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드라마

더럽고 질기게 얽혔다... 이 피카레스크를 빠져서 보게 되는 이유

D.H.JUNG 2025. 4. 10. 10:30
728x90

‘악연’, 악당들끼리의 진흙탕 싸움을 관전하는 재미

악연

“그냥 악연이라고 생각해.” 드라마 엔딩에 이르러 접하게 될 이 대사는 넷플릭스 드라마 <악연>을 한 줄로 설명해준다. 악당들이 누가 더 악한가를 드러내듯 줄줄이 등장해 서로 얽히고 설키며 벌어진는 사건을 그린 <악연>은 피카레스크가 그러하듯이 선한 인물을 찾는 게 어려울 지경이다. 거의 유일하게 등장하는 피해자이자 선역인 의사 이주연(신민아)조차 마약을 이용해 악당을 움직이지 못하게 만들고 사람을 살려야할 메스로 죽이려 할 정도니 말이다. 

 

하지만 유일한 선역인 이주연의 이 분노와 복수심이 너무나 이해될 정도로 여기 등장하는 악당들은 지독하게 악한 자들이다. 사채빚에 몰려 사망보험금 5억을 타내려고 아버지를 교통사고로 위장해 죽이려는 계획을 꾸미는 아들, 아픈 아들의 병원비를 보내기 위해 이 살인의뢰를 맡아 실행에 옮기는 조선족, 음주 상태에서 노인을 치는 사고를 낸 후 이를 은폐하려 야산에 암매장하는 불륜남, 그걸 보고 어쩔 수 없이 매장을 도운 후 끊임없이 돈을 요구하는 목격자, 불륜남의 돈을 뜯어내려 의도적으로 접근한 꽃뱀... 

 

‘더럽게 얽힌 악한 인연’이라는 포스터의 문구처럼 이들은 현재 벌어진 사건과 과거사까지 겹쳐지며 더럽게 얽혀 있다. 그래서 저마다의 끔찍한 욕망들이 부딪치면서 사건이 어디로 흘러갈지 종잡을 수 없게 만든다. 그러니 선이 악을 이기는 흔한 권선징악 스릴러는 애초부터 기대할 수가 없다. 선의나 그런 의지를 가진 인물 자체가 보이지 않으니 말이다. 

 

그래서 악당들끼리 펼쳐지는 진흙탕 싸움이 펼쳐지는데 기묘하게도 이것이 <악연>이라는 드라마를 보게 만드는 힘이다. 그것은 이들의 욕망이 늘 계획한대로 흘러가지 않고 엉뚱한 변수를 맞이해 엇나가는 과정들이 펼쳐지는 지점에서 생겨난다. 사망보험금을 쉽게 탈 수 있을 거라 여겼던 자는 아버지가 사고현장이 아닌 야산에 매장된 채 발견되면서 살인사건을 의심받고, 음주 사고로 죽은 노인을 목격자까지 협박해 함께 야산에 암매장한 불륜남은 사실 꽃뱀사기범인 그 목격자의 끝없는 협박에 시달린다. 

 

그러니 이들의 악독한 욕망이 번번히 좌절되는 그 과정은 이 어두운 사건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악연>에 묘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한다. 흥미로운 건 이 좌절이 저들의 욕망들이 부딪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는 점이다. 각자의 욕망이 가진 칼날들은 그렇게 저들끼리 부딪치고 애초 계획된 방향을 벗어나 엉뚱하게도 빙 돌아 자신에게 되돌아온다. ‘악연’이라는 제목이 그저 우연적인 ‘인연’이었다면 개연성을 찾기 어려웠겠지만, 여기에는 악당들의 강력한 욕망이 야기한 결과라는 점 때문에 시청자들은 아귀가 맞아돌아가는 악연의 쾌감(?)에 몰입하게 된다. 

 

물론 하나하나 사건들의 연관고리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렇게 딱 아귀가 맞을 수 있을까 싶은 의구심이 생기지만, 어느 순간부터 시청자들은 저들의 엇나간 욕망이 좌절되고 무너지기를 기대하는 마음 속에서 그 아귀를 기대하게 만든다. 시청자들의 욕망과 기대가 만들어내는 판타지가 개연성에 개입한다고나 할까. 

 

이 드라마에서 현실감은 주는 부분은 유일한 피해자인 이주연이 끝내 복수를 결행하지 못하고 물러나는 장면일 게다. 학창시절 여럿에게 성폭행 피해를 입은 이 인물은 어쩌다 자신의 눈앞에 그 가해자 중 한 명을 마주하게 되는데, 사건 이후 단 하루도 편히 잠잘 수 없었던 그녀는 끝내 복수를 결행하지 못한다. 이것은 사법 현실이 제대로 처벌하지 않아 고통의 나날을 버티며 살아가야 하는 피해자들의 분노와 좌절을 작품을 통해 잘 그려낸다. 

 

하지만 이들 천인공노할 범죄를 저지른 자들이 저들 스스로의 악독한 욕망과 질깃한 악연들 속에서 스스로 무너질 것이고 그것이 ‘사필귀정’이라고 말하는 듯한 이 작품의 색다른 판타지는 우리네 사법 현실의 무력감을 오히려 드러내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이 작품 속에서 형사나 검사 같은 사법 집행자들의 정의 구현은 좀체 보이지 않는다. 그저 더럽고 질기게 얽힌 악연들이 그들 스스로를 파괴하는 과정이 주는 판타지가 그려지고 있을 뿐. 이것은 섣불리 선이 악을 이긴다는 이야기를 할 수 없는 우리네 사법 현실의 안타까움 때문이 아닐까 싶다. 오죽하면 ‘악연’이라는 판타지를 내세워 현실이 채워주지 못하는 처벌을 대신할까. (사진: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