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윤아 매직, ‘폭군의 셰프’ 벌써부터 심상찮다
‘폭군의 셰프’, 셰프 임윤아, 폭군 이채민도 시청자도 사로잡았다
‘이 식감 이 맛은 생전 처음 느껴보는 맛.’ ‘고기가 씹히는 게 아니라 녹네..’ ‘입안 가득 담기는 육즙과 이 양념 맛은 대체 뭐란 말인가.’ 먹어보지도 않고 고기 몇 점 올라온 소반의 음식을 보고 대접이 소홀하다는 둥 일부러 트집을 잡는 채홍사 부자 임송재(오의식)와 임서홍(남경읍)은 일단 먹어보고 평가해달라는 연지영(임윤아)의 제안을 받아들여 한 점 고기를 입에 넣고는 그 맛에 절로 눈이 커진다.
<대장금> 같은 사극 배경에 쿡방과 먹방이 결합한 전형적인 요리 드라마의 한 장면 같지만, 이 요리를 만든 연지영이 그들의 반응을 보며 속으로 쾌재를 부르는 말들은 어딘가 사극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표고버섯의 구아닐산, 멸치의 이노신산, 그리고 새우젓의 글루탐산, 각기 다른 계열의 아미노산 성분을 특정한 비율로 배합하면 감칠맛이 수십 배까지 증폭된다. 이른바 감칠맛 폭탄. MSG. 현대의 합성조미료와 같다.’
사극 배경에 들어간 이 현대적인 어투의 대사는 tvN 토일드라마 <폭군의 셰프>가 타임리프 판타지라는 걸 보여준다. 연지영은 프랑스에서 열린 요리대회에서 1등을 수상한 후 귀국하던 차에 ‘망운록’이라는 신비스런 고서를 열고 조선시대로 타임리프 됐다. 어쩌다 폭군 이헌(이채민)과 악연으로 연결되고, 살아남아 다시 현재로 돌아가려 안간힘을 쓰는 연지영은 그 곳에서는 집도 절도 없고 신분도 미약한 무력한 존재지만 요리 실력 하나로 생존해 나간다.
판타지 설정이지만 그럴 듯해 보이는 건, 현대 요리 과학의 정수를 꿰뚫고 있는 연지영이 그 실력으로 조선의 입맛을 좌지우지하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해 보여서다. MSG 개념의 감칠맛을 만들어낼 줄 아는 요리사라면 조선에서 그 누구의 입맛을 사로잡지 못할까. 그런데 하필이면 연지영이 붙잡은 자가 이헌이라는 왕이고, 그가 역사에 잘 알려진 폭군 중의 폭군이라는 사실이다. 연지영은 폭군의 입맛을 사로잡고 그 마음까지 돌려 자신을 구원할 수 있을까.
최근 들어 이른바 ‘혐관 로맨스’가 트렌드라면 <폭군의 셰프>는 거기 딱 맞는 판타지 사극 버전의 혐관 로맨스가 아닐 수 없다. 어머니의 처참한 죽음에 대한 복수심에 불타는 이헌은 그 죽음의 진실을 파헤치고 거기 연루된 이들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폭군 행세를 한다. 일부러 전국의 여자들을 붙잡아가는 채홍사를 파견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어머니를 죽인 자들에게 똑같은 고통을 선사하려 한다.
폭주하는 이헌의 이 불타는 복수심은 과연 잠재워질 수 있을까. <폭군의 셰프>는 연지영의 요리로 그의 마음을 되돌리려 한다. 어쩌다 연지영이 만들어준 고추장 버터 비빔밥을 맛본 이헌은 어머니 폐비 연씨가 어려서 밥을 입에 넣어주던 때를 떠올리며 저도 모르게 눈물을 흘린다. 수비드로 부드럽게 만든 소고기와 감칠맛이 나는 조미료를 더한 음식을 맛본 이헌은 “어쩐지 그리운 맛이 나는 게 참으로 오랜만에 음식맛이 만족스러웠다.”고 말한다. 그 그리움이란 도대체 뭘까. 그건 결국 무참하게 죽은 어머니에 대한 기억들이 아닐까.
<폭군의 셰프>는 그래서 타임리프 판타지와 요리를 만들고 먹는 장면들로 문을 열지만, 결국 이를 통해 이헌이라는 폭군의 마음을 여는 연지영의 이야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건 또한 폭주하던 그 마음을 음식으로 사로잡음으로써 폭정을 바꿔 제대로 된 정치로 되돌리는 그런 이야기가 아닐까. 심플한 기획이면서도 보는 이들의 마음을 초반부터 꽉 쥐어버리는 이 작품만의 강력한 매력이 아닐 수 없다.
이 현대에서 조선으로 날아간 셰프 역할을 맡은 임윤아는 그간 필모를 통해 차곡차곡 쌓아왔던 코미디 연기가 제대로 물이 오른 모습이다. 영화 <엑시트>로 조정석과 함께 940만 관객을 동원하며 코미디 연기를 제대로 경험한 임윤아는 그 후 <킹더랜드>에서는 이준호와 합을 맞춰 달달하면서도 빵빵 터지는 로맨틱 코미디의 정수를 보여줬다. 최근 개봉한 영화 <악마가 이사왔다>에서는 새벽이 되면 악마로 변신하는 1인2역 역할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제 <폭군의 셰프>는 사극 버전의 판타지 로맨틱 코미디도 이제 척척 해내는 임윤아표 코미디의 안정감이 느껴진다.
<홍천기>에서 <밤에 피는 꽃>을 거쳐 <폭군의 셰프>로 돌아온 장태유 감독의 연출도 이 작품이 2회만에 6.6%(닐슨 코리아)를 기록하며 경쟁작인 KBS <트웰브(5.9%)>를 따라잡는데 일조했다. 코믹하게 처리해 판타지를 납득가게 하면서 이헌과 연지영의 혐관로맨스를 적절한 긴장과 이완으로 풀어나가는 장인의 모습이 느껴진다. 마동석에 박형식, 서인국, 성동일 등등 쟁쟁한 출연진으로 무장한 <트웰브>를 2회만에 압도해버린 <폭군의 셰프>. 벌써부터 심상찮은 모습이다. (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