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이해는 하겠는데 화가 나! 본문

옛글들/생활의 단상

이해는 하겠는데 화가 나!

D.H.Jung 2007. 9. 11. 12:42
728x90

논리의 대화법, 감정의 대화법

살다보면 때론 상황이 역전되기도 한다. 10여 년 직장생활에 얻은 거라곤, 뱃살과 카드 빚이라는 걸 깨달은 순간, 집단의 삶이 개인의 삶을 송두리째 뽑아놓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순간, 아이들과 대화한 게 도대체 언제였나 생각하게 된 순간, 사표를 던지고 프리랜서의 길을 걸어온 나로서는 이 역전된 상황이 자못 황당하기까지 하다.

그 때 아내가 늘 했던 말이 뭐였던가. 술 좀 작작 마시라는 것, 가족 좀 생각하라는 것, 회사가 전부가 아니라는 것. 그런데 아내가 직장을 나가고 나서부터 그 말은 어느새 내 것이 되어 있었다. 회식 좀 작작해, 그래도 12시 전엔 들어와라, 가족이 우선이야. 아내는 예전에 내가 변명했듯이 논리적으로 자신의 상황을 피력한다.

회식 하고싶어 하는 거 아니다. 사회 생활이 어디 회사 내에서만의 능력으로 되나? 다 두루두루 사람들 만나고 그래야 되는 거지. 가족하고 함께 있고 싶은 생각이 굴뚝이지만 그래도 내가 선택한 직장인데 성공해야지. 다 맞는 말이고 이해도 된다. 사실 그 얘기들은 온전히 과거 내 얘기였으니까.

사실 아내에게 사회생활을 하라고 부추긴 건 나 자신이다. 아이를 낳고 점점 꿈이나 성취와 멀어져 가는 아내를 보면서 자기만의 일이 없으면 점점 망쳐질 것 같은 조바심 때문이었다. 능력 있던 아내를 그렇게 그냥 방치하는 건 죄악이다 싶었다. 그리고 그 선택은 아무리 지금의 상황이 나쁘다 해도 후회하지 않는다. 내 인생의 설계도에는 잘 나가는 아내의 그림도 그려져 있으니까.

하지만 논리적으로 이해가 된다고 감정적으로도 좋은 건 아니다. 프리랜서로 글을 쓰며 먹고사는 나로서는 집에서 일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어느 새 주부라는 무거운 옷을 입게 됐다. 아침에 아이들 학교 바래다주고, 아내 직장 바래다주고, 집에 와서 청소하고 빨래하고 청탁된 원고 좀 쓰다가 아이들 돌아오면 밥해 먹이고 학원 보내고, 놀이터에도 가주고, 목욕시키고 아내가 늦을 땐 아이들 재워주는 하루 일과가 어느 새 내 일과가 되어 있었다. 감정적으로 기분이 나쁜 건, 이렇게 일하고 있는 나 자신이 그냥 방치되어 있다고 느낄 때이다.

어머니가 늘 말씀하신 대로 주부의 생활은 하루종일 일을 한다고 해도 전혀 티가 나지 않는다. 밥 한 끼 지어 먹이는 것은 그냥 일상적이고 기계적인 일이 아니고, 그걸 먹는 사람에 대한 적극적인 주부들만의 애정표현이라는 걸 알아챈 건, 가끔 해준 밥을 잘 먹어주는 가족들에게서 뿌듯함을 느낄 때이다. 하지만 그런 감정을 알아채는 순간, 돌아오는 부메랑이 있다. 그것은 뿌듯한 감정이 느껴지지 않을 무덤덤한 반응을 마주할 때 갖게 되는 유치한 불쾌감이다. 그럴 때는 차라리 기계적인 일로 그것을 다시 되돌리고 싶어진다.

그러니까 그런 일들이 주부들에게는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일상에 담겨진 애정표현들과 그것에 대한 무덤덤한 반응들이 중첩되면 결국 싸움이 된다. 남자들이 바가지라 폄하해 부르는 이 일상의 싸움은 그러나 그렇게 폄하할 수준의 일이 아니다. 누군가 당신이 하고 있는 일상 속의 살뜰함을 무시한다면 당신의 기분은 어떻겠는가.

과거의 내가 그랬듯이 남자들은 이 싸움에서 논리를 들이댄다. 가장의 논리, 현실의 논리, 돈의 논리 같은 것들이다. 가장으로서 얼마나 어렵게 밖에서 살아가고 있느냐는 논리와, 현실이 그렇게 호락호락하냐는 엄포, 그리고 결국 돈을 벌어오는 이유는 다 가족들을 위한 것이라는 논리다. 그러니 당신의 그런 기분은 사실 자잘한 일에 불과한 것이고, 대충 넘어가 줘야 되는 것이라는 논리다.

‘내 남자의 여자’란 드라마에 대한 평을 쓰면서, ‘일상의 사랑법’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다. 지수의 남편은 그녀의 친구인 화영이란 여자와 바람을 피우며 살고 있으면서도 지수가 일상에서 해주던 밥이 그립다. 화영의 뜨거운 사랑은 패스트푸드 같은 맛인데 비해, 지수의 일상의 사랑법은 아무리 먹어도 물리지 않지만 그다지 자극적인 맛을 갖고 있지 않은 밥과 같다는 얘기였다.

일상은 절대로 자잘하지 않다. 오히려 모든 삶의 진실은 일상 속에 있다. 무언가 거대하고 원대한 일을 하고 있다고 착각하지만, 실상 사람들이 살아가는 건 일상이다. 그러니 이 남자들이 내미는 일상과 사회생활의 이분법적 논리는 주부들에 대한 모독이다. 주부들은 그렇게 아무 것도 아닌 일을 하면서 투덜대기나 하는 부류가 아니다.

문제는 그렇다고 남자의 말이 틀리냐는 것이다. 그것은 어쩌면 남자 상황에서 가장 절실한 얘기일 수도 있다. 그 역시 어쩌면 사회생활 속에서의 일상의 늪에 빠져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논리적으로 따지면 남자든 주부든 어느 쪽도 다 맞을 수밖에 없다. 사실 감정을 거두고 찬찬히 이해하려 해보면 다 이해되는 일이다. 그런데 왜 여전히 화가 날까.

이런 상호 입장 차의 문제가 불거질 때, 논리의 대화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특히 서로를 너무나 잘 이해하는 부부관계라면 논리적인 대화는 무익한 것이기까지 하다. 이미 다 알고 있는 일이니까. 하지만 남아있는 감정은 어떤 식으로도 처리되어야 한다. 힘들다고 말할 때, 또 바가지야 할 게 아니라, 그렇지 힘들지 하면서 어깨를 도닥이는 감정의 대화법이 필요하다. 대화는 서로의 감정을 만져주기 위한 것이지, 싸워 이기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옛글들 > 생활의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실수 가족  (0) 2007.10.31
[생활의 단상] 손바닥 상처가 덧나다  (0) 2007.10.11
술과 나  (1) 2005.09.15
야구장생각  (1) 2005.09.15
꽃피는 봄이 오면  (1) 2005.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