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야심만만2’, 재탕 아닌 진화로 남으려면 본문

옛글들/명랑TV

‘야심만만2’, 재탕 아닌 진화로 남으려면

D.H.Jung 2009. 1. 20. 02:11
728x90

설문 토크로 돌아온 ‘야심만만2’의 가능성

“만 명에게 물었습니다.” 2003년 이 한 마디는 ‘야심만만’이라는 새로운 토크쇼의 서막을 알렸다. 이 토크쇼가 가진 특징은 특정 주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대중들의 공감 가는 답변들을 토크의 주제로 올린 데 있다. 설문조사라는 공적 방식으로 끌어 모은 주제 위에서 연예인들의 사담은 공감을 바탕으로 은근히 끌어내졌다. 당시 ‘연예인들끼리 나와 저들끼리 웃고 즐기는’ 토크쇼들이 가진 부정적 인식은 이 설문형식을 통해 공감으로 바뀌었다.

‘야심만만2 - 예능선수촌’으로 몸을 푼 ‘야심만만2’가 다시 돌아간 곳은 바로 그 초창기의 ‘야심만만’이다. 일단 토크를 끌어내는 형식으로서 한계를 지닌 올킬 시스템은 사라졌고, 그 자리에 ‘달려라 낭만버스’와 ‘너는 내 노래’라는 코너가 들어섰다. 이 두 코너는 ‘전국민 마음촉촉 프로젝트’라는 문구처럼 시와 노래라는 감성 코드를 부가했지만, ‘야심만만’ 초창기 코너였던 ‘만 명에게 물었습니다’의 또 다른 버전으로 볼 수 있다.

‘달려라 낭만버스’는 출연진이 특정 주제에 맞게 시를 짓는 코너. 첫 회에 보여준 ‘내 여자에게 이런 모습만은 보여주기 싫다’라는 주제는 ‘만 명에게 물었습니다’에서 활용되던 그 주제를 끌어왔다. 이 형식의 토크 코너에서 중요한 것은 이른바 ‘창작의 땔감’이라 불리는 출연진의 경험 토로 시간이다. 즉 주제에 맞는 자신의 경험을 토로하고 그 경험을 소재로 시를 짓는다는 이 형식은, 설문 주제를 통해 출연진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끌어내던 ‘만 명에게 물었습니다’의 변주라고 볼 수 있다.

‘너는 내 노래’는 만 명의 국민에게 특정 주제에 어울리는 노래를 추천 받아 그중 1∼5위를 맞히는 코너로 좀더 ‘야심만만’ 본연의 형식에 다가간 코너다. ‘호감 가는 남자로도 이런 노래 부르면 확 깬다’는 주제에 ‘She's gone’이 1위로 선정되는 식이다. 노래를 소재로 끌어들이면서 이 새로운 버전의 설문 토크쇼는 좀더 다양한 재미에 접근하려 했다. 게스트는 자신이 선택한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그 노래에 얽힌 자신의 사연을 토로하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이 코너에는 캐릭터쇼가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 캐릭터는 바로 호동양락 형제로 캐릭터화된 진행자(최양락은 역시 개그의 제왕답게 소심한 DJ라는 캐릭터를 짧은 시간에 구축해냈다)들과, 선정된 노래에 대해 약간의 주석을 달아주는 뮤직 Dr윤(윤종신)이다. 아직까지 제대로 된 형식이 구현되고 있지는 않은 것처럼 보이고, 또 어찌 보면 ‘야심만만’과 ‘라디오스타’가 결합한 듯한 구조로 보이는 코너지만 그 조합은 꽤 잘 맞아떨어지는 부분이 있다.

새로워진 ‘야심만만2’가 본래 코너의 형식에 가깝게 변화한 것은 일단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사실 ‘야심만만2 - 예능선수촌’의 한계는 ‘올킬 시스템’이 단지 선수들의 토크 경합의 장으로 기능함으로써 공감 없는 ‘저들만의 이야기’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또 게스트의 존재증명을 위해 토크쇼의 올킬 제안이 주로 그들에게 맞춰지면서 상대적으로 고정 MC들의 역할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토크 시스템의 한계도 있었다. 하지만 시와 노래의 버전으로 진화해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온 ‘야심만만2’는 ‘야심만만’이 가졌던 시청자와 공감할 수 있는 주제 안에서 이야기를 풀어낸다는 장점을 잘 살렸다고 볼 수 있다.

어찌 보면 이 버전업된 ‘야심만만2’는 ‘야심만만’의 재탕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 ‘야심만만’이 가졌던 장점들은 ‘야심만만-예능선수촌’의 그것들보다 월등하다 할 수 있다. 이제 첫 발을 디딘 상태라 아직 코너가 안정된 느낌을 주지 못하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기왕지사 표방한 노래와 시라는 감성적 부분을 어떻게 살려내 ‘야심만만’과의 차별화를 시도하느냐는 점일 것이다. 초심에 가졌었던 대중들과의 소통을 위한 실질적인 토크 주제의 선정이 회를 거듭하면서 점차 게스트 홍보를 위한 주제로 변질되고, 바로 그것 때문에 이 장점 많은 토크쇼가 망가졌던 과거의 그 경험 또한 잊지 말아야 할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