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죽기 일주일 전’, 김민하를 보다보면 웃다가도 울게 된다
‘내가 죽기 일주일 전’, 김민하의 절망은 희망으로 바뀔 수 있을까
“봄이 제일 힘들다.” 티빙 드라마 <내가 죽기 일주일 전>에서 정희완(김민하)이 하는 이 말은 역설적이다. 만물이 피어나는 봄을 정희완이 제일 힘들게 여기는 건, 죽은 김람우(공명) 때문이다. 좋아했지만 람우는 사고로 먼저 세상을 떠났다. 그 후 희완은 대학을 갔지만 4년 간 세상과 문을 닫고 살았다. 람우의 죽음이 자신 때문이라고 탓하며. 모든 게 피어나야할 청춘의 시기에 맞이한 람우의 죽음으로 희완은 그 청춘을 제일 힘든 나날들로 보내고 있다.
“그 중의 4월은 최악이다.” 희완은 그 중의 4월. 그것도 4월1일 만우절을 최악으로 생각한다. 교생선생님을 속이기 위해 람우와 이름을 바꾸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친구들도 선생님도 그들을 바꾼 이름을 부르게 됐고, 나중에는 그들 자신들도 바꾼 이름에 고개가 돌려게 됐던 그 일 때문이다. 물론 그 이름 바꾸기는 희완과 람우 모두 학창시절 가장 재밌던 일이었지만, 람우의 죽음은 그 재밌던 일을 악몽으로 바꿔 놓았다. 희완은 자신이 당첨된 별똥별 보기 천문대 행사에 람우를 대신 보냈다. 평소 별똥별을 보고 싶어하던 람우에게 자신의 이름을 빌려주는 선물이라며. 하지만 그 천문대에 난 화재로 람우가 죽었다.
아름답고 빛나던 삶의 순간들은 안타까운 죽음 앞에서는 가장 힘든 기억이 되기도 한다. <내가 죽기 일주일 전>은 바로 그 빛나던 청춘의 순간들이 아픈 기억으로 남아 삶의 의지조차 잃어버린 희완 앞에 어느 날 문을 두드리고 찾아온 람우의 이야기다. 람우는 자신이 저승사자라며 대뜸 희완에게 일주일 후에 너는 죽는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람우는 그 남은 일주일 동안 그간 못해본 것들, 하고 싶었던 버킷리스트를 하자고 한다. 2인용 자전거 타기, 클래식 공연 보기, 패러 글라이딩 하기 같은 것들을 하게 되지만 그건 희완이 아닌 람우의 버킷리스트다.
희완 앞에 나타난 저승사자 람우라는 존재는, <내가 죽기 일주일 전>이라는 드라마를 하나의 판타지로 보이게 하지만 그건 절망의 끝에 서 있는 희완이 이제 더 이상 못버티겠는 마음이 만들어낸 환영처럼 읽히기도 한다. 즉 <내가 죽기 일주일 전>은 이제 삶이 너무 버거워 삶을 끝장내려는 희완이 마지막 일주일 동안 람우와의 기억들을 되새기고 남은 이들을 찾아가 하나하나 정리하는 과정을 은유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희완 역할의 김민하는 연기의 ‘자연스러움’이라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매력을 발휘하는가를 제대로 보여준다. 김민하의 화장기 하나 없어 주근깨조차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꾸밈 없는 모습은 희완 그 자체로 보인다. 그 빈 도화지 같은 희완의 모습 위에 김민하는 삶의 생기와 죽음의 허무를 한 인물 안에서 끌어안아 그려낸다. 그래서 이 작품 속 김민하를 보다보면, 청춘의 발랄함과 그 이면을 가로지르는 삶의 유한함이 겹쳐지며 웃다가고 울게된다.
김민하가 연기로 보여주듯 삶과 죽음은 이란성 쌍둥이처럼 연결되어 있다. 학창시절 설레던 사랑과 따뜻했던 우정으로 빛나던 삶은 죽음 앞에서는 더더욱 아련해진다. 정반대로 사라져 버린 죽음 앞에서 삶의 기억들을 더더욱 찬란하다. <내가 죽기 일주일 전>은 이 삶과 죽음의 변주를 담아낸다. 그래서 죽음을 이야기하지만 이 드라마는 삶의 활기와 발랄함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학창시절 이들이 얼마나 빛났고 행복했던가를 희완은 저승사자로 나타난 람우와 함께 기억해내고, 그 행복한만큼 사라진 시간들의 회한을 느낀다.
드라마는 희완과 그녀의 앞에 저승사자로 나타난 람우가 일주일 간 티격태격하면서 보내는 시간들을 담고 있지만, 그것이 희완의 환영이라고 생각하면 이 밝은 시간들이 얼마나 절절한 아픔과 슬픔으로 채워져 있는가를 절감하게 된다. 이름을 서로 바꿔 지내며, 서로의 이름으로 살아왔던 그들이다. 이렇게 저승사자로까지 나타나 희완에게서 떼어지지 않는 람우의 모습은 너무나 이해되면서도 아픈 광경이 아닐 수 없다.
“나는 그날밤 이후로 나를 용서할 수가 없어. 그런데 네가 내눈앞에 이렇게 나타나 있으니까 순간순간 니가 진짜로 살아 있다고 기대하는 내가 너무 한심해. 왜 옛날처럼 나한테 잘해주 고 웃어주고 나 때문에 니가 죽은 일이 없는 것처럼 구는 건데? 도대체 너 나랑 뭐하고 싶은 거야, 진짜?”
희완은 죽고 싶을 정도로 절망적이지만 그런 그녀에게 람우는 말한다. “정희완. 좋아해 희완아. 나 너 많이 좋아했어. 지금도 좋아해. 미안해 너무 늦게 말해줘서. 내가 널 어떻게 미워해? 니가 보고 싶어서 온 거야. 많이 보고 싶어서.” 그건 람우가 못다한 말이면서, 희완이 듣고 싶었던 말이었을 게다. 일주일 후에 희완이 죽는다는 람우의 말은, 희완 스스로 일주일만 살겠다는 의미였을 게다.
하지만 그 일주일 동안 저승사자로 나타나 람우와 보낸 시간 속에서 희완은 생각대로 끝을 맞이할까. 어쩌면 람우와의 빛나던 기억들이 희완이 놓으려하는 삶의 끈을 다시 쥐게 하지는 않을까. 죽음은 다시는 만날 수 없는 고통이지만, 망자에 대한 기억은 우리를 그래도 살게 해주는 희망일 수 있지 않을까. 웃으면서도 눈물이 나고, 그 절망 속에서 다시 희망을 보게 만드는 작품이다. (사진:티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