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뉴하트’, 세 가지 심장 살릴까

728x90

흉부외과, 사랑, 휴머니즘의 심장

‘외과의사 봉달희’에 이어 또다시 흉부외과가 소재가 된 ‘뉴하트’. 왜 의학드라마에는 흉부외과가 단골로 등장할까. 그 이유는 병원에서 흉부외과가 차지하는 특별한 위치 때문일 것이다. 생사가 왔다갔다하는 긴박한 분야로서 가장 병원에 근접한 과이면서도, 실상 현실은 대부분의 의사들에게 외면 받는 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흉부외과만의 특징은 드라마의 극적 스토리 전개에 있어서 좋은 소재가 된다.

하지만 이것은 비단 흉부외과만이 아닌 일반외과(물론 성형외과 같은 분야가 아닌)에 대부분 해당되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왜 굳이 흉부외과일까. 그것은 흉부외과가 여러 의미로 포착되는 심장을 다루기 때문이다. 그것은 물리적인 의미로서의 심장, 즉 흉부외과라는 전문직과, 예로부터 남녀간의 사랑으로 상징되던 하트(♡), 그리고 휴머니즘으로서의 따뜻함을 상징하는 심장을 말한다.

첫 번째 심장, 흉부외과라는 전문직
새로 시작한 의학드라마 ‘뉴하트’가 그리고 있는 것은 바로 우리네 기초의학이 처한 자화상이다. 최강국(조재현)은 최고의 흉부외과의지만 그가 맡고 있는 흉부외과는 이른바 ‘꼴찌 수용소’다. 공부 잘하는 친구들은 대부분 좀더 편하고 좀더 돈벌이가 될 수 있는 과로 가기 때문에 흉부외과처럼 고되고 힘겨운 과에는 아무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실의 의료계를 거의 그대로 반영한다. 드라마 상에서는 외과와 내과의 선택 사이에서 남혜석(김민정)이 갈등하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외과를 전공하고서도 성형외과나 정형외과(그 중에서도 관절 클리닉 같은) 혹은 남성클리닉이나 대장항문과처럼 비보험이 적용되는 분야로 개업을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서 항간에는 진짜 실력 있는 외과의들은 대부분 개업의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을 정도다. 따라서 ‘뉴하트’가 포착하는 심장은 그것을 다루는 우리네 흉부외과 의사들의 현실이다.

그렇다면 디테일은 어떨까. ‘뉴하트’가 그리고 있는 흉부외과의 풍경은 실제와는 다르다. 드라마이기 때문에 극적 구성을 위해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의사 가운을 입은 채 술집을 전전한다거나, 레지던트 1년 차가 자리를 번번이 비우고 찜질방에 간다거나, 협진 체제로 운영되는 내과와 외과가 지나치게 경쟁적으로 그려진다거나 하는 것들은 실제 현실과는 거리가 있다. 또한 지나치게 최강국(조재현)에 집중하다보니 의사는 최강국 하나만 있는 것처럼 되어버리는 상황도 현실과는 동떨어진 이야기다. 그나마 미덕으로 꼽히는 것은 적어도 이 드라마가 우리네 사회 속에서 흉부외과의들이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는 하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심장, 멜로 드라마로서의 사랑(♡)
전문직을 다루는 장르 드라마들 속에서 멜로 구도는 늘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꼭 그렇게만 볼 것은 아니다. ‘외과의사 봉달희’의 작가가 밝혔듯이 병원에서 의사들간의 사랑과 연애는 실제로도 공공연한 것이니까. 문제는 멜로 구도 속에서 전문직이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다. 그리고 이러한 우려는 종종 현실로 나타난다. 장르 드라마들이 추구해나가는 드라마의 긴장감은 멜로가 끼여들면서 자칫 흐트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뉴하트’의 멜로는 이은성(지성)과 남혜석(김민정)의 라인을 중심으로 이동권(이지훈)이 포진하면서 삼각 구도를 이룬다. 멜로 드라마로만 보면 싱거운 구도이다. 남혜석이 이은성과 이동권 사이에서 갈등하는 전형적 구도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전형성은 어쩌면 전문직과의 봉합에서 필요한 부분일지도 모른다. 과도한 멜로 구도의 복잡성은 의학드라마의 본질을 흐릴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은성과 남혜석의 러브라인은 너무 익숙하다. ‘외과의사 봉달희’에서 보았던 것처럼 까칠한 남혜석과 착한 이은성은 버럭범수 안중근과 착한 봉달희의 캐릭터를 뒤집어 놓은 것처럼 보인다. 의사의 인간적인 모습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호감을 얻고 있는 멜로의 과정 또한 유사하다.

