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터플라이’, 어째서 악역 김지훈이 이토록 도드라져 보일까
‘버터플라이’, 한국 로케이션 매력 돋보였지만, 디테일한 고증 아쉽다
“미국 말투 없애려고 애 많이 썼구만. 이제 한두 마디는 제법 그럴 듯 하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시리즈 <버터플라이>에서 은주(김태희)의 엄마(이일화)는 데이비드 정(대니얼 대 킴)이 하는 어색한 한국말에 그렇게 말한다. 그 장면은 캐디스 조직에 쫓기던 데이비드 정과 은주 그리고 그들의 딸 민희(김나윤)와 레베카(레이나 하디스티)가 은주의 아버지 김두태(성동일)의 집을 찾아와 그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는 장면이다.
그 대사처럼 데이비드 정은 <버터플라이>에서 어색한 한국말을 종종 섞어 영어와 함께 쓴다. 실제로 한국계 미국인이라 한국말이 어색한 건 당연하다. 그리고 작중 인물인 데이비드 정도 마찬가지다. 그러니 이 어색함은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다. 중요한 건 그 함께 식사하는 장면 자체가 과연 한국적인가 하는 점이다. 거대한 공장 같은 곳에 테이블을 놓고 앉아 닭백숙에 ‘건배’를 하며 술을 나누는 장면은 어딘가 어색하다.
도피 중이니 그런 공간에서 어쩔 수 없이 식사를 한다고 볼 수는 있지만, 굳이 친정을 찾아가 부모를 만나는 장면에서 그런 공간이어야 했을까 싶다. 데이비드 정을 바라보는 친정 식구들의 탐탁찮지만 어쩔 수 없는 마음을 드러내는 곳이라면 이보다는 좀 더 한국적인 가족의 공간이 낫지 않았을까. 하지만 이 넓은 공장에서 이들이 만나는 설정을 넣은 건, ‘비공식 여권’을 얻으려는 데이비드 정 가족의 요청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함이다. 어색한 한국어로 운송업을 하냐며 ‘밀수’를 얘기하는 레베카의 대사는 그냥 들어간 게 아니다.
<버터플라이>는 대니얼 대 킴이 제작하고 주연까지 맡은 작품으로 한국에서 올로케이션하는 파격적인 선택을 했다. ‘대구’, ‘부산’, ‘포항’ 같은 부제들만 봐도 <버터플라이>가 얼마나 한국을 진심으로 담으려 했는가가 느껴진다. 액션 스파이물이지만 제목과 그 공간에서 펼쳐지는 액션과 먹방(?)을 보면 외국인이 찍은 한국기행 같은 느낌이 들 정도다. 시작부터 노래방이 등장하고 서울의 지하철 곳곳이 추격전의 배경이 된다.
하지만 도슨 상원의원과 캐디스의 수장 주노가 만나 한 식당에서 부대찌개를 먹는 장면은 <버터플라이>가 한국문화를 보여주는 어색함을 잘 드러낸다. 굳이 ‘존슨탕’이라고 불렸던 부대찌개의 어원까지 설명하며 음식을 떠주는데 그들은 진정으로 부대찌개를 즐기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도슨은 한 숟갈 먹고 매운지 연거푸 물을 마시고, 주노는 아예 음식을 입에 대지도 않는다. 이럴 거면 굳이 두 사람이 부대찌개를 앞에 놓고 이야기를 나눌 필요가 있을까.
<버터플라이>는 의도적으로 한국의 음식이나 문화를 담으려는 노력을 보이지만 바로 그런 것들 때문에 오히려 어색해진다. 포항의 시장에서 데이비드 정과 레베카가 녹두전을 먹으며 불쇼를 하는 광경을 보는 장면도 그렇다. 녹두전에 불을 붙이는 게 자연스러운가. 2회에 등장한 휴게소 화장실에서 한글로 쓰인 ‘아기귀저기 교환대’라는 표지판은 <버터플라이>의 한국문화 고증과 검수에 대한 노력이 너무나 표피적이었다는 걸 잘 드러낸다.
물론 대니얼 대 킴의 한국에 대한 진심은 의심할 수 없겠으나, 작품에는 그것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은 느낌이 역력하다. 그래서 <버터플라이>는 데이비드 정과 레베카의 장면들보다 악역 킬러인 건(김지훈)의 모습이 더 인상적으로 보인다. 그의 모습들이 더 자연스럽게 느껴지고, 악역 연기나 액션 연기도 도드라져 보인다. 데이비드의 조력자 최영식(박해수)와 대결을 벌여 제거하는 장면이나, 일가족을 잔혹하게 죽이는 장면들도 폭발적인 긴장감과 에너지가 느껴진다.
<버터플라이>는 그래서 엉뚱하게도 악역으로 등장한 김지훈이라는 배우가 전 세계에 존재감을 드러내는 작품처럼 보인다. 그 많은 로케이션과 액션들이 한국을 배경으로 펼쳐지고, 갖가지 한국음식들이 등장하지만 거기에 한국적인 정서가 얹어져 자연스럽게 보이지 않아서 김태희나 성동일, 이일화 같은 베테랑 배우들조차 어색한 느낌이 든다. 다만 악역으로 한국적이면서도 글로벌한 느낌이 더해진 김지훈만이 이 작품 안에서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버터플라이>의 한국에 대한 선의는 진심이다. 하지만 그 진심이 실제로 보이기 위해서는 그만한 한국문화에 대한 고증과 검수가 필요하다. 실제로 글로벌 OTT 순위사이트인 플릭스 패트롤에서 아마존 프라임의 TV 시리즈 4위에 올라 있는 <버터플라이>의 전 세계 스트리밍 지도 분포를 보면 북미와 남미, 유럽, 아시아에 걸쳐 관심을 받고 있지만, 정작 한국은 별다른 관심이 없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도 한국을 로케이션하는 무수한 작품들이 나올 가능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버터플라이>의 시행착오는 그런 점에서는 의미가 없지는 않다. 그 시행착오를 통해 좀 더 진짜 한국을 담아내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런 시행착오가 고쳐지지 않으면 그건 자칫 한국문화를 전유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한국 로케이션에는 그에 따르는 한국문화 고증과 검수에 대한 투자가 따라야 그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진 : 아마존프라임 시리즈 '버터플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