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드라마, TV를 캐스팅하다 본문

옛글들/명랑TV

드라마, TV를 캐스팅하다

D.H.Jung 2008. 5. 15. 02:12
728x90

‘온에어’ 이은 ‘스포트라이트’, 방송이란 전문직 살릴까

한 때 소설에 있어서 ‘소설가 소설’이라 불리던 소설이 인기를 끌었던 적이 있다. 소설가가 주인공으로 나와 자성적인 입장으로 소설 쓰는 어려움을 토로하거나 소설가의 위선 같은 것을 꼬집으면서, 그 특정한 직업군의 특수한 이야기를 통해 일반적인 명제들을 끄집어내는 소설들이었다. 최근 들어 드라마에서 이와 비슷한 드라마들이 등장해 관심을 끈다. 이제 종방을 앞둔 ‘온에어’와 이제 막 시작하는 ‘스포트라이트’가 그것이다.

‘온에어’는 드라마를 제작하는 과정을 소재로 다룬 드라마로서 연예계의 앞모습이 아닌 뒷모습을 포착한다. PD와 작가, 배우와 매니저의 이야기들을 통해 드라마 제작과정의 어려움과 그 극복의 과정들을 그려낸 이 드라마의 핵심적인 관전 포인트는 바로 그 연예계의 맨 얼굴에 대한 호기심이다. 초반부터 이 드라마는 연예계와 드라마 제작의 문제점들을 꼬집으면서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붙잡는데 성공하면서 그 인기를 끝까지 이어갔다.

곧 종영하는 ‘온에어’의 바통을 이어받는 드라마가 ‘스포트라이트’다. 이제 첫 회를 끝낸 이 드라마는 방송국 기자라는 직업군의 세계를 파고든다. 브로드캐스팅이라는 소재는 특종이라는 목적의식과 생방송이라는 긴박감, 그리고 사회 속에 깃들여진 사건사고를 그 안에 포착한다는 점에서 이미 영화에서는 익숙하면서 검증된 소재다. 하지만 아직까지 드라마로서 이 세계를 다룬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드라마에 대한 남다른 기대를 갖게 만든다.

드라마가 TV, 즉 방송을 소재로 끌어들인다는 것은 방송에 대한 관심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는 것을 방증한다. ‘온에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드라마 내내 사전제작이니 쪽대본이니 하는 드라마 제작에 대한 이야기가 반복되는 이 드라마가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이것은 새롭게 시작한 ‘스포트라이트’도 마찬가지. UCC 시대를 살아가는 시청자들에게 방송은(시청은 물론 제작까지) 이제 더 이상 저쪽 세상의 일이 아니라 우리 옆에서 벌어지는 일상이 되었다.

또한 이 일상이 된 방송(혹은 영상)은 여러모로 시청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끄집어낸다. 즉 일방적인 방송을 보는 시대가 아니라 쌍방향에서 요구사항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시청자들의 개입은 때론 시청률에만 몰두하기도 하는 방송 스스로의 자성을 요구한다. ‘온에어’와 ‘스포트라이트’ 모두 등장인물들이 입버릇처럼 말하는 것은 바로 시청률이다. 이 상업적인 방송을 도마 위에 올려놓는다는 것 자체가 시청자들의 요구사항에 부응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 전문직 장르 드라마들이 자기 자신, 즉 방송을 캐스팅했다고 해서 신랄하게 자성의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온에어’의 아쉬운 점은 초반부 화두처럼 드라마 제작의 문제점들을 끄집어냈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거기에 대한 어떠한 답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후반으로 흘러오면서 거의 멜로 구도로 방향을 전환했고, 이를 통해 결말에 대한 관심을 온통 멜로의 성공에 집중시키고 있다. 또한 그 직업의 세계가 이 멜로 구도 속으로 들어가면서 예를 들면 PD와 작가 간의 비현실적인 관계 같은 전문직 장르 드라마가 기본적으로 취해야할 리얼리티 역시 상당부분 후퇴했다는 점이다.

이제 첫방을 끝낸 ‘스포트라이트’는 일단은 그 긴박감이나 직업을 다루는 세밀한 부분에 있어서는 본격 전문직 장르 드라마의 탄생을 예감케 한다. 방송국 기자라는 특정 직업을 통 해 직업 드라마가 갖는 조직 속에서의 스트레스와 성공 그리고 좌절의 이야기 같은 보편성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도 주목할만한 일이다. 사실 전문직 장르 드라마의 성공은 바로 이 부분, 기자가 아닌 보통의 샐러리맨이라도 같은 조직 경험을 통해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면서 갖게 되는 공감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의 전문직 장르 드라마들이 그래왔듯이 이 초심이 언제까지 유지될 것인지는 미지수다. 만일 끝까지 리얼리티를 가진 직업의 세계를 고수한다면, 방송을 소재로 다룬다는 자성적 의미는 물론이고 드라마의 새로운 장을 개척해낼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적당한 선에서의 타협을 통해 흐지부지된다면 시청률 지상주의를 꼬집는 드라마가 자칫 그 시청률 지상주의를 드러내는 자가당착에 빠지게 될 것이다.

소설가 소설들이 초기의 관심에서 점점 멀어져 자신들의 괴로움을 토로하는 장으로 인식되면서 결국 외면을 받았던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TV를 캐스팅한 드라마가 문제를 제시하고 아무런 해결책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그 외면의 길을 걷게 될 지도 모른다. 기왕에 TV를 다루겠다고 한다면 제대로 적나라하게 꼬집어주어야 하지 않을까. ‘본격’전문직 장르 드라마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