어있는 것은 주인공의 선한 세계와 그 세계를 위협하는 악의 무리라는 이분법이다. 이 이분법을 통한 스테이지 해결방식의 구조는 적어도 50여 회를 끌고 가야 하는 대하사극에 있어 보다 압축된 스토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이 게임적인 미션구조는 말 그대로의 게임처럼 중독성이 강하다.

이산은 얼마나 성장했나
드라마가 기본적으로 재미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 중독성은 나무랄 것이 못된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이 기꺼이 빠져드는 중독성에 기분이 나빠질 때가 있다. 그것은 스토리가 ‘자연스러운’ 흐름 속에서 미션이 이어지는 느낌이 아니라, 시청자들의 중독적이고 관성적인 시청을 끌기 위해 인위적으로 엮어진 느낌을 받을 때이다. 이 때가 되면 이야기는 성장하지 않고 패턴화되면서 똑같은 상황만을 반복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극적 긴장감을 떨어뜨려 재미를 반감시키게 된다. 이것이 성장드라마를 추구하는 퓨전사극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다. 주인공이 역경을 하나하나 헤쳐 나와 마치 성장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상황에 빠지는 것이다.

40여 회가 흐르는 동안 이산(이서진)이 얼마만큼 성장했는가를 보면 그것을 알 수 있다. 이산은 사실상 자신이 직접 해결한 문제가 별로 없다. 때론 성송연(한지민)이 그림을 통해, 때론 박대수(이종수)가 물불 안 가리는 충성심으로 문제를 해결해준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산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이는(사실상 만드는 이도) 바로 영조(이순재)다. 이제 노론벽파의 거병범궐로 죽게 생긴 이산을 살려주는 것은 사실상 허망하게도 쓰러진 영조가 일어나는 그 사건 하나다. 이산은 늘 그런 상황 속에서 놀라거나, 감탄하거나 할 뿐이다. 그것은 현재도 마찬가지다. 그만큼 역경을 겪어오면서도 이산은 여전히 이상과 순수의 세계에 머물러 있다. 이것은 성장이 아니라 퇴행이다.

다 잡은 노론벽파 세력을 영조의 매병 사실을 알리지 않기 위해 덮으려는 이산의 모습은 ‘이병훈 PD식 사극’이 가진 선악구도 이분법과 미션해결구조의 덫에 걸려 성장하지 못하는 주인공을 보여줄 뿐이다. ‘이산’에서 지극히 현실적인 홍국영(한상진) 캐릭터가 부각된 것은 착하기만 한 이산이 가진 캐릭터로서의 답답함을 풀어주었기 때문이다. 이제 왕으로서의 즉위가 임박한 이산에게 있어서 그 많은 과정을 통해 좀더 현실적인 성장을 그려냈어야 했던 것은 아닐까.

성장한 인물은 오히려 영조다
물론 이 부분은 현실이 아닌 환타지를 추구하는 대부분의 퓨전사극들이 가진 어려움 중의 하나다. 선한 캐릭터들의 성장담을 끌어가기 위해 반드시 그들을 보호해주는 현실적인 강력한 카리스마가 동원되기 마련인데, 결국은 그 카리스마를 물려주는 시점에 와서는 주저하게 된다. 지나친 선악구도 이분법으로 인해, 캐릭터들이 현실에 몸을 담는 것이 마치 선이 악으로 변하는 듯한 느낌을 자아내기 때문이다.

이것이 ‘주몽’에서 주몽(송일국)의 후광으로서 해모수(허준호)를 쉽게 죽이지 못하는 이유이고, 결정적인 순간까지 주몽을 담금질하는 금와(전광렬)가 필요한 이유이다. ‘왕과 나’는 초반부 너무 강력한 조치겸(전광렬)의 카리스마로 인해, 정작 주인공인 김처선이 그 카리스마를 이어받지 못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이산’에서 성장한 인물은 이산이 아니라 오히려 영조다. 드라마 전체의 힘을 만들어낸 것도 영조이며 실질적인 사건들도 영조를 통해서 비롯되고 갈무리되었다. 무엇보다도 초반부 자식을 뒤주에 가둘 정도의 강력한 군주에서부터 매병을 앓는 자애로운 할아버지의 모습으로 변해 가는 그의 모습은 이 드라마의 제목을 의심케 만들 정도이다.

애청자의 한 사람으로서 중요한 것은 앞으로 영조가 사망하고 이산이 즉위한 후의 사건 전개이다. 일단 다 잡아 놓은 노론 벽파들을 다 풀어주고는 다시 비슷한 패턴 속으로 들어간다면 재미는 더더욱 반감될 것이다. 물론 이들의 도발과 그 문제해결이 빠질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현실적으로 대처해나가는 이산의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한다. 그것이 ‘이산’을 진정한 ‘이산’으로 만드는 길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