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버라이어티여! 리얼을 넘어 어디로 가는가 본문

옛글들/명랑TV

버라이어티여! 리얼을 넘어 어디로 가는가

D.H.Jung 2009. 2. 24. 12:03
728x90

이제 리얼은 기본, 그 이상이 요구되는 버라이어티의 세계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무한도전’의 정형돈과 하하가 어색한 관계를 일상적으로 보여주거나, 유재석이 실제 결혼할 상대를 프로그램에서 얘기하는 것만 해도 쇼킹한 일이었다. ‘1박2일’이 우연히 들른 학교에서 하게된 게릴라 콘서트는 실로 “일이 커졌다”는 느낌을 주기에 충분했다. ‘패밀리가 떴다’에서 이천희가 천데렐라로 구박을 받고 박예진이 닭을 잡는 모습은 그 자체로 화제가 되었다. ‘우리 결혼했어요’에서 가상부부가 된 알렉스가 신애와 헤어지게 되자 스튜디오에 초청해 ‘화분’을 불러주는 장면은 그 자체로 마음을 끄는 구석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 이것과 똑같은 장면이 TV로 송출된다면 어떨까. 아마도 시청자들은 심드렁한 얼굴을 하게 될 것이다. 이제 리얼 버라이어티쇼라는 명칭 자체가 구태의연한 것이 되어버렸으니까. 심지어 토크쇼조차 리얼 토크를 지향하는 지금, 사실상 모든 버라이어티쇼에 리얼은 기본이 되어버렸다. 과거 리얼함 하나만으로 승부하던 시대는 지나고 이제 버라이어티쇼는 리얼 그 이상이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있다. 이미 정착된 리얼 버라이어티쇼들은 이 변화된 상황을 어떻게 적응해냈을까.

‘무한도전’, 사회적 차원으로 웃음의 스펙트럼 확장
‘무한도전’은 그저 웃음을 주는 쇼 프로그램의 차원을 넘어섰다. 이 대한민국 평균이하의 캐릭터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할 분야들을 조명해주는 마스코트가 되었다. ‘서울 디자인 올림픽 2008’, 에어로빅을 통한 ‘전국체전’출전, ‘봅슬레이 국가대표 선발전’ 참가 등등. ‘무한도전’은 도전 분야와 그 도전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연결시키며 공익적 성격을 버라이어티쇼와 성공적으로 접목해냈다. ‘일자리가 미래다’편 역시 작금의 어려운 취업 상황을 각 출연진들의 일자리 체험으로 끌어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무한도전’은 ‘리얼 버라이어티’라는 하나의 장르로 지칭하기에는 부족할 정도로 다양한 실험적 도전들을 하면서 버라이어티쇼가 가진 웃음의 스펙트럼을 확장시켰다. ‘쪽대본 드라마’특집 편 같은 패러디쇼를 통해 풍자가 갖는 신랄한 웃음을 만들었고, ‘봅슬레이편’같은 다큐적 성격까지 가진 리얼리티쇼를 통해 감동적인 웃음을 선사했다. 한편 ‘일자리가 미래다’편 같은 어려운 사회 속에서의 따뜻한 미소 또한 잊지 않았다. ‘무한도전’은 이제 웃음에 대한 강박의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적으로도 작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웃음에 도전하고 있다.

‘1박2일’, 게스트를 통한 새로운 여행형식 발굴
한 때 각종 비판에 휩싸이며 곤두박질치던 ‘1박2일’은 특유의 뚝심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외부 출연진을 끌어들여 그 독특한 다큐적 버라이어티의 재미를 되살렸다. 박찬호가 함께 했던 ‘명사와 함께 하는 1박2일’은 자칫 단순한 구조로 매너리즘에 빠질 수 있었던 ‘1박2일’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형식 자체도 가이드 역할을 하는 박찬호라는 컨셉트를 넣으면서 변화를 줄 수 있었고, 무엇보다 출연진들의 복불복과 장기자랑에 집중되었던 카메라의 시선을 게스트인 박찬호에 집중시킴으로써 지금껏 보지 못했던 ‘1박2일’의 재미를 이끌어냈다.

