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음악도 여행도 유연한 '이타카', 편성이 아쉽다 본문

옛글들/명랑TV

음악도 여행도 유연한 '이타카', 편성이 아쉽다

D.H.Jung 2018. 8. 21. 10:26
728x90

‘이타카’의 놀라운 유연함, 어째서 편성은 유연하지 못했을까

터키의 파묵칼레 앞에서 문득 록 음악에 대한 이야기가 화두처럼 던져진다. SNS 클릭수에 따라 용돈을 받아가며 하는 음악여행. tvN <이타카로 가는 길>은 그래서 지금껏 생수 한 병을 사는 데도 눈치를 볼 정도로 빈티가 나는 여행을 해왔지만, 이홍기를 필두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클릭수가 급증하자 매점에서 간만에 꿀맛 같은 점심의 호사를 부린다. 그러면서 슬그머니 나온 이야기가 ‘물질만능주의’를 조장하는 방송 아니냐는 농담이고, 거기서 음악의 ‘상업주의’에 대한 화두가 던져진다. 

윤도현은 록밴드에게 ‘상업주의’는 치명적이라고 말하고, 김준현은 과거 자신이 밴드를 했을 때의 경험을 말하며 당시 록이라고 하면 시끄러운 메탈만을 진짜라 여기던 분위기가 있었다고 털어놓는다. 자신은 본 조비, 미스터 빅 같은 소프트한 록이 좋았다고 말하면서. 하현우는 상업적 음악의 정의를 묻는 김준현에게 “누구에게나 익숙한 느낌의 음악”이라고 말했고, “그런 거 하면 안돼”냐는 김준현의 질문에 하현우는 상업적인 게 나쁜 건 아니라고 답했다.

그리고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에 대한 나름대로의 평가로 이어진다. 커트 코베인 때문에 록이 망했다는 항간의 이야기에 대해 윤도현은 테크니컬한 걸 추구하던 당시에 독창성을 들고 나왔던 커트 코베인을 많은 밴드들이 싫어했다고 말했다. 하현우는 커트 코베인은 록음악이 테크닉이나 메커니즘에 갇혀있을 때 그걸 깼던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그만큼 독특한 음악의 길을 갔다는 것. 하지만 윤도현은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그런 음악인도 위대해보이지만 더 위대해 보이는 사람은 모든 고난과 논란을 넘어 음악으로 진화해가면서 끝끝내 그 길을 가는 사람이라고 했다. 

간만에 록 브로스들이 진지하게 음악 이야기를 꺼내놓는 이 대목은 <이타카로 가는 길>이 가진 여행에서도 또 음악에 있어서도 보여주는 유연함을 잘 드러낸다. 여행의 시작은 윤도현과 하현우라는 어찌 보면 음악적으로 비슷한 길을 걸어가고 있는 이들이었지만 거기에 이홍기라는 새로운 인물이 들어오면서 오히려 더 잘 어우러지는 모습을 이 프로그램을 그려낸다. 한때는 아이돌이라 오해되기도 했던 이홍기는 그래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만의 음악적 색깔을 더 잘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다. 어찌 보면 이들 전문적인 음악인들과는 다르다고 볼 수 있는 김준현의 합류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조합이 그렇다. 물론 과거 밴드를 했던 경험이 김준현의 합류를 보다 자연스럽게 만들기는 했지만, 이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음악 속에서도 김준현은 자기만의 ‘지분’을 확실히 보여줬다. 카혼을 두드리며 함께 한 ‘에너제틱’이나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도 그렇지만, 히에라폴리스 원형극장에서 부른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는 모두가 집중해서 듣게 만든 노래였다. 

<이타카로 가는 길>은 다양한 음악들이 다양한 색깔을 가진 뮤지션은 물론이고, 개그맨까지도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그 유연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것은 음악만이 아니다. 여행도 그렇다. 갑자기 윤도현이 남북정상회담 때문에 귀국해야 된다는 이야기에 하현우가 짐짓 비장한 목소리로 ‘우리의 소원을 통일’을 부르며, “나라가 부르는데 가봐야 하지 않겠냐”고 말하는 대목은 어찌 보면 프로그램의 위기상황을 웃음으로 넘기는 유연함을 보여준다. 앞으로 윤도현 없이 하현우는 어떻게 이 음악여행을 해나가게 될까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토록 음악적으로 여행에 있어서도 유연한 <이타카로 가는 길>이 편성에 있어서는 유연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만일 이 프로그램이 주말 저녁 지상파가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예능 시간대가 아닌 주중 밤 시간대에 편성됐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다. 낮은 시청률이 의아하게 여겨질 만큼 충분히 재미있는 이 프로그램의 유연하지 못했던 편성이 아쉽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