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소지섭, 최명길 효과, 명품 연기의 뒤안길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소지섭, 최명길 효과, 명품 연기의 뒤안길

D.H.Jung 2009. 4. 17. 09:49
728x90

작품이 배우를 따라주지 못할 때

‘카인과 아벨’에서 소지섭의 눈빛 연기는 정말 소름이 끼칠 정도다. 슬쩍 웃기만 해도 뭇 여성들의 가슴이 설렐 정도라는데, 남자가 봐도 충분히 그럴만하다고 느껴진다. “그렇다고 형이 동생을 죽여?”하고 소리치며 분노에 충혈된 눈을 볼 때면 이 광기의 배우가 가진 깊이가 어디까지일까 새삼 가늠하게 만들기도 한다. ‘카인과 아벨’에 소지섭이 있다면, ‘미워도 다시 한번’에는 최명길이 있다.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을 보이다가도 순간 무너지면서 보여지는 아픈 속내를 드러낼 때면 그 고통이 뼛속까지 전달되는 느낌이다.

물론 이들 드라마에는 소지섭과 최명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연기는 앙상블이어서 받쳐주는 사람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자칫 드라마에 독만 된다. ‘카인과 아벨’에서 소지섭을 받쳐주는 악역으로서의 신현준이나, 상대역으로서의 한지민의 연기도 발군이다. 마찬가지로 ‘미워도 다시 한번’에서 최명길과 대립각을 이루는 전인화나 적과 아군을 넘나드는 최윤희 역할의 박예진 역시 대단한 연기를 보여준다. 우리는 이런 연기에 ‘명품 연기’라는 호칭을 주저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작품들이 ‘명품 연기’에 걸맞는 명작일까. 이 질문에는 쉽게 답이 나오지 않는다. ‘카인과 아벨’은 지나치게 많은 소재와 장르들을 덧붙였다. 그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을 제대로 소화해냈는가 하는 점이다. 의학드라마에 복수극에 가족극에 액션, 멜로까지 거의 모든 소재와 장르들이 드라마의 전반부를 장식하며 온갖 기대감을 갖게 만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종반에 다다른 시점에서 이 드라마는 그 많은 소재에 어느 것 하나 깊이 있는 접근을 해주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전반부를 사로잡았던 기억의 문제는 후반부의 피투성이 형제간의 싸움 속에서는 아무런 연결고리를 갖지 못하고 있다. 또 의학드라마의 변용이라고 할 수 있는 ‘상대방을 죽일 수도 있는’ 의학이라는 측면은 어떤 고민이 배제됨으로써 그저 복수극의 한 방식으로만 활용된 측면이 있다. 멜로에 있어서도 그 중심축이 본래는 형과 아우 사이에 서 있는 김서연(채정안)에 초점에 맞춰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오영지(한지민)쪽으로 편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출생의 비밀이나 서자와 적자 간의 대결 같은 소재는 이제는 좀 식상한 면이 있다. 드라마 진행에 있어서도 그토록 강렬한 인상을 주었던 악역 최치수(백승현)가 너무 쉽게 처리되는 모습에서는 어떤 허탈함까지 느끼게 만든다.

이것은 ‘미워도 다시 한번’에서도 마찬가지다. 초반부 중년의 사랑을 다시 돌아보게 만드는 듯한 스토리 라인에서 갑자기 치정극으로 치닫던 드라마는 이제 끝내 쓰지 않았어야 할 최윤희(박예진)의 출생의 비밀 카드까지 끄집어냈다. 그러고 보면 이 드라마는 애초부터 이런 구조, 즉 과거의 비밀이 하나씩 카드로 제시되면서 드라마의 갈등국면을 고조시키는 이야기로 구상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첫 번째 카드는 내연녀 은혜정(전인화)의 불륜 카드였고, 두 번째는 한명인의 첫사랑의 부활이라는 카드였으며, 세 번째는 최윤희의 출생의 비밀 카드였다. 과거의 비밀이 마치 유령처럼 나타나 끝없이 현재를 가로막는 이 드라마는 그 지나침 때문에 개연성을 잃어가고 있다. 한명인과 은혜정이 최윤희와 며느리와 딸로 얽힐 가능성이 현실에서는 도대체 얼마나 될 것인가.

‘명품 연기’는 확실히 드라마를 살린다. 스토리 구조가 아무리 어설퍼도 눈에 핏발이 서는 광기의 연기는 그 정도의 약점은 충분히 덮어준다. 하지만 그것이 진정으로 드라마를 살리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오히려 명품 연기는 돋보이지만 드라마는 묻히게 된다. 캐릭터는 보이지만 드라마는 잘 보이지 않게 된다. 흔히들 출연료를 운운하면서 드라마 제작에 있어 배우 의존도가 너무 심하다고 말하곤 한다. 맞는 이야기다. 우리네 드라마는 지나치게 노동집약적(심지어 사고가 빈발하는)인 구조를 갖고 있다. 이것은 분명 개선되어야 할 문제다. 하지만 그 전에 먼저 드라마 자체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고민을 해야하지 않을까. 부실하고 식상한 대본 위에서도 혼신의 힘을 다하는 명품연기를 볼 때마다 어떤 안타까움이 남는 건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