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TV 속 2인자 전성시대 본문

옛글들/명랑TV

TV 속 2인자 전성시대

D.H.Jung 2008. 2. 29. 08:56
728x90

부족하지만 현실적인 캐릭터, 2인자

‘이산’에서 이산(이서진)만큼 주목받는 캐릭터는 단연 홍국영(한상진)이다. 어떻게 보면 드라마 속 주인공이자 1인자인 이산보다 소위말해 더 뜬 것처럼 보인다. 단적으로 이산은 아무리 멋진 대사를 해도 그저 멋있다는 평가 정도로 끝나지만 홍국영의 한 마디 한 마디는 어록으로 남는다. 시간적으로 보면 홍국영이 등장하는 양은 이산과 비교하면 조족지혈이다. 그럼에도 가끔씩 얼굴을 내미는 장면 속의 홍국영의 일거수 일투족에 대한 집중도는 이산보다 더 높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왕의 2인자들, 홍국영과 윤회
홍국영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이산보다 매력적이라는 말이 맞을 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무엇이 홍국영을 그렇게 빛나게 하는 것일까. 그 첫 번째 이유는 홍국영이 지극히 현실적인 캐릭터라는 점이다. 특히 이산과 비교하면 더욱 그러하다. 이산은 이른바 대의명분과 정치라는 세계 속에 자신의 개인 감정을 철저히 억누르는 캐릭터이지만, 홍국영은 그렇지 않다. 그는 노론 벽파 세력의 역모가 드러난 상황에서 이를 덮고 넘어가려는 이산의 처분에 대해 분개하는 인물이다.

‘대왕 세종’에 등장하는 윤회(이원종) 역시 앞으로 세종이 될 충녕대군(김상경)의 2인자 역할을 하고 있다. 정치적인 대의에만 밝았지 실제 현실 정치에는 어두웠던 충녕대군에게 윤회는 이상을 현실화하는 인물로 비춰진다. 그는 충녕대군이 멀찌감치 물러나 정치적 대의를 얻고 있을 때, 기꺼이 나아가 명국 사신의 문제를 해결해내는 인물이다.

당당한 2인자에 더 공감가는 시대
역사적으로도 드라마적으로도 홍국영이나 윤회 같은 인물의 역할은 사실상 초반부터 그런 것이었다. 이산이나 충녕대군이 대의명분을 세우면서 그 누구에게도 피를 묻히지 않는 모습을 고수하려 할 때, 홍국영이나 윤회는 손수 나서서 피를 묻히는 그런 역할. 이것은 실제현실에서도 2인자, 혹은 3인자들의 역할이기도 하다. 1인자들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양지에 세워놓고 자신은 음지의 진창에서 뒹구는 2인자들의 모습은 가깝게는 우리가 몸담고 있는 회사나, 가정 내에서조차 쉽게 볼 수 있는 일이다.

드라마라는 것이 현실을 살아가는 시청자들의 결핍된 부분을 채워주고 때로는 꿈꾸게 하는 어떤 것이라면, 2인자에 대한 이러한 호응은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시청자들은 완벽하게 이상화된 1인자보다는 못났어도 현실적인 2인자에 더 공감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된 데는 사회적 분위기의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이 분명하다. 이제 1인 중심의 수직구조의 명령 체계보다는 다양성이 용인되는 수평구조의 토론 체계가 합리적으로 판단되는 사회다. 그러니 1인자니 2인자니 하는 것은 역할이 그럴 뿐, 그것이 더 이상 순위를 말해주지는 않는다.

예능 속의 2인자들
최근 들어 예능 프로그램에서 2인자 혹은 3인자 캐릭터가 1인자 못지 않게 인기를 끄는 요인도 여기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무한도전’을 이끌고 있는 반장 유재석 만큼 입지를 다지고 있는 하찮은 형 박명수가 그렇고, ‘1박2일’의 리더 강호동 만큼 인기를 끌고 있는 허당 이승기나 초딩 은지원, 심지어는 상근이까지 그 예에 해당될 것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2인자면 다 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소위말해 뜨는 2인자 캐릭터란 1인자 아래서 꼬리를 내리고 있는 2인자가 아니라 오히려 대등한 입장으로 서 있는 2인자라는 점이다. 즉 2인자는 이제 어떤 시청자에게는 순위가 2인자라기보다는 1인자보다 인기 있는 2인자로 인식되며 따라서 그런 역할을 프로그램 내에서 수행하고 있을 뿐이다.

2인자 컨셉트는 때론 프로그램 자체의 정체성으로 내세워지기도 한다. ‘라디오 스타’가 대표적인데 이 프로그램 속에서 MC들은 서로 자신이 메인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서는 심지어 초대된 게스트에게 면박을 주거나 말문을 막는 상황까지 연출한다. 이것은 그만큼 치열해진 예능의 세계를 말해주면서 동시에 그와 같은 치열함이 실제 현실의 모습이라 공감되는 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가식적인 모습으로 우아한 척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는 2인자임을 인정하고 치열하게 각축전을 벌이는 모습이 더 공감을 준다는 이야기다.

TV가 보여주는 2인자 전성시대는 고스란히 사회의 모습을 포착한다. 그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그 첫째는 1인자보다 무수히 많은 2인자들이 1인자 되기가 태생적으로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한 사회이고, 그 둘째는 그렇기에 2인자로서 1인자에 억눌릴지라도 저 스스로는 당당함을 희구하는 사회이다. 이것이 물론 TV 속의 이야기라 할 지라도 드라마에서 예능까지 당당한 2인자에게 아낌없는 박수가 보내지는 이유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