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 원작의 영향일까, ‘슈츠’라는 법정물의 특이함

이 법정물은 확실히 특이하다. 지금 현재 다뤄지고 있는 요양병원 간호사 파업이라는 소재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가를 보면 KBS 수목드라마 <슈츠>가 지금껏 우리네 법정물이 그려내던 풍경과 얼마나 다른가를 확인할 수 있다. 

사회 정의에 대한 갈증이 그 어느 때보다 커져서인지, 법정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요즘 ‘파업’ 같은 소재에서 드라마가 손을 들어주는 건 대부분 노동자들이다. 사측이 하려는 인력감축에 맞서 오히려 인력을 확충해달라고 요구하는 간호사들의 이야기라면 응당 그 노동자들인 간호사들의 요구가 관철되는 과정을 담는 게 우리네 법정물들이 보여줬던 이야기의 방향성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슈츠>는 다르다. 물론 간호사들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 건 아니다. 그래서 고연우(박형식) 같은 인물이 그들의 목소리를 가까이서 듣고 어떤 합의안을 도출하려 애쓰는 모습이 그려진다. 고연우는 마침 그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할머니를 통해 그 곳의 간호사들이 인력이 부족해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또 이른바 ‘태움(영혼이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이라는 잘못된 문화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본래 타인에 대한 남다른 공감능력을 가진 고연우는 그래서 간호사들이 원하는 건 임금인상이 아니라 인원 확충이라는 걸 간파하고 이를 사측과의 협상안으로 내놓는다. 보통의 드라마라면 이런 고연우의 해결책이 관철되고 간호사들도 사측도 고개를 끄덕이는 결과로 끝나겠지만, <슈츠>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사측의 변호인일 수밖에 없는 강&함 로펌의 입장으로서 사측의 본래 목적이 인원 감축이었다는 사실을 들며 고연우의 협상안을 파기해버린다. 협상 테이블에 나타난 최강석(장동건)은 협상안 대신 파업 주동자들에 대한 해고통지를 알린다.

<슈츠>는 애초부터 파업 간호사들의 손을 들어주는 단순한 판타지를 그리기보다는 그 사건을 두고 강&함 로펌 내에서 벌어지게 된 권력 다툼에 더 초점을 맞춘다. 새로이 등장한 함기택 대표(김영호)가 최강석을 곤경에 빠뜨리기 위해 이 사건에 손을 댔고, 타인에 대한 남다른 공감 능력을 가진 고연우를 이용해 간호사들과의 협상안을 자신의 힘으로 만들어내려 했던 것. 결국 최강석을 물 먹이기 위해 고연우까지 이용한 것이었다.

하지만 최강석 역시 그저 당하기만 할 인물은 아니었다. 애초에 함기택이 고연우에게 손을 뻗칠 걸 이미 예상하고 있었던 것. 그래서 슬쩍 자신의 어쏘인 고연우 이야기를 흘림으로써 함기택이 그를 이용하게 만들었고, 그렇게 나오게 된 협상안이 사실은 병원측의 요구와는 상충된다는 사실을 들어 오히려 함기택을 몰아붙이려 했다는 것이다. 고연우는 그 중간에 끼여 이리저리 이용되는 인물이었을 뿐이었다. 

그렇다면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파업이라는 사건은 애초에 이 드라마가 그리려는 중심적인 이야기가 아니라는 게 드러난다. 그것 역시 어찌 보면 이 드라마가 진짜로 그리려는 강&함 로펌 내부의 권력 싸움을 본격화하기 위한 소재의 하나였을 뿐이라는 것이다. 고연우가 함기택과 최강석의 권력 싸움에 이용당했듯, 그 사건 케이스도 드라마가 담으려는 갈등구조에 이용됐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이런 선택은 최근 그 많은 법정물들이 저마다의 사회 정의에 대한 갈증을 판타지로 풀어내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놀랍고 과감한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런 선택은 미드 원작이라는 우리와는 조금 다른 쿨한 드라마 정서가 작용한 것일 게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이 드라마를 특별하게 만드는 건 로펌 내에서 벌어지는 권력 싸움이라는 새로운 이야기를 녹여내기 위한 과감한 선택이라는 점이다. 막연한 판타지보다는 보다 현실적인 이전투구의 장을 보여주는 <슈츠>는 확실히 특이한 면이 있다.(사진:KBS)

