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눈빛부터 다르다, 톱스타보다 배우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눈빛부터 다르다, 톱스타보다 배우

D.H.Jung 2009. 3. 13. 07:33
728x90

 배우 소지섭과 한지민, 그 눈빛이 말해주는 것

연기하는 배우의 눈빛은 때론 말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해준다. ‘카인과 아벨’에서 이초인과 오영지 역할을 각각 하고있는 소지섭과 한지민은 그걸 알고 있다. 사랑하는 연인 김서연(채정안) 앞에서는 천진난만함으로 그 행복을 드러내던 이초인의 눈빛은, 중국의 사막에서 죽을 위기에 처하자 그 절박함에 광기로 돌변하고, 기억상실을 겪게되면서 반쯤 풀린 눈빛이 된다. 한편 탈북해 국내로 들어온 오영지의 눈빛은 자신이 중국에서 가이드했던 이초인이 자신 때문에 죽은 것은 아닌가 하는 죄책감에 떨리고, 한 줌의 재로 돌아온 오빠를 보며 풀렸다가, 죽은 줄로만 알았던 이초인이 자신 앞에 서자 경악과 반가움과 슬픔 같은 복잡한 감정으로 떨린다. 이런 상황에서 그 눈은 실로 대사보다 더 깊은 감정을 드러낸다.

오영지와 이초인은 서로의 눈빛을 교환하면서 그 미묘한 사랑의 감정을 조금씩 전한다. 기억을 찾아 헤매는 이초인의 눈은 마구 자란 머리카락 속에 감춰지거나 잠을 자고 있으면서도 말을 건네고, 익숙한 병원 풍경 앞에서 그리고 우연히 보게된 김서연 앞에서는 그 멍하니 바라보는 것만으로 많은 이야기를 해준다. 집을 나간 이초인을 기다리다 지친 오영지의 눈은 화를 내며 운다. “당신 찾아다니다 피 말라죽는 줄 알았단 말입니다”라는 대사와 어우러지는 눈빛이다. 하지만 바로 이어지는 “배는 안 고픕니까?”라는 따뜻한 질문에서 그 눈빛은 뾰로통해진다.

소지섭과 한지민의 연기가 물이 올랐다고 말하는 데는 바로 이 연기 속에 살아있는 눈빛들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눈빛들을 우리는 톱스타에서 배우로 인정받은 연기자들에게서 발견한 적이 있다. ‘마이걸’과 ‘왕의 남자’로 예쁜 남자 신드롬을 일으키며 말 그대로 벼락스타가 된 이준기는 ‘개와 늑대의 시간’과 ‘일지매’에서 광기 어린 눈빛으로 꽃미남의 이미지를 넘어섰다. 국민여동생이란 이미지에 갇혀 성장을 멈췄던 문근영은 ‘바람의 화원’을 통해 슬픔과 회한이 가득한 눈빛을 보여주며 배우 문근영으로서 새로이 자리매김했다. 꽃미남이라는 수식어에 가려져 왔던 현빈은 ‘그들이 사는 세상’에서 그의 눈빛이 꽤 깊고 다양한 감정을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시트콤에서 코믹연기로 묻혀져 있던 김범의 눈빛은 ‘에덴의 동쪽’을 통해 살아났다.

톱스타로서 가지는 눈빛이 단순한 것이라면 배우로서 가지는 그들의 눈빛은 복합적이고 미묘하게 벼려져 있다. 많은 톱스타들이 배우가 되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것이 쉽지 않은 것은 단지 대사를 잘 읊고 지문대로 행동을 보여준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말보다 행동보다 더 감정을 제대로 표현해주는 눈빛으로 연기할 수 없을 때 캐릭터와 배우는 겉돌게 되고, 그걸 바라보는 시청자는 매개해주는 배우로 인해 캐릭터에 오히려 몰입할 수 없게 된다. 배우를 캐릭터와 시청자가 매개될 수 있도록 해주는 존재로 볼 때, 캐릭터가 되지 못하고 여전히 톱스타의 눈빛을 고수하는 자는 배우가 아니다.

한지민이 ‘이산’에서보다 ‘카인과 아벨’에서 돋보이는 것은 그 북한 사투리를 써야하고 절절한 사연을 갖고 있으면서도 늘 밝은 표정을 짓고 살아가는 오영지라는 배역자체가 그녀의 배우로서의 눈빛을 더 많이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톱스타가 배우가 되는 데는 자신의 노력뿐만 아니라 배역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도 벼락스타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꽃보다 남자’의 이민호가 대표적일 것이다. 하지만 이 인기는 배우 이민호에서 온 것이라기보다는 캐릭터 구준표에서 온 것이 맞다. 따라서 갑자기 톱스타가 된 이민호가 배우로서 자리하기 위해서는 그걸 뛰어넘은 수많은 연기자들의 그 살아있는 눈빛에서 배워야 할 것이다. 톱스타의 눈빛은 단순하고 배우의 눈빛은 깊다. 생명력에 있어서 톱스타는 짧고 배우는 길다는 면에서, ‘톱스타보다 배우’의 눈빛을 선택하는 이들이 더 많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