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아내의 유혹’, 그 막장의 본색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아내의 유혹’, 그 막장의 본색

D.H.Jung 2009. 4. 3. 09:39
728x90

저녁 시간 그저 무심코 채널을 돌리다 ‘아내의 유혹’의 낚시질 영상에 걸려든 적이 있다. 그 장면에서 누군가는 소리를 지르고 있었고, 그 누군가의 눈빛은 정상인의 것이 아니었다. 매번 챙겨보는 드라마가 아닌지라(이걸 왜 챙겨봐야 하는 지도 모르겠지만), 그 상황의 내용은 알 수 없다. 하지만 내용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중요한 것은 그 상황의 풍경이 전하는 ‘이거 뭔가 벌어졌구나’하는 느낌이다. 때마침 흘러나오는 긴박한 효과음은 그 느낌이 맞았다는 것을 새삼 확인시켜주면서 그 벌어진 뭔가에 시선을 돌리게 만든다. 하지만 드라마가 끝나고 나면 대부분 드는 생각은 ‘왜 내가 이걸 보고 있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길을 가다가 우연히 사람들이 모여 웅성대는 것을 보고는 호기심에 이끌리는 것과 같다. 누군가 싸움을 벌이고 있다면 십중팔구 지나던 사람들은 가던 길을 멈추고 구경을 하려 들것이다. 누가 이길 것인가 하는 점이나, 그들이 왜 싸우는가 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아무 것도 없던 평온한 일상에 갑자기 틈입으로 들어온 싸움이라는 풍경이 주는 날선 느낌이다. 그 풍경을 보면서 혹자는 일상 속에 침묵해왔던 내면의 억압을 대리해보기도 할 것이며, 혹자는 백주대낮에 웬 쌈질이라며 혀를 끌끌 찰지도 모른다. 내용도 없고 감동도 없지만 일단 사람들은 모였다. 질은 사라지고 양만 남는 것, 이른바 막장의 본색이다.

그 질이란 것을 살펴보면(그걸 살펴본다는 것 자체가 우스꽝스런 일이긴 하지만), 한 마디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복수의 연속이다. 자신의 친구이자 남편의 내연녀인 애리(김서형)가 남편과 함께 은재(장서희)를 죽음으로 내몬다. 그런데 죽은 줄 알았던(죽으면 이야기가 끝나므로 절대 죽을 수는 없다) 은재가 살아 돌아와 민여사(정애리)의 딸 민소희로 살아가며 남편 교빈(변우민)과 애리에게 복수를 한다. 여기까지는 전형적인 복수구도이기에 좀 어설프기는 해도 누구나 고개를 끄덕이며 볼만하다.

그런데 더 이상 구경시킬 싸움이 없었던 지 갑자기 죽은 줄로 알았던 민소희가 살아서 돌아와 자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은재를 몰아붙인다. 한편 애리의 아들 니노(정윤석)의 출생의 비밀이 갑자기 불거져 나오면서 은재의 오빠 강재(최준용)는 혼란에 빠진다... 끝없는 관계의 반복 혹은 돌출. 이 드라마의 키를 쥐고 있는 악역 애리가 은재의 친구이자, 강재의 애인이자, 은재남편 교빈의 내연녀란 사실은 이 드라마가 캐릭터 하나를 두고 얼마나 많은 걸 빼먹고 있는 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이 익숙한 코드의 반복이 주는 식상함을 상쇄시키기 위해 이 드라마가 내세운 것은 속도다. 이른바 ‘빠른 전개’. 말도 안 되는 상황들의 나열은 느린 속도로 전개될 때는 그만큼 욕먹을 소지도 많다. 하지만 빠르게 진행시키면 말이 달라진다. 기대효과는 과정이 아니라 결과에서 나온다. 말도 안 되는 과정의 빠른 진행은 충분히 자극적인 결과(대립 상황, 싸움풍경)로 보상받는다. 과정이 무시되고 결과에만 집착하는 형국. 막장의 또 다른 본색이다.

그러나 속도에 편승하면서 뭉개져 보이지 않던 그 과정의 풍경은 속도에 익숙해지거나, 그 종착역에 다다르면서 속도가 느려질 때가 되면 이제 그 진면목을 드러내기 마련이다. 드라마의 말미에 다다르자 ‘왜 내가 저걸 보고 있지’하는 그 마음이 고개를 쳐들기 시작한다. 물론 그 중독적인 속도에서 하차하기란 쉽지 않지만 적어도 비판적인 시선이 고개를 들기 시작한다. 시청률이란 양적 잣대가 존재의 이유가 되는 이 드라마에서 요동치기 시작하는 시청률은 드라마를 더더욱 극단적으로 치닫게 만든다.

질적인 것보다 양적인 것에 몰두하는 것, 그리고 과정보다는 결과에 몰두하는 것은 우리가 개발의 시대에 이미 익숙하게 겪어왔던 것들이다. 그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작금의 정치경제 상황을 보면 알 수 있는 일이다. 막장의 본색은 그 드라마를 파탄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그 드라마 한 편의 파탄이 아니라는 점이다. 질적 실패와 양적 성공, 과정의 실패와 결과의 성공이 주는 추상적인 성공 방정식은 어쩌면 전염병처럼 번질 지도 모를 일이다. 그리고 불황이라는 호명은 때로는 이 모든 것들에 면죄부를 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