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리부스 : 행복의 시대', AI 시대의 공포 꼬집는 블랙코미디

우리는 과연 진짜 행복한걸까.
애플TV+ <플루리부스:행복의 시대>는 이런 질문을 던지게 만드는 SF 판타지 블랙코미디다.
라틴어로 '플루리부스(Pluribus)'는 '다수로 이루어진 하나'라는 뜻이다.
이것은 SNS와 AI로 공유되고 연결된 현 시대의 우리들의 삶을 대변하는 말이다.
모든 게 연결되어 데이터를 공유하고 그래서 질문을 던지면 언제든 친절하고 공평하게 답을 주는 이 균질화된 세상.
그래서 똑같은 것들을 소비하고 경험하며 그 안에서 행복하다 말하며 살아가는 그런 삶을 말한다.
그런데 그건 과연 진짜 행복한 삶일까.
<브레이킹 배드> 빈스 길리건 감독과 제작진이 뭉친 이 작품의 상상력은 기발하고 담대하다.
어느 날 외계로부터 온 어떤 신호에서 비롯되어 모두의 생각들이 공유되는 세상이 도래한다.
그런데 모두가 변한 세상 속에서 예외적인 존재 캐럴(레아 시혼)은
이 이상한 세상과 대적하게 된다.
누군지도 모르는 이들이 나타나 자신의 이름을 부르고 원하는 건 뭐든 들어주며 행복하게 해주겠다고 하지만
캐럴은 그렇게 개인의 경계를 넘어 들어오는 저들이 불쾌하기 짝이 없다.

빈스 길리건 감독 특유의 블랙코미디적인 유머가 들어 있는 이 작품은
황당한 세상 앞에 경악하는 캐럴의 모습으로 웃음을 주면서도
그 세상이 은유하는 것이 바로 우리가 현재 마주하고 있는 AI 시대의 풍경이라는 걸 발견하게 만든다.
마치 나를 아는 듯한 '개인화 서비스'와
내 생각이 어디서든 데이터화되어 공유되고 활용되고 있는 AI 시대의 '연결'은
현재 우리에게 유토피아적인 행복을 줄것처럼 여겨지지만
이 작품에서 캐럴은 이 세상을 하나의 공포로 체험한다.
행복이 지상과제라도 되는 양 여기저기 행복해야 한다고 말하는 세상에
오히려 행복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역설과
저들이 전하는 행복이 사실은 고유의 경험에서 나오는 진짜 행복이 아니라
상품 소비의 매커니즘 아래 '동질화된 경험'이 만들어내는 가짜 행복이라는 사실을
이 작품은 캐럴이라는 냉소적이지만 냉철한 인물의 코미디를 통해 그려낸다.

좋은 작품은 좋은 문제의식에서 나온다고 하던가.
이제 2회만 공개됐지만, 벌써부터 명작의 기운이 솔솔 풍겨나는 작품이다.
완전히 다른 결의 작품이지만, 박해영 작가의 <나의 해방일지>가 떠오르는 작품이기도 하다.
미정(김지원)의 목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어디에 갇힌 건지 모르겠지만 뚫고 나가고 싶어요.
진짜로 행복해서 진짜로 좋았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아 이게 인생이지 이게 사는 거지 그런 말을 해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