게다가 여기에 삼각 구도로서 등장시킨 이동권이란 캐릭터는 좀 어색하게 느껴진다. 일회성의 이벤트적인 스토리로 끝났으면 좋았을 이 캐릭터의 활용이 계속 이어지는 것은 궁극적으로 이은성과 남혜석의 멜로를 구축하기 위한 안일한 선택으로만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너무 급격한 멜로 구도가 만들어지면서 남혜석의 캐릭터 또한 너무 극과 극의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 심장, 휴머니즘
우리네 현실에서 의사들이 처한 상황은 꿈으로부터의 도피거나, 꿈속으로의 추락이다. 물론 애초부터 돈벌이나 사회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의사의 길을 선택한 자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할 때만이라도 그들의 심장은 뛰었을 것이 틀림없다. 의사란 직업은 다름 아닌 ‘사람을 살리는 숭고한 일’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 부분은 한 인간으로서의 의사가 생명을 두고 벌이는 휴머니즘의 등장을 가능케 한다.

‘뉴하트’가 보여주는 휴머니즘은 주로 이은성, 최강국과 환자들 간의 이야기에 의해 구축된다. 최강국은 아버지가 의사면허증을 빼앗기고 쫓겨난 것에 대한 울분을 떨치지 못하면서 그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욕망에 사로잡히지만, 그 스스로도 밝히듯 ‘사람 살리는 의사’라는 직업 앞에서 욕망조차 무색해진다. 최강국은 오로지 환자만을 생각하는 이은성을 ‘꼴통’이라 부르지만 그 자신도 그 범주의 의사라는 것을 부인하지 못한다. 이 둘의 돈키호테 같은 휴머니즘을 바라보면서 점차 차가운 심장을 녹여 가는 남혜석은 시청자의 감정이입을 원활하게 만든다.

‘의사는 기술자가 아니다’, ‘환자만 있을 뿐이지 VIP는 없다’, ‘의사는 머리로만 되는 게 아니다’ 같은 말들은 의사라는 전문직종에서 휴머니즘을 끌어내는 과정에서 등장한다. 이러한 주제의식은 물론 좋은 것이지만 그것을 구현해나가는 드라마의 에피소드들은 어떨까. 에이즈 모티브나 강간범 환자 이야기, 외도하는 의사, 바른 소리했다가 쫓겨나는 의사 같은 것들은 이미 ‘외과의사 봉달희’나 ‘하얀거탑’을 통해 익숙해진 에피소드다.

정신대 할머니의 에피소드는 그 자체로 괜찮은 소재이지만 쑥국에 대한 이야기는 ‘식객’을 떠올리게 만든다. 열심히 일하는 의사들의 모습 자체에서 자연스럽게 휴머니즘이 발현되어야 하지만, ‘뉴하트’의 휴머니티는 극적으로 짜여진 연출로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장르화된 의학드라마의 한 전형을 걷고 있다는 말이다.

세 심장의 봉합, 성공하려면
‘뉴하트’는 흉부외과와 사랑, 그리고 휴머니즘이라는 세 가지 심장의 의미를 봉합하려 하고 있다. 제목인 ‘뉴하트’에서 유추해보면 이 드라마는 새로운 의학드라마, 새로운 멜로드라마 그리고 새로운 휴먼드라마를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시도들이 새로운 것인지는 의문이다.

심혈관센터장 자리를 놓고 최강국(조재현)과 민영규(정호근)가 벌이는 대결구도는 ‘하얀거탑’의 권력다툼을 연상케 하고, 인간으로서의 의사라는 측면을 부각시키면서 휴머니즘과 멜로를 봉합하려는 것은 ‘외과의사 봉달희’를 닮았다. 따라서 ‘뉴하트’가 지향하는 새로움이란 이러한 의학드라마라는 장르의 전통들을 한 군데 엮어 놓았다는 것을 빼곤 그다지 발견하기가 어렵다. 이것은 캐릭터들의 전형성을 통해 드러난다. 등장인물들은 새로운 캐릭터라기보다는 의학드라마 어디선가 보았던 익숙함을 갖고 있다.

‘뉴하트’가 의학드라마의 ‘새 심장’이 되려면 장르 전통들을 꿰고 있는 것만큼 이 드라마만의 차별성이 필요하다. 장면 전환에 사용되는 9개로 나뉘어진 분할화면이 새롭다기보다는 그저 이 드라마가 가진 복잡한 상황을 말해주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그 전체를 아우르는 ‘뉴하트’만의 독특함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의학드라마는 분명 그 자체만으로도 기본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어필하는 면이 있다. 하지만 ‘뉴하트’에 그저 장르적인 재미 그 이상을 요구하게 되는 것은 이제 우리네 의학드라마도 어떤 전통을 갖춰가고 있으며, 따라서 조금씩 진화되는 모습을 기대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