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휴먼다큐 사랑’, 그 평범함의 위대한 가치 본문

옛글들/명랑TV

‘휴먼다큐 사랑’, 그 평범함의 위대한 가치

D.H.Jung 2008. 5. 21. 07:46
728x90

다큐의 시대, 진짜 다큐의 맛 ‘휴먼다큐 사랑’

재작년부터 TV에 시청자들이 요청한 것은 리얼리티였다. 이미 짜여진 틀 속에서의 프로그램에 식상해진 시청자들은 좀더 의외성이 돋보이는 예측불허의 영상을 요구해왔다. 이것은 그간 본격 다큐멘터리가 가진 리얼리티의 요소를 모든 TV프로그램 속으로 끌어들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로써 드라마 분야에서는 정해진 룰 속에서 맴돌던 트렌디를 버리고 좀더 디테일한 리얼리티를 요구하는 전문직 장르 드라마가 등장했고, 예능 역시 무정형의 리얼리티쇼가 대세가 되었다. 케이블은 연일 자극적인 다큐의 틀을 끌어온 자칭 페이크 다큐 프로그램들로 넘쳐났고, 한편으로는 다큐 드라마라는 형식도 시도되었다. 거의 모든 분야에서 다큐멘터리의 요소가 스며들었다는 의미에서 지금을 ‘다큐의 시대’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프로그램들 안에서 다큐멘터리는 어떤 식으로 활용되었을까. 이렇게 생각하면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끌어온 것은 ‘실제상황’이라는 조금은 자극적으로 해석된 요소였다는 걸 알 수 있다. 거기에는 고발이나 폭로, 혹은 폭탄선언, 막말 같은 다큐의 외면적 자극만이 존재했지, 내면이 가진 진정성이 좀체 보이지 않았다. 그 짜고 맵고 단 자극적인 맛의 프로그램들은 시청자들의 입맛마저 무디게 만들었다. 이런 상황은 왜 매년 ‘휴먼다큐 사랑’이 시청자들의 큰 공감을 얻고 있는지를 뒤집어 말해준다. 그것은 이 진짜 다큐멘터리에는 진정성이라는 다큐의 진짜 재료의 맛 이외에는 그 어떤 조미료의 맛이 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휴먼다큐 사랑’이 포착하는 것은 ‘평범함의 가치’다. 그리고 그 가치는 바로 가족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피어난다. ‘휴먼다큐 사랑’의 주인공들이 거의 몸이 불편하거나 죽음을 앞두고 있거나 한 것은 바로 이 ‘평범함의 가치’를 알려주기 위함이다. 병 없이 살아간다는 것, 장애 없이 살아간다는 것,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 누군가를 키운다는 것 같은 일상의 평범함은, 그들에게는 그 자체로 비범함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돌잔치를 함께 하는 것은 평범한 일이지만 이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소봉씨에게는 비범한 일이 되며, 결혼하고 아기를 낳고 가정을 이루는 것은 평범한 일이지만, 눈 먼 아내와 점점 눈이 멀어가는 남편에게는 비범한 일이 된다. 극한의 병 앞에서는 밥 한 끼 먹는 일, 아니 그 고통을 바라보는 일조차 힘겨운 일이 된다.

하지만 평범함조차 비범한 일이 되어버리는 갑작스런 상황 속에서도 놀라운 것은 가족의 사랑이 가진 힘이다. 죽음을 앞둔 상황이지만 소봉씨에게 그 힘겨운 투병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딸 소윤이라는 존재이며, 저 자신 또한 암이지만 그 암을 마치 감기처럼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게 만드는 황정희씨의 힘은 똑같이 투병생활을 하게 된 성윤이라는 존재가 있기 때문이다. 눈 먼 아내와 자신마저 눈이 멀어가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경호씨와 영미씨가 희망을 버리지 않고 꿋꿋이 살아가는 힘은 다름 아닌 이제 두 살 된 신비가 있기 때문이다.

‘휴먼다큐 사랑’은 이 가족들이 만들어내는 기적 같은 사랑을 보여주면서 그것이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원천적인 힘이라는 걸 담담하게 전한다. 세상은 점점 살풍경이 되어가고 있고 그 속에서 점점 메말라 가는 사람들은 삶의 목표를 자꾸만 욕망으로 덧씌운다. TV가 반영해 보여주는 것들은 그 욕망들이 점점 강한 자극으로만 흘러가고 있다는 것이다. 가끔씩 다큐의 리얼리티적 요소를 통한 자극으로만 점철되어오던 리얼 버라이어티쇼에서 어떤 순간적인 진정성을 목도했을 때, 때아닌 감동을 느끼게 되는 것처럼, ‘휴먼다큐 사랑’은 모두가 더 큰 욕망으로만 달려가는 이 세태에 좀더 간단하고 평범한 진리를 끄집어내는 것만으로 마음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킨다. 그 진리란 사람은 서로 기대고 등을 대줄 때 본질에 가까워지고 아름답다는 사실이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