‘어서와’의 한국체험이 보여주는 문화공유의 가치

“너희들에게 내가 태어난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해 설명하기엔 항상 말로는 부족했어. 하지만 지금은 너희들이 한국을 겪어봤고 나에 대해 더 잘 이해 할 수 있게 되어 기뻐.” MBC 에브리원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서 3박4일 간의 여행을 마무리하는 시점, 장민은 스페인에서 온 친구들에게 그렇게 말했다. 그 한 마디에는 그저 만나서 즐겁고, 또 함께 웃고 떠들고 했던 시간들이 그저 보통의 여행이라고 말하기에는 부족한 더 큰 의미가 담겨있었다. 그것은 문화를 공유함으로써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 시간들이었다. 

마지막 날 캠핑장에서 촉촉하게 내리던 빗속에서 만들어먹은 ‘불닭게티’. 짜장라면에 매운라면 스프를 섞어 만든 그 맛은 그 공간과 시간 그리고 함께한 사람들이 있어 우리가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그 맛과는 또 달랐을 게다. 김준현이 그 장면을 보며 말했듯, 음식은 TPO(시간, 장소, 상황)에 따라 그 맛의 느낌이 달라진다. 그러니 만일 장민이 이런 경험을 해보지 않은 스페인친구들에게 ‘붉닭게티’를 설명하면 과연 그들은 그걸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그건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러니 캠핑장에서 이들이 비 오는 날 함께 끓여먹은 라면 한 그릇의 의미는 완전히 달라진다. 그들은 어쩌면 두고두고 그 이야기를 나누며 그 시간의 추억들을 공유할 것이니 말이다.

마지막 날 이들이 함께 찾은 찜질방 체험도 마찬가지다. 찜질방에서 식혜와 구운 달걀, 바나나우유를 먹어보는 체험이나, 마치 빵 굽는 화덕 같은 한증막에 들어가서 땀을 뻘뻘 흘렸던 경험 그리고 그렇게 땀을 빼고 나서 먹는 팥빙수의 환상적인 맛 같은 걸 어떻게 말로 설명해서 이해시킬 수 있을까. 그건 함께 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체험들이다. 

문화라는 것은 결국 이처럼 멀리서 바라보면 그 실체를 마주하기가 쉽지 않다. 즉 스페인 친구들이 찜질방 목욕탕에 들어가서 토로했던 문화충격이 그렇다. 아무런 스스럼없이 옷을 벗고 다니는 것에 대해 이들은 몹시 낯설어 했고, 특히 때밀이 문화는 충격적으로까지 다가왔다. 위아래 할 것 없이 때를 밀어주는 그 행위 자체가 놀라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직접 경험한 스페인친구들은 이제 때밀이 문화를 어느 정도는 이해하는 눈치였다. 처음엔 당혹스러웠지만 차츰 기분 좋은 느낌을 공유할 수 있었으니 말이다.

이들이 찾아간 노래방 역시 상상 그 이상의 흥겨운 시간들을 경험하게 해줬다. 창밖이 환히 보이는 노래방에서 아버지가 즐겨 불렀다는 김태곤의 ‘망부석’을 장민이 부르고, 그 알 수 없는 가사에도 불구하고 친구들이 호응을 맞춰 코러스까지 하는 모습은 이색적이었다. 흥이 가득했던 노래방에서의 시간들 역시 이들은 이제 공유된 문화체험의 기억으로 간직될 것이었다. 

헤어지는 시간은 늘 아쉽지만, 그 3박4일 간의 경험은 이들은 이전보다 더 끈끈하게 묶어 놓았다. “이제는 네가 삼겹살 먹는다고 하면 어디에서 먹고 있겠구나 하고 생각할 수 있게 됐어. 그래서 더 그리울 거야.” 네프탈린이 한 이 말처럼 이들은 이제 떨어져 있어도 훨씬 가깝게 서로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이만큼 ‘문화 체험’이 갖는 가치를 잘 드러내는 일이 있을까.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가 시즌2에 와서도 여전히 외국인 친구들의 한국 체험에서 어떤 훈훈함을 느끼게 되는 건 그 ‘문화 공유’가 주는 특별함 때문이다.(사진:MBC에브리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