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꽃남’의 연출, 왜 만화적 상상력이 안보일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꽃남’의 연출, 왜 만화적 상상력이 안보일까

D.H.Jung 2009. 2. 4. 07:38
728x90

부재한 만화적 상상력, 사회극으로 연출된 ‘꽃남’

고교생이 함께 호텔에 들어가고 바에서 술을 마시고 나이트 클럽에서 춤을 춘다. 단지 서민이라는 이유로 계란과 밀가루 세례를 받고, 사생활이 찍혀 공개되는 등 자극적인 왕따 문화가 그려진다. 돈 앞에 지나치게 고개를 숙이는 금전만능주의를 그려 서민들의 삶을 왜곡한다. ‘꽃보다 남자’에 쏟아진 논란들은 그 끝을 예상하기가 쉽지 않다. 도대체 왜 그럴까.

원작만화가 그렇다면 끝?
가장 큰 이유는 연출력 부재에서 비롯된다. ‘꽃보다 남자’의 스토리는 대부분 일본 원작만화에서 그려진 그대로다. 하지만 같은 스토리라도 만화 속에서와 드라마 속에서는 전혀 느낌이 다르게 그려진다. 금잔디(구혜선)네 집의 아이 같은 어른과 어른 같은 아이 설정은 만화에서라면 당연히 가벼운 웃음으로 넘어갈 수 있는 이야기다. 하지만 드라마 속에서 그려진 이 아이 같은 부모들이 구준표 앞에서 보여준 비굴함은 웃음보다는 인상을 찌푸리게 만든다.

구준표의 거만한 태도 역시 만화 속이라면 이해되고 심지어 그 기성사회에 대한 도발이 통쾌할 수 있는 설정이다. 하지만 드라마 속에서 멸치를 보며 “이게 무슨 벌레냐”고 묻는 구준표를 보고 마냥 웃을 수만은 없을 것이다. 고교생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 금잔디네 부모의 모습이나, 고교생들이 한 학생을 두고 벌이는 집단따돌림은 초창기부터 원작만화가 가진 왜색문화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다. 리메이크 과정에 있어서 원작을 수용하기만 했지 우리 식의 해석이 들어가지 않았던 데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이다.

이런 비판들에 대해 제작사측은 시종일관 원작만화가 그렇다는 식으로만 말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이 원작만화로 돌리는 핑계가 납득될 수 있는 일일까. 이것은 오히려 이 드라마의 연출력 부재를 스스로 자인하는 것은 아닐까. 최근 불거져 나온 드라마 내내 깔리는 OST의 논란은 이제 이 드라마의 연출력 부재가 총체적인 부실로 드러나고 있음을 말해주는 증후로 보여진다.

‘꽃보다 남자’는 원작만화를 잘 그려내지 못했다
만화가(그것도 외국의) 드라마로 리메이크 되려면 연출에 있어서 재해석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 물론 재해석에 있어서 원작만화에 충실하려 했다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 ‘꽃보다 남자’가 원작만화를 잘 그려냈다고 볼 수 있을까. 만화의 스토리를 살리려 했다면 단순히 스토리의 재연이 아니라 스토리를 만화적으로 연출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했다.

우리는 이미 ‘메리대구 공방전’이나 ‘환상의 커플’, ‘경성스캔들’을 통해 드라마의 만화적 연출 가능성을 목도한 적이 있다. ‘메리대구 공방전’은 광각 카메라를 통해 앵글 자체를 만화적으로 활용하고, 컷을 만화의 단 나누듯이 연출해 그 만화적 스토리의 경쾌함을 만들어냈다. ‘환상의 커플’은 안나조(한예슬)라는 독특한 말투와 대사의 캐릭터를 창조함으로써 그 만화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냈고, ‘경성스캔들’은 일제시대라는 무거움을 과감하게도 만화적 연출을 통해 가볍게 그려내는 실험성을 돋보였다.

이들 일련의 수작들과 비교해보면 ‘꽃보다 남자’의 연출은 만화적이라기보다는 사회극의 분위기를 자아낼 정도로 무겁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드라마의 자극적인 전개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즉 사회극의 분위기를 자아내는 현실적인 연출들, 예를 들면 심각할 정도의 집단따돌림 장면이나, 주인공을 위기로 몰아넣기 위해 강간 같은 장면을 연상시키는 연출은 거꾸로 이 드라마의 만화적 존재들인 F4와 극명한 대비를 통해 그 일차적인 자극을 높이려는 의도다.

하지만 만화가 사회극의 뉘앙스를 가져와 논란을 만들어내고, 또 논란이 불거졌을 때 원작만화라는 핑계로 숨는 것은 당당하지 못한 태도일뿐더러 이 드라마의 연출력 부재를 드러내는 반증이기도 하다. 만화적 대사, 스토리를 그대로 끌어오고도 그것이 만화적으로 느껴지지 않는 연출은 그 만화적 속성과 드라마적 속성의 괴리로 인해 논란을 양산할 수밖에 없다. 지금 불거져 나온‘대사보다 OST’라는 비판은 이 부재한 연출력을 OST(사실 OST라고 할만한 다채로움도 별로 없다. 단 한 곡이 거의 반복될 뿐이다.)로 보완해보려는 안일한 연출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