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EIDF <오백년의 약속>, 노모를 보내는 아들의 마음이란 본문

옛글들/SPECIEL

EIDF <오백년의 약속>, 노모를 보내는 아들의 마음이란

D.H.Jung 2013. 10. 22. 17:54
728x90

세월을 담아냄으로서 삶이 예술이 된 다큐

 

"빨리 힘 내서 벌떡 일어나야지. 아들 손 잡고 뚜벅뚜벅 걸어가야지. 어메. 앵두나무 꽃이 이제 피려고 그래. 복숭아나무도 피려고 그러고, 매실도 피려고 그러고. 근데 어메는 왜 자꾸 이렇게 처져." 육십줄을 훌쩍 넘긴 아들이 자꾸만 기력이 없어지는 엄마에게 말한다. 엄마는 마치 아들의 잡은 손을 놓치지 않으려는 듯 기력없는 손가락을 재게도 움직인다.

 

 

'오백년의 약속(사진출처:EIDF)'

점점 없어지는 기력과 점점 사라지는 기억들. 노모의 시간들은 속절없이도 흘러간다. 마치 나이테처럼 세월의 더깨가 얹어져 깊어진 주름의 골만을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이 다큐가 전해주는 시간의 무게를 느낄 수 있다. 아들은 노모의 가녀린 피부를 만지면서 "홍시처럼 얇아서 겁이 난다"고 말한다. 그 표현이 실감나게 아들이 노모의 손을 만지는 손은 조심스럽다.

 

'효'라고 얘기하면 어딘지 이 깊디 깊은 영화의 이야기를 너무 가볍게 해쳐버리는 느낌이다. 그것은 '효'의 본질이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지금 세태가 '효'라는 단어를 바라보는 시각이 그렇다는 것이다. 쿨한 세대들에게 '효'를 얘기하면 어딘지 구닥다리 취급을 받는 시대다. 그러니 '효'보다는 한 사람의 삶과 그 삶이 흘러가는 시간과 흔적을 얘기하는 편이 낫겠다. <오백년의 약속>은 담담하게 이제 인생의 끝을 향해가는 노모에게 담겨진 시간들과 그 위로 겹쳐지는 아들의 시간을 그저 시간처럼 바람처럼 담아낸 기록물이다.

 

물론 노모를 마지막으로 보내며 아들이 오열하는 장면은 그 깊은 슬픔을 우리에게 온전히 전해준다. 하지만 그렇게 속절없이 세월에 깎여 사라지는 한 사람의 삶을 이 다큐가 기록해내고 있다는 점은 우리네 삶이 그렇게 허허롭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다큐 중간에 노모와 아들이 대청마루에 앉아 무언가 담소를 나누며 파안대소를 터뜨리는 장면은 그래서 인상적이다. 끝은 결국 오지만 그 과정에 담겨진 아름다운 시간과 기억들은 오래도록 남을 것이다. 아들에게도 또 관객에게도.

 

노모는 18살에 결혼해 남편과 사별하기까지 십여 년의 세월을 4미터 길이의 두루마리에 '여자소회가(18세기말부터 전해내려오는 내방가사)'로 풀어냈다고 한다. 아들은 이 어머니가 남긴 두루마리를 마치 소중한 추억이자 유산으로 아낀다. 이것은 아마도 한 사람의 때론 힘겨웠고 때론 즐거웠던 한 때가 남겨진 기록이자 유물이 될 것이다. 그래서 이 노모가 남긴 두루마리는 노모의 마지막을 담아낸 이 다큐와 유사한 의미를 남긴다. 삶은 지나가도 그것은 누군가에게 기록으로 남는다. 혹은 기억으로.

 

-----------------------------

사족1)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이 있다. 자꾸 기력과 기억을 잃어가는 노모는 아들이 눈앞에 보이지 않자 "애비야"하며 아들을 부른다. 그러자 아들이 다가가 "예 저 여기 있어요"라고 말한다. 기력이 없어 손 하나 까닥할 힘이 없어보이는 노모는 그러나 다가간 아들의 발등을 쓰다듬는다. 노모의 마음은 얼마나 아들이 고맙고 소중했을까.

 

사족2) 개인적으로 이 영화에 나오는 이준교 국장을 잘 안다. 10여년 전 필자가 모 잡지사에 있을 때 <월간 미술> 편집장을 하시다 나온 이준교 국장이 고정필자였다. 필자와 편집자였지만 우리의 관계는 그 이상이었다. 그 때의 모습 그대로인 국장님을 영화로 보게 된 것이 무엇보다 반가웠다. 늘 작품을 바라보시던 시선이 있으셨기 때문일까. 삶이 고스란히 담겨진 두루마리나 마지막이 담겨진 다큐영화가 노모의 삶을 예술로 만들고 있었다. 예술이란게 특별한 어떤 것이 아니라 바로 누군가의 삶이라는 걸 깨닫게 해주었다. 부디 보내신 마음 추스르스길.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