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비스티 보이즈’, 자본에 포위된 청춘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비스티 보이즈’, 자본에 포위된 청춘들

D.H.Jung 2008. 5. 3. 00:47
728x90

자본에 포위된 청춘들, 혹은 우리들의 자화상

술이 잔뜩 취해 비틀대며 들어온 호스트 승우(윤계상)는 화장실 변기에 대고 토악질을 해댄다. 한 번, 두 번.... 구역질이 끄집어올린 욕망의 덩어리들이 입에서 뿜어져 나온다. 그 날 그가 마신 술은, 과거 별 볼일 없었으나 상전벽해한 부동산으로 대한민국 1%가 된 옛친구들이 준 불평부당함이 독처럼 퍼진 술이었다. 왜 누구는 갑자기 부자가 되고 왜 누구는 갑자기 날선 세상에 던져져 몸뚱어리 하나를 파는 대가로 욕망의 언저리만 핥으며 살아가야 하나. 이 구토의 장면이 ‘비스티 보이즈’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다면 아마도 그 이유는 승우가 가진 불평부당함과 조우하는 어떤 구석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비스티 보이즈’는 자본주의에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일상적인 것으로 치부되는 것들을 세밀하게 보여줌으로써 구역질을 나게 만드는 영화다. 따라서 이 영화를 잘 생기고 멋진 호스트들이 벌이는 욕망의 질주와 그 끝장 정도로 본다면 치정극으로 치닫는 후반부의 스토리라인이 맥없어질 수밖에 없다. 이 영화는 그렇게 쿨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영화가 아니며 어찌 보면 오히려 그 쿨함의 이면에 숨겨진 좀스러움을 드러내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호스티스와 호스트들이 벌이는 관계의 뒤섞임은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자본주의라는 상황 속으로 넣어지면 상식이 된다. 이 비논리적인 관계는 이렇다. 자본의 주인에게서 자신의 욕망을 얻어내기 위해 봉사하는 호스티스 혹은 호스트들은 자신이 욕망을 얻는 순간(자본을 얻는 순간), 자본의 주인이 되고싶어 한다. 호스트들이 우르르 호스티스들이 있는 룸살롱에 몰려가 질펀한 술판을 벌이고, 호스티스들이 호스트들이 있는 곳으로 몰려가 욕망의 유희를 즐기는 이 반복된 상황 속에서 자본은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순환된다.

그 속에서 이들의 모습이 하나의 소모되는 육체로 보여지는 것은 그 때문이다. 장면 속에서 그들은 끝없이 담배를 태우고 술을 마시며 섹스를 팔거나 사면서 육체를 소비한다. 그러니까 이 세계 속에 들어온 이들은 자본이라는 장작불을 계속 지피기 위해 소비되어야 하는 장작들이다. 관계는 오로지 자본의 논리 속에서만 세워진다. 승우의 누나인 한별(이승민)과 함께 살아가는 재현(하정우), 그리고 재현의 소개로 호스트일을 시작한 승우 이 둘의 관계는 재현의 표현처럼 ‘가족’이 되지 못한다. 그들 사이에는 ‘마이킹(선불금)’이나, ‘공사(돈을 갈취하는 것)’같은 불순한 단어들이 떠다니면서 언제든 관계를 자본 위에 세울 틈을 노리기 때문이다.

이 돈의 역할 놀이는 인간을 중심으로 두고 보자면 역겨운 것이 분명하지만, 돈이 권력이 되는 자본주의 상황 속에서는 절실한 현실이 된다. 그러니 그렇게 쿨하고 멋져 보이던 승우가 지원(윤진서)에게 “왜 그렇게 칫솔이 많아?”하고 반복해서 물을 때, 터져 나온 웃음 속에는 분명 자본의 사회 속에서 쿨하게 살길 강요받으며 살아왔던 관객들의 허허로운 마음을 건드리는 면이 있다. 언제든 사람이 아닌 돈을 선택하는 재현이 이 자본의 사회 속에서 무한히 방전되는 장작으로 이미 굳어진 인물이라면, 이제 딱히 좋지만은 않은 호스트의 진짜 삶에 뛰어든 승우는 그 과정 위에서 갈등하는 인물이다.

정말 무서운 것은 이 무한히 서로가 서로를 소비시키는 관계 속에서 그들의 분노가 향하는 지점이다. 그것은 사실은 자본이라는 시스템이 만들어내는 놀라운 체계지만 그 안에서 살아가는 그들에게는 그것이 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승우의 칼이 시스템이 아닌(예를 들면 호스트바나 룸살롱의 자본주들) 엉뚱한 곳을 향하는 것은 이 시스템의 정교함을 거꾸로 말해주는 대목이다. 아쉬운 점은 영화가 그 시스템으로 표상될만한 인물을 세워놓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다만 막연하게나마 네온사인이 가득한 도시풍경과 여기저기 복잡하게 얽혀있는 도심의 길들을 포착함으로써 그 안에 점처럼 존재하는 인물들을 포위하고 있는 자본의 냄새를 풍길 뿐이다.

그러니 그 포위된 공간 속에서 승우가 변기를 붙잡고 토해낸 것은 단지 술이 아니다. 그것은 그가 꾸역꾸역 삼켜 넣은(혹은 누군가 삼키게 한) 욕망의 덩어리들이다. 그리고 몸이 소화시키지 못하는 그 욕망의 덩어리들을 토해내면서 흘러내리는 눈물이 어디 승우만의 것이랴. 사실상 이 시스템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어느 누구든 깊은 밤 술 취해 돌아가는 길에 어느 전봇대 옆에서 그런 경험을 안 해본 이가 있을까. ‘비스티 보이즈’는 그러니까 슬프게도 이 자본의 세상 속에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러니 욕망의 대상으로서 ‘비스티 보이즈’를 보기를 원했던 관객이라면 끝에서 발견한 이 찝찝함의 정체에 난감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찝찝함으로의 방향수정은 어쩌면 감독의 의도인지도 모른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