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꽃남’, 그 ‘비비디바비디부’의 세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꽃남’, 그 ‘비비디바비디부’의 세계

D.H.Jung 2009. 3. 31. 07:25
728x90

‘꽃남’, 그 광고 같은 세상의 마력

‘꽃보다 남자’는 극단적인 빈부 격차를 바탕으로 드라마가 구성되어 있다. 초부유층인 구준표(이민호)는 하녀와 집사까지 있는 궁전 같은 집에서 살지만, 서민층 금잔디(구혜선)는 자그마한 아파트에서 옥탑방으로 그리고 결국에는 집 없이 거리를 떠도는 처지로 살아간다. 구준표는 스포츠카에 전용비행기까지 있어 원하면 전용 섬으로 여행을 떠날 수 있을 만큼 여가의 삶을 즐기지만, 금잔디는 자전거를 끌고 새벽 우유 신문 배달에, 아르바이트에 대부분의 시간을 생계로 써야한다. 하지만 이 비교체험 극과 극 같은 구준표와 금잔디에게도 똑같은 것이 있다. 그것은 같은 기종의 핸드폰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구준표와 금잔디의 핸드폰이 말해주는 것
물론 이것은 PPL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지만, 광고를 하는 입장에서 보면 대단히 중요한 사실이다. 초부유층이나 서민층이나 완전히 다른 물적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그래도 핸드폰만은 같다는 이 사실, 즉 핸드폰에 주어진 특권적인 평등의식(?)은 이 드라마 출연자들을 두고 왜 핸드폰 업체들 간의 각축전이 벌어졌는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아무리 가난해도 구준표폰을 쓸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드라마가 끝나거나 시작되기 직전에 드라마 속 주인공들이 등장하는 광고가 어째서 드라마와 그렇게 잘 어울리는가를 설명해주기도 한다. 이 판타지로서의 초부유층과 현실로서의 서민층의 접점에 등장하는 핸드폰이 주는 뉘앙스는 이 드라마가 가진 힘의 원천을 살짝 드러내준다. 그것은 광고의 세계가 그렇듯이 판타지로 그려지는 물질적 욕망의 세계를 (드라마를 통해) 누구나 얻을 수 있다는 유혹이다.

‘꽃보다 남자’는 광고식 표현으로 얘기한다면 “생각대로 하면 되는” ‘비비디바비디부’ 세상이다. 그 세상의 주인은 F4로 불리는 네 명의 미소년들이고, 그들은 현실에서는 찾을 수 없는 입시경쟁제로의 신화그룹 재단 학교를 다닌다. 이 생각대로 뭐든 되는 이들을 보통사람들은 선망하며 숭배한다. 이것은 흔히 TV를 볼 때 광고가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와 유사하다. 판타지의 세계가 있고 그 판타지는 상품들과 연결되어 있다. 광고가 말하는 것은 손을 뻗어 그 상품을 구매하는 순간, 당신도 그 판타지를 얻을 수 있다는 속삭임이다.

그러니 그 광고 같은 세상 속으로 들어간 서민 금잔디는, 광고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대변자가 되어 그 판타지 세상을 대리 경험해준다. 광고 속에서 익히 보아왔던 뉴칼레도니아 같은 섬으로 광고 속 미소년들의 분신인 F4와 함께 여행하는 짜릿한 경험을 제공하고, 궁전 같은 집에서 하녀들의 시중을 받으며 식사를 받고, 미소년의 품에서 잠이 든다. 백화점을 통째로 빌려 쇼핑을 즐기고, 사랑하는 사람과 하녀-주인님 놀이를 한다.

이 광고 같은 세상에 대한 몰입도를 높여주는 것은 금잔디 앞에 중간 중간 도래하는 잔인한 현실들이다. 신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집단 왕따나, 구준표와의 관계 사이에 끼여드는 반대자들(강회장이나 하재경 같은)은 금잔디의 판타지를 깨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그 뿐, 광고 같은 세상에서 날아온 백마 탄 미소년들은 금잔디를 다시 그 세상으로 데려감으로써 판타지는 계속된다.

‘꽃남’이 연출한 광고 속 상품의 마력
판타지는 어찌 보면 드라마의 기본 전제일 수 있다. 따라서 판타지 자체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드라마는 현실에서 풀어지지 않는 욕망들을 자신의 세계를 통해 때론 판타지로 잊게 해주고, 때론 그 실체를 드러냄으로써 현실을 사는 이들에게 어떤 자각을 주기도 한다. ‘꽃보다 남자’가 보여주는 판타지와 거기에 대한 열광적인 반응 역시 그 연장선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딘지 불온한 생각이 드는 것은 이 드라마가 가진 지나친 상품의 냄새다.

이 드라마의 시퀀스들을 보면 스토리의 진행보다도 광고적인 장면들의 나열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이야기의 흐름을 이어가는 설명적인 대사들이 나온 후에는 여지없이 멋진 장면들, 예를 들면 바다가 보이는 카페에 앉아서 웃고 떠들며 음식을 즐기는 장면 같은 것들이 대사 없이 보여지고 그 위로 OST가 흘러나온다. 만일 이 한 장면에 특정 상품 하나를 올려놓기만 해도 이것은 하나의 광고가 될 수 있을 정도다(물론 영상은 그다지 뛰어나진 않지만). 요는 이 드라마가 이야기의 구성보다는 광고 같은 팬시한 장면들의 나열로 이루어져 있다는 얘기다. 이것은 여기 등장하는 캐릭터들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물론 ‘숨겨진 착한 구석’이라는 통상적인 매력이 있지만, 구준표라는 캐릭터를 구성하는 대부분은 물질적인 것들이다. 보는 이들의 갖고 싶은 욕망을 부추기는 팬시한 물질의 세계는 엄청난 돈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고, 구준표는 그 돈을 쥐고 있는 캐릭터다. 그는 그 돈을 스스로 번 것도 아니고 그저 태생적으로 얻은 것이므로, 그의 캐릭터는 생산하는 데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소비하는 데서 나온다. 물론 이 팬시한 캐릭터를 더욱 팬시하게 하는 것은 이민호의 수려한 외모다. 이민호가 이 드라마를 통해 벼락스타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구준표라는 캐릭터가 내면적인 매력(마음, 연기를 통해 보여지는 것)보다는 외면적인 매력(외모, 돈, 캐릭터 자체로부터 얻어지는 것)에 편향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구준표를 비롯한 F4 같은 물질적 세계 속에 살아가는 광고적(상품적) 존재들은 금잔디라는 한 여자 앞에 무릎을 꿇고 사랑을 고백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대본이 뛰어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연출이 대단한 것도 아닌 ‘꽃보다 남자’가 가진 불가사의한 힘의 실체를 엿볼 수 있다. 그것은 저 광고가 가진 상품 판타지의 힘과 유사하다. 갖고 싶은 것들이 즐비한 그 세계 속에서 뭐든 그걸 이뤄주는 캐릭터와 사랑에 빠지게 되는 판타지. 그 ‘비비디바비디부’의 세계가 우리를 사로잡았던 실체가 아닐까. 중독적으로 빠져들었던 드라마의 끝에서, 볼 때는 그 욕망에 끌려 바라보다가 끝나고 나면 현실과의 괴리로 인해 순간적인 허전함에 빠지는 광고가 떠오르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