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뿔난 엄마들의 반란 혹은 로망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뿔난 엄마들의 반란 혹은 로망

D.H.Jung 2008. 7. 26. 00:15
728x90

엄마의 로망은 불륜이 아니라 자기생활이다

주말 밤 가족들의 때아닌 토론(?)이 벌어진다. 그간 엄마로서 희생하며 살아온 것은 이해하겠는데, 그렇다고 ‘1년 간 휴가’를 간다는 건 좀 아니라는 의견과 그간 희생해온 대가로 ‘1년도 적다’는 의견이 팽팽하다. 다름 아닌 ‘엄마가 뿔났다’ 이야기. 모든 가사활동에서의 해방을 주장한 뿔난 엄마, 김한자(김혜자)는 결국 집을 나오는 길에 남편의 차안에서 “너무 좋아!”하고 소리지른다. 그 장면은 마치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하던 모 회사 광고를 떠올리게 한다.

한편, ‘달콤한 나의 도시’의 은수엄마(김혜옥)는 늘 자신을 무시해온 권위적인 남편에게 “이제 헤어지자”고 말한다. 애써 차려준 밥상에서 곱게 먹어도 시원찮을 판에 늘 투덜투덜 반찬투정을 해대는 남편은 그 말마저 무시한다. 은수(최강희)는 그런 아빠를 잘 알기에 엄마의 심정을 이해한다. 심지어 엄마가 아빠 몰래 다른 남자를 만나고 있었다는 사실까지도. 하지만 은수는 여전히 엄마가 이혼까지 하겠다는 것에는 동의하지 못한다. 이유는? 엄마니까.

은수나 김한자네 식구들이 엄마가 집을 나가겠다는데 동의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서, 많은 시청자들도 어쩌면 같은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굳이 저렇게까지 해야하나’, ‘다들 그렇게 사는데 유난 떠네’하면서. 하지만 이런 정서에는 무언가 엄마라는 존재에 대한 암묵적인 동의, 즉 엄마로써 당연히 해야하는 의무 같은 것에 대한 가족 구성원들의 뿌리깊은 정당화가 숨겨져 있다. 이런 엄마들을 이해는 하지만 동의하지 못하는 이유가 단순히 ‘엄마니까’라는 건 무언가 문제가 있다.

이틀이 지나서야 엄마의 생일이 지난 걸 알게된 자식들에게 “너희들 왜 날 무시해?”하고 김한자가 말하는 것은 단지 그 기억 못한 생일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일 년 중 하루, 생일날에 선물이나 용돈 챙겨주고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말하면서 나머지 364일을 엄마로서의 의무에 더 충실하라 강요받아온 그 숨막히는 세월 때문이다. 뒤늦게 하게된 생일 상에 선물들을 바리바리 싸 가지고 온 자식들은 그것으로 또 일 년을 넘겨보려 했지만, 김한자는 이미 알아버렸다. 그런 매년의 이벤트가 자신의 인생에서 자기만의 삶을 지워버리고 있었다는 걸.

매년 5월8일이면 떠들썩하게 어버이날이라 해서 이 땅의 자식들을 부모님께 카네이션을 달아드린다. 자식이 부모 공경하는 것이 무에 나쁠 것인가. 중요한 것은 그 하루의 이벤트가 아니라 평상시에 부모의 행복을 살뜰히 살피는 것이 아닐까. 이 어버이날의 전신으로 만들어졌던 ‘어머니날(1956)’이 사실은 전통적인 부모의 상(신사임당 같은)을 내세우며, 끊임없는 인내와 희생을 강요하는 역할을 했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은수가 이혼을 결심한 엄마에게 “엄마로 남아 있었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는 것처럼, 우리도 늘 엄마는 자신의 이름이 거세된 엄마로만 불려지길 바랐던 건 아닐까. 엄마가 원하는 건, 생일이나 어버이날 같은 기념일도 아니고, 그렇다고 탈법적인 불륜이나 탈선도 아니다. 그저 자기 생활을 갖고 싶을 뿐이다. 드라마가 보여주는 엄마들의 자기 주장은 그저 뿔난 엄마들의 반란이 아니다. 그것은 현실에서는 여전히 꿈꾸기 힘든 엄마들의 로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