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선덕여왕' 빼곤 볼게 없다, 어쩌다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선덕여왕' 빼곤 볼게 없다, 어쩌다가?

D.H.Jung 2009. 9. 18. 09:54
728x90

장르의 경쟁적인 소비가 낳은 트렌디한 스토리의 문제

지금 드라마들은 장르가 가진 트렌디한 틀 속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스포츠 에이전시의 세계를 들고 온 스포츠 드라마, '드림'은 이종격투기라는 새로운 소재를 다루고 있지만 스토리는 스포츠 드라마가 갖는 전형적인 틀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심에서 벗어난 남자들의 성공을 향한 질주, 권력을 쥔 자와의 대결구도 그리고 적절한 멜로구도가 반복된다. 새롭게 시작한 '공주가 돌아왔다'는 줌마렐라를 내세운 전형적인 트렌디 멜로드라마다. 발레라는 소재를 집어넣었지만, 드라마의 핵심 스토리는 이 트렌디 멜로를 벗어나지 못한다.

물론 '선덕여왕'이라는 발군의 사극과 경쟁하고 있지만, 5%에도 미치지 못하는 '드림'이나 6% 정도의 시청률에 머물러 있는 '공주가 돌아왔다'는 자체적으로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어딘지 치열함이 느껴지지 않는 기획에 지나치게 트렌디한 드라마 스토리와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캐릭터들을 조합하는 것만으로는 애초부터 답이 나오기가 힘든 상황이다. 화제성은 어느 정도 갖고 있으나 드라마 내적으로 보면 트렌디한 장르 그 이상을 발견하기 어려운 이러한 드라마들의 문제는 수목 드라마에 오면 더욱 심각해진다.

새로이 시작한 '맨땅의 헤딩'은 축구를 소재로 한 청춘드라마지만, 드라마는 소재만큼 신선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차봉군(유노윤호)의 성장 스토리에 사각관계로서의 트렌디 청춘 멜로를 엮어놓았을 뿐, 축구라는 소재의 디테일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에이전트라는 직업이 갖는 새로운 이야기가 들어있는 것도 아니다. 처음 연기에 도전하면서 부족해도 열심히 하는 자세가 돋보이는 유노윤호의 노력이 아까울 정도로, 스토리는 캐릭터를 살려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청률은 6%대. 스토리 없이 젊은 배우들의 맨땅의 헤딩만으로는 시청률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아가씨를 부탁해'는 초반 윤상현과 윤은혜가 출연하고 '꽃보다 남자'가 갖는 판타지 드라마의 재현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차츰 드라마가 진행되면서 이미 봐왔던 트렌디한 설정들과 상투적인 멜로로 인해 시청률은 점점 가라앉고 있다. 이제 13%대의 시청률에 머물러 있는 이 드라마는 기획 단계부터 트렌디 판타지 멜로를 예고했고, 그것은 또한 이 드라마의 한계를 애초부터 지어버린 격이 되었다.

후반으로 오면서 시청률이 반등하고 있는 '태양을 삼켜라'는 이 수목드라마의 공백이 주는 반사이익을 가장 많이 본 드라마다. 아프리카와 라스베이거스, 그리고 제주도를 넘나드는 엄청난 스케일에 제작비를 감안해 보면 이 드라마가 현재 갖고 있는 17%대의 시청률은 오히려 초라하다고 봐야 할 정도다. 완성도 높은 영상미에도 불구하고 스토리가 부재한 까닭이다. 이미 많이 봐왔던 전형적인 남성드라마의 성공, 복수를 전형적으로 다루고 있는 이 드라마는 결국 '출생의 비밀'이라는 카드를 내세웠다. 스스로 드라마 스토리가 가진 문제를 자인한 셈이다.

주말드라마로 오면 스토리의 트렌디함은 심지어 막장으로까지 치닫는 느낌이다. '솔약국집 아들들'은 애초에 훈훈한 드라마로 시작했지만, 결국에는 눈물샘을 자극하는 신파와 트렌디한 시어머니를 내세우는 등, 방향을 선회함으로써 38%에 가까운 시청률을 일궈냈다. 하지만 이것은 드라마 스토리의 성공이라고 보기 어렵다. 시청률 성공에도 불구하고 이 드라마가 호평 받지 못하는 것은 그것이 비정상적인 스토리진행을 통해 얻어낸 결과이기 때문이다.

'스타일'은 제목처럼 스타일은 있었지만 스토리는 없는 드라마가 되어버렸다. 주인공으로 내세웠던 이서정(이지아)은 그 캐릭터가 매력이 없었고, 따라서 그 자리에 박기자(김혜수)가 서게 되었다. 본래 박기자 같은 캐릭터의 역할은 이서정 같은 캐릭터를 세워주고 성장시키는 것이지, 그 자신이 드라마를 끝까지 끌고 나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후반부로 갈수록 드라마의 힘은 빠질 수밖에 없다. 시청률이 점점 떨어지게 된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주말에 아쉬운 드라마는 '탐나는도다'다. 이 드라마는 물론 실험적이기는 하지만 아기자기한 스토리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하지만 이 탐나는 드라마를 아깝게 만드는 것은 편성이다. 이 드라마는 주말이라는 시간대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주말에 편성됨으로써 전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만일 이 드라마가 지금의 수목드라마에 배치되었더라면 어땠을까. 지금보다는 더 많은 주목을 받지 않았을까.

그러고 보면 '선덕여왕'을 빼고 현재 드라마들은 지리멸렬하게 장르라는 틀 속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그렇다면 '선덕여왕'은 어떨까. 이 사극은 장르의 틀을 벗어나고 또 다양한 장르를 끌어들임으로써 어떤 통합장르의 가능성마저 보여주고 있다. 에피소드별로 구성되는 시추에이션 드라마의 성격에 전체를 꿰뚫고 나가는 시리즈극이 적절히 균형을 맞춘 이 사극 속에서 우리는 추리극을 발견하기도 하고, 멜로드라마를 발견하기도 하며, 미드식의 장르 드라마의 문법을 발견하기도 한다.

또 어떤 면에서는 '출생의 비밀'이라는 가족드라마 특유의 코드들이 눈에 보이지 않게 스며들어 복잡한 구조의 이야기를 따라가게 만드는 힘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신라시대를 다루는 미션사극의 새로움과 가족드라마나 멜로드라마의 코드를 숨겨놓는 익숙함이 적절히 균형을 맞추고 있는 것은 이 드라마의 작가들이 얼마나 대중들의 눈높이를 맞추려는 노력을 해오고 있는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현재 우리 드라마들은 화제성 있는 소재에 이른바 장르화된 성공 코드를 접목시키는 방식으로 손쉽게 시청률을 끌어 모으려는 안이한 방식에 젖어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이미 코드들은 대중들이 보기에도 쉽게 인지되고 있고, 따라서 장르 자체가 급속히 소비되면서 피곤해진 상황이다. 늘 될 만한 장르들만 반복해서 경쟁적으로 드라마를 만들어온 탓이다. 이 시점에서 '선덕여왕'이 보여주는 통합장르의 가능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장르와 장르들의 경계를 넘어서거나 또는 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스토리를 모색하는 것은 현 위기로 인식되는 드라마 시장의 새로운 대안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