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연예인은 연예나 하라?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연예인은 연예나 하라?

D.H.Jung 2008. 5. 7. 01:04
728x90

누가 연예인과 대중을 싸잡아 비하하나

광우병이 의심되는 미국 쇠고기 수입에 대해 연예인들이 자신의 의견을 블로그나 카페에 올린 것을 가지고 언론들은 탐탁지 않게 생각하는 것 같다. 이유는 연예인들의 이성적이지 않은 감정적인 대응이 대중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몇몇 언론들은 이 연예인들이 대부분 최근 활동이 뜸하다는 점을 들면서, 연예인들의 이런 대응을 마케팅의 일환으로까지 몰고 가는 형세다.

물론 어느 정도 그런 면은 없지 않을 지도 모른다. 그간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았던 연예인이라면 이러한 민감한 사안에 대해 거침없는 의견을 내보이는 것으로 시선을 끌 수도 있을 테니 말이다. 하지만 꼭 그런 식으로만 보아야 할까. 달라진 미디어 환경 속에서 연예인들이 자신의 삶과 관련된 이 사안에 대해 솔직한 이야기를 했다고 볼 수는 없을까.

중요한 것은 이 자체가 설혹 마케팅의 요소가 끼여들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결국은 대중과의 공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연예인의 발언은 그것이 인기발언이든 아니면 진심이든 모두 대중의 정서를 따라서 한 것이다. 즉 언론들이 걱정하는 것처럼 영향력 있는 몇몇 연예인(이들의 논리로 보면 활동도 뜸했기에 영향력도 별로 없다)의 힘으로 대중 정서가 움직인 것이 아니라, 대중정서와 함께 연예인이 동참한 것뿐이라는 점이다.

오히려 이들 연예인들의 발언에 대한 몇몇 언론들의 불쾌한 심사는 다른 곳에 있는 것 같다. 이들 언론들은 ‘연예인-블로그-인터넷’을 어떤 비슷한 수준으로 몰아대는 경향이 있다. 즉 ‘가볍고 천박한 그 무엇’으로 치부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인터넷의 영향력을 보는 눈에는 스타로서의 연예인을 보는 눈과 비슷한 지점이 있다. 강력한 힘을 발휘하지만 낮게 보고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득권을 가진 기관이나 언론들이 대중을 보는 눈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권위와 신뢰’를 운운하면서 언론이나 정부기관들은 아직도 자칭 어른으로서 아이 같은 이 가벼운 존재들에게 회초리를 꺼내들기 일쑤다. 맞다. 이들은 참 아이 같다. 그래서 어른들처럼 이성적으로 판단하기보다는 감정적으로 나오기 일쑤며, 품위 있고 정제된 논리 정연한 글보다는 과격하게만 보이는 비문 가득한 글들을 쏟아낸다. 함부로 글들을 긁어다가 여기 저기 도배를 해놓는 건 일상이고, 그걸 가지고 대단히 창조적인 방법으로 괴담에 가까운 확대재생산을 해내기도 한다. 기득권을 가진 자가 스스로를 어른이라 자처하며 그 눈으로 삐딱하게 보면 대중들은 통제하기 어려운 불량아가 된다.

그러니 어른이라 자처한 자들은 이 아이 같은 대중들을 이해시키고 설득시켜야할 의무가 있다. 그것이 아니라면 강제만을 통한 독단의 길이 될 수밖에 없다. 미국 소고기 수입에 대한 갑작스런 결정은 아무런 설득도, 사전 이해도 구하지 않은 채, 마치 불도저식으로 저지르고 보는 개발시대의 그것을 닮아있다. ‘정했으니 따라 오라’는 것이 그 때의 논리였다. 그 때 연예인들은 어떤 역할을 했던가. 불행히도 그 때의 역할이란 오락과 재미로 대중들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을 유도하는 것이었다. 그 때와 비교하면 지금 연예인들의 행동은 굉장한 진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니 그 시대를 경험했고 아직도 그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착각하는 기득권층들에게 연예인들의 정치적 성격을 띨 수도 있는 이러한 발언이 얼마나 위험하게 비춰질지 알 수 있는 일이다. 아직도 그들에게 정치란 생활이 아닌 국회에서 하는 일이고, 몇몇 엘리트들에 의해 결정되고 대중들은 따라오는 것이라 믿고 있는 건 아닐까. 마치 ‘연예인은 연예나 하라’는 말처럼 들리는 일부 언론들의 반응은 또한 ‘대중들은 1%의 기득권 엘리트들이 한 결정을 따르라’는 뉘앙스로도 읽힌다. 연예인도 TV가 아닌 자기 삶의 문제로 돌아오면 언제나 대중의 한 사람이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