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우리에게 여행이란 무엇인가 본문

옛글들/문화 깊게 읽기

우리에게 여행이란 무엇인가

D.H.Jung 2009. 8. 4. 15:05
728x90

그 때 우리는 동해안의 어느 바닷가에 있었다. 도시의 폭염을 피해, 도시의 돈 냄새를 피해, 달아난 우리를 비웃기라도 하듯, 하늘은 잔뜩 찡그린 채 빗줄기를 쏟아내고 있었다. 텅 빈 백사장 위에 설치된 천막 옆에서 우리는 비에 젖은 생쥐마냥 떨면서 빗물을 안주삼아 소주를 마셨다. 집으로부터 3백 킬로미터는 떨어진 외딴 곳에 잘 곳도 없는 우리들에게, 주머니에 마지막으로 남겨진 돈을 톡톡 털어서 마시는 소주 맛이란, 막막함과 설렘이 뒤섞인 기막힌 맛이었다.

그 대책 없는 상황은 오히려 즐거움이었다. 천막 안에서 흘러나오는 쿵쿵 대는 음악에 맞춰 우리는 천막 바깥에서 춤을 추었다. 소주에 취해 빗물과 바닷물에 취해. 자연 속에 적당히 자신을 방치해버린 듯한 그 기분. 그것은 어디로 가야할 지 몰라 눈을 깜박이면서도 “어떻게든 되겠지”하고 낙관할 수 있었던 청춘의 기분이었고 그것은 여행이라는 단어가 갖는 그 느낌 자체이기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지금, 그때 갔었던 그 동해안의 바닷가는 이미 사그라져버린 청춘의 모래알처럼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다. 천막이 있던 자리는 말끔하게 차려진 건물에 카페가 자리했다. 남미풍의 음악이 바다의 백사장까지 침투하는 그 곳에 앉으면,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맞으며 저 편의 바다를 감상할 수 있다. 비라도 내릴라치면 묘한 감상에 젖어 비와 바다가 만들어내는 축축함을 쳇 베이커의 ‘마이 퍼니 발렌타인’에 버무려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앉아 부르고뉴 피노누아 정도가 글라스에 채워져 있다면 금상첨화. 우리의 여행은 20년의 세월만큼 달라져 있다.

자연에 가까웠던 청춘의 우리들은 어느새 문화라는 이름 속에 둥지를 튼 인공적인 안전함 속에서 안락함을 느끼고 있다. 이것은 나이든 우리들에게 온 변화이면서, 동시에 나이 먹어버린 우리네 환경의 변화이기도 하다. 우리와 분리되면서 자연은 우리의 안식처이면서 도전이 되었다. 자연 속에 있을 때 우리는 편안함을 느끼면서도 불안함을 느낀다. 우리에게 여행이란 끝없는 이 양가감정 속에 놓여져 있다. 도시 속의 안전함 속에서 우리가 만들어낸 문화라는 즐거움을 누리면서도 훌쩍 그 도시를 떠나고 싶은 마음은, 그러나 자연 속에서의 야생적인 하룻밤을 버텨내기가 어렵다.

TV라는 매체가 가진 가장 기본적인 속성은 대리체험이라는 점에서, 여행은 바로 이런 양가감정에 놓여있는 우리들을 흔들어놓는 소재다. 우리는 ‘소파에 편안하게 앉아서’, ‘걸어서 세계 속으로’ 갈 수도 있고, 범인들은 갈 수 없는 히말라야의 ‘산’에 오를 수도 있으며, 아프리카나 아마존의 오지에서부터, 물 속 심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일들을 대리체험할 수 있다. 맥루한이 매체가 감각의 확장이라고 했던 것처럼, 우리는 TV를 통해 실제 시각으로는 볼 수 없는 세계의 세세한 순간들을 목도할 수 있고, 인간의 능력으로는 버텨낼 수 없는 심해로 들어갈 수도 있다. 대리체험을 가짜라 치부하는 것은, 영속하는 진짜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플라톤적 사고방식일 뿐,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그것이 분명 감각적으로 체험되고 있다는 현실이다. 지금은 여행을 낯선 세상과의 만남이라고 할 때, TV가 매개하는 여행 역시 그 여행의 한 부분이 되는 시대다.

