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찬란한 유산'이 깬 대박 공식 세 가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찬란한 유산'이 깬 대박 공식 세 가지

D.H.Jung 2009. 7. 13. 08:49
728x90

대작, 캐스팅, 막장을 넘어선 '찬란한 유산'

시청률 40%를 돌파한 '찬란한 유산'의 성공은 신드롬에 가깝다. 드라마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이승기, 한효주, 배수빈 같은 출연 배우들에 대한 관심도 가히 신드롬급이다. 그런데 '찬란한 유산'의 성공 요인들을 들여다보면 지금껏 통상적으로 우리가 생각해왔던 공식들에서 빗겨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찬란한 유산'은 흔히 말하는 대작드라마가 아니다. 어찌 보면 지나칠 정도로 평범한 가족드라마의 틀을 벗어나지 않고, 로케이션이라고 해봐야 멀리 간 곳이 동해안 정도일 정도로 소박한 드라마다. 이것은 툭하면 해외 로케이션이 범람하는 작금의 드라마 공식 속에서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찬란한 유산'은 그 소박한 모습에도 불구하고 40% 시청률을 넘기는 국민드라마가 될 수 있었을까.

그것은 대작드라마가 가진 한계를 오히려 '찬란한 유산'이 벗어나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블록버스터 드라마라고 부르는 대작드라마들은 그만큼 화려한 볼거리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바로 이 점이 오히려 약점이 되기도 한다. '거대한 그림'에 집착하다가 디테일한 이야기에 소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찬란한 유산'은 그 외형보다는 내실이 탄탄한 드라마다. 유산과 핏줄이라는 사회적 이슈가 될 만한 보편적인 주제로 공감을 이끌어내면서도, 드라마가 보여주어야 하는 극적인 갈등구조를 균형 있게 병치시키는 노력을 포기하지 않았다. 따라서 드라마는 극적인 힘을 가지면서도 세대를 넘어서는 공감대를 가져갈 수 있었다.

이러한 스토리와 연출에 대한 자신감은 흔히 대작드라마들이 가져오는 스타마케팅의 함정도 벗어나게 했다. 이 드라마의 이승기와 한효주는 한류스타도 아니고, 그렇다고 중견배우도 아니다. 이승기는 가수출신으로 '소문난 칠공주'에서 첫 연기 신고식을 치른 후, 이 드라마가 두 번째 작품이 되는 셈으로 연기자로서는 이제 막 시작한 새내기라고 할 수 있다. 한효주는 상대적으로 이승기보다는 많은 작품에 등장했지만, 그간 제대로 된 캐릭터를 만나지 못해 빛을 보지 못했던 배우다.

그러니 캐스팅만을 두고 보면 이 드라마의 기대치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러한 낮은 기대치를 비웃기라도 하듯, 이 드라마는 성공적인 캐릭터를 구축해냄으로써 이 두 배우들을 스타덤에 올렸다. 이승기는 이로써 가수, 예능인, 배우로서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고, 한효주는 드디어 자신의 몸에 맞는 캐릭터를 만나 비상했다. 이밖에도 배수빈, 문채원, 김미숙, 반효정 등 많은 배우들이 주목받을 수 있었던 것은 이 드라마가 그만큼 좋은 캐릭터들을 많이 보유했기 때문이었다.

마지막으로 '찬란한 유산'이 깬 대박공식 중 가장 큰 의미를 둘 수 있는 것은 '착한 드라마는 안된다'는 편견이었다. 이 드라마는 막장드라마들이 할거하는 드라마 세상에서 진심과 진정성에 호소하는 것으로 국민드라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해 보여주었다. '찬란한 유산'은 이처럼 흔히 말하는 대작이어야 한다거나, 대스타들이 캐스팅되어야 한다거나, 자극적이야 한다는 그 대박드라마의 공식들을 보기 좋게 깨버렸다. '찬란한 유산'의 성공이 시사하는 점이 크다는 것은 바로 이 깨져버린 공식들 너머에 어쩌면 우리 드라마의 미래가 있을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