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전문직 드라마에는 왜 버럭 캐릭터가 등장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전문직 드라마에는 왜 버럭 캐릭터가 등장할까

D.H.Jung 2008. 10. 24. 10:29
728x90

전문직이 멜로를 만나면 ‘버럭’하는 스승이 등장한다

거침없이 면전에 대고 “똥덩어리”라고 얘기하는 사람, 그래도 친해졌다고 생각했는데 시향에서 자른 게 못내 서운해 찾아온 단원들에게 “거지근성”이라고 말하는 사람. 하지만 그래도 언뜻 비치는 정감 어린 모습에 미워할 수 없는 강마에(김명민). 이런 사람이 사랑을 하면 어떻게 할까. 도무지 ‘사랑’같은 단어하고는 담을 쌓을 것만 같은 캐릭터는 거꾸로 사랑타령이 주조를 이루는 우리네 드라마에서는 독특하고 참신한 캐릭터다. 하지만 그 캐릭터가 너무나 매력적이어서일까. 그들의 멜로를 다시 기대하게 되는 것은.

그들은 모두 스승과 제자 사이였다
전문직과 멜로의 접합을 성공적으로 이뤄내면서 그 전범을 만든 전문직 드라마는 ‘외과의사 봉달희’다. 의사의 인간적인 면모에 카메라를 들이댄 이 드라마에는 봉달희의 스승에서 연인이 되는 안중근(이범수)이 등장한다. 봉달희를 조련하는 인물로 안중근은 차츰 그녀에게 빠져들고, 도무지 사랑과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이 인물은 자신만의 특유한 방식으로 사랑을 표현한다. 아무 것도 아닌 일에 괜스레 버럭버럭 소리를 지르는 것이다. 이 캐릭터로 이범수는 ‘버럭범수’라 불리며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기자의 세계를 소재로 했던 ‘스포트라이트’에서도 이렇게 ‘소리지르며 사랑을 표현’하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팀의 캡인 오태석(지진희)은 서우진(손예진)을 가르치는 사수로 등장해 사사건건 그녀를 몰아세운다. 하지만 조금씩 오태석은 서우진과 가까워지고 그 애틋해진 마음을 버럭 대는 것으로 표현한다. 이것은 지금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도 마찬가지다. 그는 두루미의 스승이면서 입만 열면 “귀머거리”라며 버럭 대지만 그것 역시 애정의 표현으로 변해간다.

한편 사극이지만 전문직 드라마를 표방하는 ‘바람의 화원’에서도 이것은 동일하게 나타난다. 김홍도(박신양)는 신윤복(문근영)과 사제지간으로 만나지만 남장여자인 그녀에게 알 수 없는 끌림을 느끼게 된다. 그는 늘 신윤복을 위하고 걱정하는 마음을 갖고 있지만 늘 앞에서는 콩알이라고 놀리고 때로는 소리를 지른다. 전문직 드라마 속에 왜 사랑은 모두 사제 지간에 나타나며, 또 그 스승은 늘 버럭버럭 소리를 지를까.

전문직의 완성도와 멜로의 대중성을 엮기 위해
참신한 캐릭터와 스토리에 대한 욕구는 좀더 직업적인 디테일을 요구하는 이른바 전문직 드라마를 탄생시켰다. 그런데 그런 요구와 함께 여전히 남아있는 멜로에 대한 욕구 때문일까. 전문직 드라마는 언제부턴가 다시 멜로를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그 ‘사랑’과는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매력적이고 신선한 캐릭터의 사랑을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진부한 멜로를 벗어나기 위해 ‘사랑’을 지워버린 캐릭터를 다시 멜로의 틀로 끌어들이길 원하는 시청자의 양가적인 욕구 속에서 우리네 특유의 ‘버럭 대며 사랑하는’ 캐릭터들이 탄생한다.

그들이 사제지간(이것은 최근 직업적으로 사수와 부사수의 관계이기도 하다)으로 등장하는 것은 이 전문직이 갖는 직업적 완성도(디테일)와 멜로가 갖는 대중성을 한데 엮어두기 위함이다. ‘하얀거탑’이 그 참신한 캐릭터와 높은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20% 남짓의 시청률에 머문 것은 이른바 멜로 같은 여성 시청층을 끌어들일 수 있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한편 고현정과 하정우가 등장하고 형사드라마라는 기대감을 갖고 출발했던 ‘히트’가 성공할 수 없었던 것은 멜로는 충만했지만, 디테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자칫 잘못하면 사랑타령이 되어버리는 멜로와 완성도 높은 전문직을 봉합하면서 여성 캐릭터는 전문직 속에서도 자연스럽게 애정표현을 끄집어 보여주지만, 남성 캐릭터는 전문직을 고수하면서(즉 스승의 입장에 서서) 그 애정표현을 하게 된다. 즉 버럭 대는 캐릭터는 전문직과 멜로 사이에 선 인물이다. 깊게 직업에 빠져있어 “사랑 따윈 필요 없어!”하고 외치지만 갑자기 다가온 사랑에 어쩔 줄 몰라하는 그 모습은 마치 “멜로 따윈 필요 없어!”하면서도 멜로를 요구하는 대중의 욕구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