'원격현전'이 TV가 가진 가장 놀라운 경이라는 점에서 TV의 공간을 포착하는 대부분의 영상들은 여행과 다르지 않다. '이 곳에 앉아 저 곳을 본다는 것'이 이 여행의 특징이자 가장 큰 매력이다. 따라서 날 것의 여행을 보여주는 것은 TV로서는 일상적인 일이다. 그러니 여행 자체가 쇼의 소재가 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여섯 남자들이 1박2일 간 떠나는 여행을 오락적인 쇼의 형식으로 포착한 '1박2일'은, 여행 그 자체를 대리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여행이 환기하는 어떤 기억을 대리해주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것은 바로 생고생의 기억이다.

도시생활에 길들여진 여섯 명의 캐릭터는 바로 우리들의 분신이고, 그들이 저 야생에 나가서 복불복 게임을 하며 노숙을 하는 건 우리들이 잊고 있던 야생의 기억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한 겨울에 텐트에서 잠을 자거나, 계곡의 얼음물 속에 들어가는 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은, 여행을 앞두고 갖게 되는 혹은 자연을 앞에 두고 갖게 되는 그 불안감과 편안함의 양가감정을 담고 있다. 이것은 저 20년 전 갖고 있었으나 이제는 잃어버린, 청춘의 대책 없는 낙관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그 힘겨움과 고통스러움이 웃음과 즐거움으로 화하는 것. 그것이 이 쇼가 주말 밤 떠나지 못한 자들을 이끌고 그들과 함께 떠나게 만드는 치명적인 유혹의 실체다.

한편 20년 전과는 달리 현재 나이 먹어버린 우리가 하는 여행이란 고작 자연 속에서도 편안한 도시의 인공 속으로 들어가는 일일 것이다. 산과 바다에 자리한 고급 펜션들과 호텔들은 자연을 찾은 이들이 다시 인공으로 들어감으로 해서 오히려 편안함을 느끼는 이율배반적인 여행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산 속에서 길을 잃어 오랜 시간 동안 헤매다 겨우 발견한 대형마트의 불빛에서야 비로소 안도의 한숨을 쉬는 것이 우리네 도시인들의 삶이 아닌가. 그러니 여행의 또 한 가지 측면은 단지 자연과의 일체감이 아니라, 다른 공간에서의 다른 생활 그 자체가 되기도 한다. 그 생활은 본질적으로는 떠나온 도시와 다를 것이 없지만, 이질적 공간이 주는 변주의 즐거움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골에 사시는 어르신들을 여행 보내드리고, 대신 그 곳에서의 하룻밤을 지내는 컨셉트의 '패밀리가 떴다'는 바로 이러한 여행의 판타지를 자극하는 쇼다. 그들이 하는 일이라고는 도착해서 짐을 풀고, 놀다가 밥을 함께 차려먹고, 함께 자고 일어나 다시 밥 차려먹고 놀고 하는 것의 반복이다. 하지만 이 단순함이 주는 판타지는 의외로 크다. 일과 욕망에 점철되어 살아가는 도시생활 속에서의 우리네 삶이 일하고 일하고 일하는 그 연속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밥 한 끼 제대로 가족들과 차려먹는다는 것이 하나의 로망이 되어버린 삶 속에서 이런 여행이 갖는 평범함(삼시 세 끼 먹고 놀다가 푹 자는)은 때론 강력한 유혹으로 다가온다.

'1박2일'이나 '패밀리가 떴다' 같은 프로그램은 그 내용에 있어서 여행의 양상을 보여주는 접근방식이 다르지만, 그 형식과 외형은 동일하다. 그것은 모두 TV라는 매체를 통해 보여주는 리얼 버라이어티쇼라는 형식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아무리 '1박2일'이 야생을 외친다고 해도 그것을 바라보고 있는 이들이 야생의 여행 체험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그 자체로 인공적인 대리 체험이 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야생으로 떠나자"고 프로그램은 소리치고 있지만, 바로 그 소리침으로 인해 우리는 TV 앞에 앉아있다는 것. 우리에게 어쩌면 여행이란 이제 이런 것으로 변해 있는 지도 모른다. 가끔씩 오지에 떨어졌을 때, 우리는 그 곳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TV의 채널을 만지작거리며 안도감을 갖곤 한다. 이곳도 내가 떠나온 곳과 다르지 않다는 안도감. 매개된 체험이 일상이 되어버린 사회 속에서 우리의 감각은 어쩌면 이미 이렇게 변해가고 있는 지도 모른다.
(이 칼럼은 Yes24의 문화웹진 나비(nabeeya.yes24.com)에 연재하는 글입니다)
관련 글 : '마더', 우리에게 엄마란 어떤 존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