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알쓸신잡3' 김영하, 의외로 멋진 소설가의 여행법 본문

옛글들/명랑TV

'알쓸신잡3' 김영하, 의외로 멋진 소설가의 여행법

D.H.Jung 2018. 10. 14. 10:04
728x90

‘알쓸신잡3’, 마치 소설을 읽는 것 같은 김영하의 여행

이건 소설가의 여행법이 아닐까. 피렌체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게 두오모 성당, 우피치 미술관이 있는 시내의 좁은 골목길과 오밀조밀한 집들 그 사이를 오가는 사람들이지만, 김영하는 엉뚱하게도 ‘영국인 묘지’를 찾아간다. 여행을 하다보면 지치게 되기 마련, 그 때마다 이 소설가는 묘지를 찾아가곤 했단다. 그래서 피렌체에 와서 묘지를 검색해보니 ‘영국인 묘지’라는 게 있다 해서 가게 됐던 것. 

피렌체의 유서 깊은 레스토랑에서 벌어진 tvN 예능 프로그램 <알쓸신잡3>의 수다가 두오모 성당과 그 성당을 설계한 브루넬레스키 이야기 그리고 피렌체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메디치 가문의 이야기들을 쏟아내고 있을 때 김영하가 꺼내놓은 ‘영국인 묘지’ 이야기는 생소하기 때문에 참신하게 다가왔다. “도시에 묘지가 있으면 꼭 한 번씩 가본다”는 김영하의 말에 그 이유를 묻자 그는 재치있는 농담을 섞어 답한다. “일단 조용해요. 고요합니다. 산 사람이 별로 없으니까.”

실제로 김영하가 간 ‘영국인 묘지’는 생각보다 예쁜 조각공원 같은 분위기의 묘지였다. 아름답다고 하자 그 곳에 있는 수녀님은 4월에 오면 붓꽃이 만발해 더 아름답다고 말한다. 알고 보니 영국인만 묻힌 묘지는 아니라고 한다. 가톨릭 신자가 아닌 외국인들이 묻혔다고 한다. ‘피렌체의 이방인’들을 위한 묘지라는 것. 그러면서 슬쩍 꺼내놓는 생각. “도시를 설계할 때 우리도 산자와 죽은 자를 공존하는 방법을 고민해봐야 해요. 우리가 영원히 사는 게 아니니까.”

김영하의 여행을 들여다보면 그 흐름이 마치 소설을 읽는 것만 같다. 사실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소재가 독자들을 사로잡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남들이 다 가는 곳이 아니라 가지 않는 곳을 찾아간다. 무엇보다 ‘영국인 묘지’라는 이름이 호기심을 이끌어낸다. 왜 영국인이 이 먼 곳에 와서 묻혔을까 하는 궁금증이다. 소설이 끊임없이 궁금증을 이끌어내는 이야기들을 통해 독자를 몰입시키듯이 김영하의 여행은 그 흐름을 따라간다.

그리고 그렇게 찾아간 곳에는 보석 같은 이야기들이 발견된다. 영국인 묘지에 존재하는 시인 엘리자베스 바렛 브라우닝의 묘지. 그러면서 그와 그의 남편 로버트 브라우닝과의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펼쳐진다. 불우한 어린 시절을 겪어 사회 비판시를 많이 썼던 이 시인은 40세에 로버트 브라우닝과 사랑에 빠지면서 유명한 사랑 시를 썼던 인물이라고 한다. 편지를 통해 이어진 두 사람의 러브스토리는 스산해져가는 초가을에 가슴을 따뜻하게 해주는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자신이 가봤던 묘지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가 생각하는 최고의 묘지는 파리의 페르 라셰즈. 파리 시내에 있는 이 거대한 묘지에는 쇼팽, 짐 모리슨의 묘가 있다. 김영하는 이 묘지의 장점이 “아름답고 파리의 도시에서 가깝고 유명인들의 묘지이고 잘 가꿔져 있다”고 말한다. ‘묘지 투어’를 할 정도로 여행을 할 때 묘지를 찾는다는 김영하를 보며 유시민은 “역시 소설가는 다르긴 다르다”라고 말했다. 김진애 교수는 “작가에게 묘지가 중요한 건 죽음이 있어야 새로운 시작이 생길 수가 있다”고 했다.

그러자 이 이야기는 김진애 교수가 썼다는 ‘묘비명’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간다. ‘인생은 의외로 멋지다’라고 썼다는 묘비명에서 김진애 교수는 ‘의외로’에 꼭 인용구 마크를 넣어달라고 했다고 한다. ‘항상’이 아니라 ‘의외로’ 라는 것. 이 말에 빗대 김영하라는 소설가의 여행법을 들여다보면 그는 그 ‘의외로’ 멋진 것들을 찾아다니는 것처럼 보였다. 

모두가 잠든 새벽. 아침 일찍 일어나 도보로 피렌체 도심에서 살짝 떨어져 있는 미켈란젤로 광장에 일출을 보기 위해 오르는 김영하는 여러 차례 피렌체를 방문하면서 느끼는 ‘시간의 흐름’을 이야기한다. 스무 살 남짓에 처음 찾아왔던 피렌체와 신인작가 시절 그리고 중년에 또 그 곳을 찾아오면서 변화한 건 자신뿐이라고 말한다. 그대로 변화하지 않고 있는 그 곳이 고맙게 느껴진다는 것. 그 와중에 시간이 흘렀고 그도 시간을 따라 흘러왔다. 그 흐름은 한 편의 소설 같다.

피렌체 시내가 내려다보이는 미켈란젤로 광장에서 김영하는 이렇게 말한다. “일출을 백 번 보든 천 번 보든 내 삶에 무슨 상관이 있어요. 근데 먹고 사는데 아무 상관없을 지라도 아름다운 것을 보고 감동할 때 내가 인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요.” 아마도 이것이 우리가 여행을 하는 이유이고, 또 소설 같은 예술 작품을 보는 이유가 아닐까. 김영하라는 소설가의 여행법이 새삼 특별하게 다가온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