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릎팍 도사'와 장한나, 그 소통의 앙상블 본문

옛글들/명랑TV

'무릎팍 도사'와 장한나, 그 소통의 앙상블

D.H.Jung 2009. 9. 10. 09:26
728x90

'무릎팍 도사'가 세상과 소통하는 법

"로스트로포비치, 미샤 마이스키..." 줄줄이 장한나에게 음악을 사사했던 세계적인 스승들의 이름들을 읽어나가던 건방진 도사 유세윤. 하지만 그는 그런 세계적인 스승들의 이름조차 자신은 잘 모른다며 심지어 "그래서 하나도 부럽지 않다"고 말한다. 대신 그는 '무릎팍 도사'의 PD들 이름을 대면서 자신이 존경하는 분들이라고 말한다. 물론 이것은 농담이다. 하지만 바로 이 농담에 '무릎팍 도사'만의 화법이 숨어있다. 어떤 계층이나 어떤 타 분야의 인물들, 특히 이름만 들어도 주눅이 들 정도의 명사들이 오더라도, 거의 같은 눈높이를 유지하려는 노력. 이것이 '무릎팍 도사'가 세상과 소통하는 법이다.

장한나라는 세계적인 첼리스트이자, 음악가를 앞에 앉혀두고 '무릎팍 도사'가 제 눈높이에서 맘껏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그 용기는 어디서 나올까. 그것은 MC들의 캐릭터에서 나온다. 무릎팍 도사, 강호동은 '무식한' 콘셉트의 캐릭터다.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은 이 캐릭터에 잘 어울리는 표현이다. 세계적인 스승들의 사사를 받는 장한나에게 "레슨비는 얼마나 내냐"고 물을 수 있는 것은 그 무식함이 캐릭터의 콘셉트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어울리지 않는 의외의 질문은 그 자체로 웃음을 유발한다. 토크쇼는 답변을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웃음을 주는 포인트는 주로 질문을 통해 제시되기 마련이다.

세계적인 명사들에게 던져지는 가장 낮은 수준의 질문은 그러나 그저 웃음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그 낮은 수준의 질문에 성실히 답하는 장한나의 모습은, 우리가 연주회장에서 보았던 카리스마 넘치는 그녀의 또 다른 모습, 즉 보통사람과 똑같은 진솔한 모습을 발견하게 한다. 이것은 권위의 해체가 주는 묘한 쾌감을 선사한다. '그들도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라는 인식은 막연히 갖고 있던 편견의 벽을 무너뜨리고 어떤 동질감을 느끼게 해준다. 클래식이라는 어딘지 특정 부류들만 향유할 것 같은 문화는 바로 이런 부분에서 소통의 물꼬를 트게 해준다. 악보를 펼쳐놓고 장한나와 무릎팍 도사가 함께 입으로 연주하는 모습은 이런 동질감 위에서 가능한 일이다.

한 편 나머지 두 명의 MC들도 저마다의 기능을 갖고 있다. 건방진 도사 유세윤은 건방지다는 콘셉트 외에 조사하고 준비하는 MC의 캐릭터를 갖고 있다. 이것은 메인 MC인 무릎팍 도사의 '무식함'을 보조하는 것이면서, 토크쇼의 정보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다만 크 콘셉트가 건방짐이기 때문에 정보의 전달은 뒤틀리기 마련이다. 그러면서 건방진 도사가 하려는 얘기의 뉘앙스는 '내가 당신보다 나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건방지고 도발적인 얘기들이지만 캐릭터 안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웃음으로 승화되고 결국 명사와의 동등한 눈높이를 만든다.

올밴은 '꿰다 논 보릿자루' 캐릭터다. 그는 아무 말도 안하고 멀뚱멀뚱 이 토크쇼를 관전하고 있다가 가끔씩 '봉창 두드리는 소리'를 해댄다. 단 한 푼도 받지 않고 사사해주면서 나중에 그 배운 것을 또 다른 후학에게 가르치라는 장한나의 스승들의 이야기를 할 때, 그는 "이것이 바로 청출어람이라는 것입니다"라고 말하다가 갑자기 강호동에게 "빌려간 15만원 빨리 돌려 달라"고 말한다. 이것은 강호동과 올밴의 지극히 현실적인(?) 관계와 비교해 세계적인 거장들과 장한나 사이의 숭고하기까지 보이는 관계를 오히려 돋보이게 한다.

'무릎팍 도사'가 구사하는 낮은 자들의 화법은 그 세계 속으로 들어오는 이들의 인간적인 모습을 발견하게 해준다. 상상해보라. '무릎팍 도사'에 나오기 전, 우리가 상상해왔던 장한나의 모습과, '무릎팍 도사'에 나와 실컷 웃고 떠들고 난 후, 우리가 발견한 장한나의 모습 사이의 차이를. '무릎팍 도사'는 물론 하나의 웃음을 지향하는 토크쇼에 불과하지만, 그 토크쇼가 보여주는 독특한 화법으로 인해서 알게 모르게 세상에 존재하는 편견의 벽을 무너뜨리고 있다. 이 문화적 차이 같은 벽을 넘어서 인간 대 인간으로 마주하는 것. 이것은 '무릎팍 도사'가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이며 또한 수직적 체계가 무너지고 수평적 체계의 다양성으로 향해가는 현 사회가 소통해야 하는 방식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