최근 실험적인 시도로 호평을 받은 ‘시청자와 함께 하는 1박2일’ 역시 동일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80여 명의 시청자와 함께 떠나는 그 새로운 형식 속에서 딱밤 태후 윤영주, 국립국악고 소녀시대 같은 새로운 인물의 재미가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었고, 축하공연에서는 백지영과 한민관을 포함한 개콘 멤버들의 출연이 빛을 발할 수 있었다. ‘시청자와 함께 하는 1박2일’과 ‘박찬호’특집의 성공이 말해주는 것은 이제 ‘1박2일’은 새로운 여행형식의 발굴과 함께 새로운 게스트들을 통한 변화가 필요해졌다는 것이다.

‘패밀리가 떴다’, 새로운 관계의 발굴
‘패밀리가 떴다’는 독특한 관계 설정으로 짧은 기간 안에 버라이어티쇼의 강자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대본 유출과 함께 바로 그 반복된 관계의 변화 시점을 놓치게 되면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김종국 같은 새로운 멤버의 가세와 함께 초창기 인기를 끌었던 이천희와 박예진이 관계의 중심 축에서 멀어지게 되었고, 지나치게 패밀리 중심이 아닌 게스트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움직이며 본래 이 프로그램의 힘이었던 패밀리 간에 벌어지던 관계의 재미가 흐트러졌다.

하지만 어려운 상황 속에서 다시 빛을 발하기 시작한 것은 이 쇼의 사실상 두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유재석과 이효리가 보여준 발군의 노력 덕분이다. 이효리는 김종국과 어색한 관계를 통해 재빨리 그를 패밀리 구성원 속으로 끌어들였고, 유재석은 반복된 형식, 즉 게임과 밥해먹기의 반복 속에서 즉흥적인 상황극과 애드립으로 그 단조로움을 넘어서게 만들었다. 지금 현재 ‘패밀리가 떴다’는 박예진과 김종국의 조작스캔들, 김수로와 윤종신의 어색한 형 동생 관계 같은 새로운 관계들을 정립해나가고 있는 중이다.

‘우리 결혼했어요’, 젊어진 커플의 성장 스토리에 주목
‘우리 결혼했어요’는 1기가 보여주었던 그 연예인들의 가상결혼이라는 그 자체의 재미가 차츰 시들해지면서 위기를 맞았다. 2기에서는 쌍추커플이나 개똥이네 커플 같은 새로운 인물들을 끼워 넣었지만 그 반복적인 상황은 재미를 반감시켰다. 3기로 넘어오면서 ‘우리 결혼했어요’가 시도하는 것은 가상부부 상황에 어떤 성장 스토리를 끼워 넣는 것이다. 강인-이윤지 커플은 신혼여행으로 떠난 일본 배낭여행을 통해 가난한 커플의 상황이 주는 새로운 재미를 선사했고, 태연-정형돈 커플은 초기 비판적 시선을 잠재우며 태연을 아내로 그리고 소녀시대 멤버를 처제로 둔 정형돈을 아저씨들의 동경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커플들의 이야기가 젊어진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강인-이윤지 커플은 마치 대학생 커플처럼 젊고 풋풋하지만 경제력으로 쪼들리는 모습을 통해 그 현실적인 문제에 접근했다. 이것은 태연-정형돈 커플이 가진 나이 차이라는 벽에서도 마찬가지다. 태연의 생기발랄한 모습이 어떻게 나이든 아저씨 같은 정형돈의 캐릭터와 소통할 것인지는 초미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처럼 인물들의 관계가 성장하고 발전해 가는 이야기는 ‘우리 결혼했어요’가 가진 새로운 재미를 끌어내며 1기의 전성기를 꿈꾸고 있다.

이제 리얼 버라이어티쇼도 그 리얼이라는 딱지를 떼내도 좋을 만큼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것은 이미 리얼은 모든 TV 프로그램의 바탕이 된 상황에서 그 자체로는 새로울 것이 없어져 버렸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제 버라이어티쇼는 리얼을 바탕으로 삼아 그 위에 새로운 것을 얹어야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끌 수 있게 되었다. 리얼로 무장한 버라이어티쇼들의 새로운 진화들이 기대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