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새로운 ‘구미호’는 왜 재주를 넘지 않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새로운 ‘구미호’는 왜 재주를 넘지 않을까

D.H.Jung 2008. 8. 7. 11:26
728x90

지금의 ‘구미호’들은 어떤 변신욕구를 갖고 있을까

드디어 21세기 식으로 재해석된 ‘전설의 고향’이 베일을 벗었다. 그 첫 타자는 ‘전설의 고향’의 상징이 되어버린 ‘구미호’. 여전히 아홉 개의 꼬리를 달고 소복을 입고 산발한 모습으로 등장하지만 뭔가 느낌이 확 다르다. 물론 1970년대의 구미호와 2000년대의 구미호가 같다면 구태의연한 재연에 불과해질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재해석에 있어서 원전의 기본 틀이나 전제, 즉 전통에 대한 존중은 필요한 법이다.

본래 ‘구미호’의 백미는 착하고 순하기만 한 아내가 순간적으로 끔찍한 구미호의 얼굴로 변신하는 그 장면에 있다. 흐릿한 호롱불 아래, 남편과 아내의 평범한 저녁의 일상이 보인다. 아내는 바느질을 하고 있고, 남편은 그런 아내에게 불현듯 떠오른 듯 옛날 산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 구미호를 만났던 이야기를 해준다. 해서는 안 되는 그 얘기를 하는 순간, 카메라는 살짝 남편 뒤쪽으로 가려졌던 아내를 비춘다. 거기에는 아내는 사라지고 분노와 한에 서린 구미호가 앉아있다.

이 초창기 구미호가 열렬한 환호를 받았던 것은 당대 여성들의 억압과 해방이 그 특별한 공포 속에 내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구미호의 캐릭터는 무엇보다 그 변신능력과 사람의 간을 빼먹는 두려움으로 구성된다. 변신하기 위해 재주를 폴짝폴짝 뛰어넘기만 하면 되던 구미호가 왜 사람이 되려 하며, 또 한 사람의 아내가 되려 하는지는 이해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이것은 다분히 전통적인 사회의 가부장적이고 보수적인 가치관이 반영된 결과다. 따라서 한 남편의 아내로서 사람행세를 하기 위해 긴긴 세월을 참으며 살아가는 구미호의 모습은 가부장적 세계관에서 억눌려온 우리네 며느리들을 대변한다.

중요한 것은 이 아내로서 사람으로서 살려 했던 구미호가 결국은 그것을 포기하고(이것은 남편의 저버린 약속 때문이다), 다시 여우로 떠나간다는 설정이다. 이 부분에서 당대의 시집살이하던 며느리들은 공포라는 장르 속에서나마 억압의 탈출을 경험한다. 떠나간 구미호를 뒤늦게 그리워하며 아쉬워하는 남편의 뒤늦은 후회는 ‘구미호’가 인간이 되기 위해(며느리가 사람대접 받기 위해) 겪은 천 년 동안의 힘겨운 시집살이에 대한 소극적인 위안이 된다. 자유로운 한 인간이 보수적인 사회 속에서 아내라는 변신을 강요받고, 또 그 아내가 다시 자유로운 인간으로 변신하고자 하는 이 욕구의 반복은 ‘구미호’가 가진 핵심적인 재미를 구성한다.

하지만 사회가 바뀌어서일까. 새로 재해석된 ‘구미호’에는 남편의 비밀얘기와 그 순간 변신하는 아내의 모습이 들어가 있지 않다. 즉 변신욕구는 이 새로운 ‘구미호’에서는 주된 관심사가 아니다. 오히려 여기에는 현대적인 여성의 가치관이 더 많이 투영되어 있다. 혼례를 치르는 것이 사실은 죽음을 은폐하기 위한 의식이 되는 부분에서 ‘결혼은 죽음이다’라는 현대여성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건 그 때문이다.

사회는 개화되고 있지만(시대적 배경이 근대 초이다) 남성들은 여전히 부귀영화를 누리고 무병장수 하기 위해서는 지켜야 하는 비이성적이고 불합리한 전통에 빠져 있고, 여성들은 그 전통 속에서 여전히 신음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이것은 여성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권리가 주어지고 있다 말해지는 지금 사회가 여전히 그 속을 들여다보면 이렇게 남성들의 암묵적인 불합리의 전통에 싸여있다는 것을 강변하는 것만 같다.

‘구미호’의 공포는 그 억압의 강도가 높고 따라서 변신의 욕구가 강할수록 더 강렬해진다. 이렇게 착하던 얼굴의 그녀가 사실은 그 속에 끔찍한 여우의 모습을 감추고 있었다는 그 사실이 공포의 고갱이가 되는 것이다. 만일 이 ‘구미호’가 과거의 틀, 즉 변신욕구를 충만히 가진 구미호의 모습을 재연했다면 공포는 더 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어쩌면 지금 달라진 사회에서 그다지 의미가 없는 향수 어린 억압의 기억에 머무르게 되었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 새로운 ‘구미호’에서 아쉬운 것은 지금의 구미호들(?)이 어떤 변신욕구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좀더 깊은 연구가 필요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