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돌아온 일지매’, 영웅보다는 인간을 그리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돌아온 일지매’, 영웅보다는 인간을 그리다

D.H.Jung 2009. 4. 9. 07:30
728x90

영웅보다 인간을 선택한 ‘돌아온 일지매’

‘홍길동전’이나 ‘전우치전’ 같은 우리네 고전들의 영웅들을 보면 그 대결의 대상이 왕이거나, 체제 자체가 되는 과감성이 엿보인다. 탐관오리들을 징벌하고, 적서차별에 대항하고, 왕마저 탄복시키는 그 영웅들은 심지어 자신만의 나라를 세우기까지 한다. 당대 서민들의 억압된 정서를 속 시원히 풀어주는 그 이야기들이 얼마나 힘이 되었을 지 짐작해보는 건 어렵지 않다. 이준기가 분했던 ‘일지매’는 바로 이 계보를 잇고 있다.

하지만 ‘돌아온 일지매’에서 일지매는 이런 영웅들과는 색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물론 탐관오리로서 김자점(박근형)을 공공의 적으로 규정하고 그의 재물을 빼앗아 민초들에게 나눠주고, 그가 내통하는 청국의 침략을 막기 위해 은밀히 화포를 제작하기까지 하지만 그것은 왕과 대항하기보다는 왕의 밀서를 받고 은밀히 일을 진행중인 최명길(정동환)을 돕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 일지매는 그것이 왕을 위해 하는 일이라기보다는 결국 민초들의 고통을 덜기 위해 하는 일(전쟁이 나면 가장 고통받는 건 그들이라며)이라고 말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일지매가 하는 일련의 행동들은 과거 고전들의 영웅들이 보여주었던 체제 전복적인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돌아온 일지매’는 자신을 그렇게 만든 적서차별이 국가 시스템의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그 시스템 자체와 대항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김자점을 해하려는 일지매에게 그것이 결국에는 나라에 큰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며 제지하는 열공스님(오영수)의 대사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무엇보다 ‘돌아온 일지매’의 이런 ‘체제 내에서의 싸움’이 캐릭터로 잘 드러나 있는 인물은 구자명(김민종)이다. 그는 관원으로서 자신이 해야할 책무와 나라가 민초들에게 가하는 고통 사이에서 번민하는 인물이다. 따라서 일지매란 존재는 그에게는 딜레마다. 일지매는 탈법적인 일을 하지만 그것이 결국 민초를 위한 일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점은 구자명이란 캐릭터를 비극적인 인물로 만든다.

그리고 이것은 똑같이 일지매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시스템 자체를 바꾸지 않으면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를 시스템 안에서 해결하려는 그의 노력은 “민초들에게 행복을 주기보다는 고통이라도 덜어주는” 소극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일지매의 이런 모습은 지극히 현실적인 선택이 아닐 수 없다. ‘돌아온 일지매’가 영웅담류의 소재를 갖고 있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우울한 기운이 감도는 것은, 이 이야기가 이처럼 무거운 현실을 벗어나 호쾌한 세계를 그리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이 사극에서 일지매는 공적인 문제보다는 사적인 문제에 더 집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출생과 함께 버려진 일지매는 꽤 오랜 시간을 어머니의 그림자를 찾으며 방황하며 보냈고, 그 그림자 속에서 달이와 월희(윤진서)를 만나고 사랑해왔으며 지금도 그것은 진행형이다. 구자명이 가진 딜레마는 그가 평생을 사랑해온 일지매의 모친인 백매(정혜영)와의 사적인 이야기로 환원된다. 가끔씩 영웅담을 표명하는 이 사극이 멜로 드라마의 연장선으로 비춰지는 것은 일지매가 취하고 있는 이 자세에서 비롯된다.

결론적으로 보면 ‘돌아온 일지매’는 영웅을 그렸다기보다는 한 인간을 더 조명한 드라마라고 볼 수 있다. 늘 깨지고 다치는 일지매의 모습은 그가 초인적인 영웅이 아니라 그 또한 평범한 인간이라는 점을 자꾸 상기시킨다. 이것은 어쩌면 고우영 화백이 원작만화를 그렸던 당대 현실의 억압적인 검열 탓인지도 모른다. 아니면 만화 같은 영웅보다는 좀더 인간적이고 현실적인 영웅을 그리려 했던 의도 탓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바로 이런 점들이 ‘돌아온 일지매’가 촘촘한 스토리에 실험적인 연출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대중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한 드라마를 만든 것은 아닐까. ‘돌아온 일지매’는 분명 인간미 넘치는 인물들이 매력적인 작품이다. 하지만 이 어려운 시국에 대중들은 어쩌면 황당하더라도 좀더 초인적인 판타지를 제공하는 영웅을 기대했을 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