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드라마

진구 아니었다면 이 드라마 이토록 흥미로울 수 있었을까

D.H.Jung 2024. 8. 11. 11:14
728x90

‘감사합니다’를 흥미진진하게 만드는 진구의 특별한 존재감

감사합니다

등장은 그저 권력욕에만 불타는 빌런처럼 보였다. 하지만 보면 볼수록 이 인물의 행동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어 보이고 이상하게 정이 간다. tvN 토일드라마 ‘감사합니다’의 황대웅 부사장(진구) 이야기다. 어째서 이 인물은 이런 복합적인 감정들을 갖게 만드는 걸까.

 

첫 등장에 빌런처럼 보였던 건, 그가 이 드라마의 주인공인 돈키호테 감사팀장 신차일(신하규)과 각을 세우는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황대웅은 JU건설 부사장으로 대표 황세웅(정문성)의 동생이다. 맏형 황건웅(이도엽)이 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져 있어 대신 대표직을 맡고 있는 황세웅과 사사건건 대립한다. 그 모습은 마치 황건웅이 황세웅을 밀어내고 대표에 욕심을 가진 것처럼 비춰진다. 그러니 빌런처럼 보일밖에. 

 

하지만 드라마가 진행되면서 황건웅이 황세웅과 대립하는 건 대표직에 대한 욕심보다는 이 건설업에 대한 그의 소신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게 드러난다. 황세웅이 J-BIMS 같은 기술개발을 통해 JU건설의 비용 절감을 하려할 때 황대웅은 그건 현장을 모르는 이야기라며 그런 기술개발이 힘겹게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 일자리를 날리는 짓이라고 반발한다. 황세웅이 숫자만 보는 사람처럼 그려진다면 황대웅은 그 뒤에 있는 사람을 본달까. 

 

성정이 불같고 그래서 주먹이 앞서거나 멱살을 먼저 쥐곤 하는 캐릭터지만, 그것 역시 이 캐릭터가 가진 인간적인 면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정반대로 그다지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황세웅 대표가 갈수록 빌런처럼 보이는 건 그 속을 알 수 없어서다. 물론 신차일을 감사팀장으로 데려온 건 황세웅이지만, 그건 그가 신차일을 이용해 정적들을 제거하고 대표 자리를 지키려는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변수는 신차일이 그런 황세웅의 의도대로 움직이는 인물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래서 다양한 비리들에 대한 감사가 진행되면서 그 과정 중에 어쩐지 점점 황세웅이 아닌 황대웅과 신차일이 한 배를 탄 듯한 느낌을 준다. 채용비리 사건이 터지고 그 사건을 덮기 위해 황대웅과 윤서진(조아람)의 관계를 누군가 폭로하는 사진을 올리자 이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황대웅과 신차일이 같은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이 그것이다. 

 

윤서진이 삼촌이라고 부르는 황대웅과 어떤 관계였는가가 밝혀지면서, 황대웅의 또다른 인간적인 면모가 드러난다. 그건 어려서 형들과 달리 아버지에게 두들겨 맞았을 때 그를 위로해 준 어런 윤서진을 조카처럼 생각했다는 것이고, 그 힘들었던 시절 그 집에서 밥을 해주던 윤서진의 엄마를 누나처럼 따랐다는 사실이다. 그가 인간적인 정이 있고 또 그걸 원하는 인물이라는 게 그 관계에서 드러난다. 

 

그런데 왜 작가는 황대웅 같은 신차일과 사사건건 부딪치면서도 또 들여다보면 따뜻한 면을 가진 인물을 굳이 그려넣은 걸까. 그건 이 작품이 그리고 있는 ‘감사’라는 일의 특성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신차일은 그 어떤 사적 관계에 흔들리지 않는 인물이다. 따라서 자신을 발탁한 황세웅의 라인이 되려고 하지도 않고 따라서 황세웅과 대척점에 선 황대웅과 무조건 대결하는 인물도 아니다. 

 

즉 어떤 라인을 따라 편을 가르고 상대를 제압하는 도구로서 감사가 이뤄져서는 안된다는 걸 신차일은 보여주는 인물인데, 황대웅은 그런 신차일과 잘 어울리는 인물이 아닐 수 없다. 때론 적처럼 보이고 때론 아군처럼 보이지만, 그건 편을 갈라서가 아니라 그저 그 사안에 있어서 그렇게 보일 뿐이라는 걸 황대웅이라는 복합적인 캐릭터가 신차일의 칼같은 캐릭터와 만나 그려내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해지는 건 결국 어찌 보면 빌런 같고 어찌 보면 너무나 인간적인 이 복합적인 캐릭터를 얼마나 공감가게 그려내는가다. 그런 점에서 보면 진구가 ‘감사합니다’라는 작품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가 드러난다. 그저 단순한 대결구도가 아니라, 사안에 따라 복합적으로 변화하는 대결을 만들어 서사를 흥미진진하게 해주고 있어서다. 물론 그건 또한 이 작품이 그리려는 편 나누기로는 제대로 될 수 없는 ‘감사’라는 소재를 효과적으로 담아내는 방식이기도 하다. (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