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왕세자는 왜 하필 옥탑방에 떨어졌을까

728x90

전근대와 현대의 만남, '옥탑방 왕세자'

 

조선의 왕세자는 어째서 옥탑방에 떨어졌을까. '옥탑방 왕세자'는 이른바 '타임슬립'이라는 시간을 뛰어넘는 장르적 장치를 활용한 드라마다. 조선시대의 왕세자 이각(박유천)은 그의 신하들과 함께 자객들에게 쫓기던 중, 갑자기 시간을 뛰어넘어 현대의 박하(한지민)가 살고 있는 옥탑방으로 떨어진다. 과거에, 그것도 왕세자로 살던 인물이 현대로 왔으니 그 낯선 환경 속에서 하는 일거수일투족이 코미디가 될 수밖에 없다. 왕세자의 말투도 우스울뿐더러, 그를 모시는 신하들의 충성스런 행동거지도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다. 그들이 겪는 현대의 서울 체험은 그 자체로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식의 유머에 닿아있다.

 

 

'옥탑방 왕세자'(사진출처:SBS)

드라마 초반부에 '개콘'보다 웃긴 드라마라는 닉네임이 붙더니, 차츰 복잡하게 얽히는 멜로가 시작된다. 이각은 박하 사이에 자신도 모르게 생겨나는 감정과 함께, 현대에 환생했다고 믿는 빈궁 홍세나(정유미)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홍세나가 목적을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는 용태무(이태성)와 연인 사이라는 점은 이 4각 관계를 복잡하게 하지만, 그렇다고 훗날 누가 누구와 연결될 것인가 하는 구도가 불명확한 건 아니다. 드라마가 이각과 박하를 선으로, 홍세나와 용태무를 악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피엔딩을 그릴 것이라면(코미디 장르에서 비극을 그리기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이각과 박하가 서로 마음을 열게 될 것이라는 점은 명확해 보인다.

 

이 드라마는 겉으로 보면 그 코믹함과 선명한 멜로 때문에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겉모습을 한 꺼풀 벗겨내 놓고 보면 그 안에 담겨진 흥미로운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다시 왜 조선의 왕세자가 현대의 옥탑방에 떨어졌는가 하는 질문으로 돌아온다. 조선이라는 전근대적인 상황은 현대와 만나면서 그 자체가 코미디가 되고 있다는 걸 드라마는 보여준다. 길거리에서 "전하-"하고 외치고, 치렁치렁한 머리를 자를 바엔 차라리 목을 자르겠다고 고집하는 모습은 전근대적인 주종관계를 코미디로 포착해낸다. 따라서 이 코미디는 그 자체로 이 전근대적 관계(이게 어디 조선시대만의 모습일까. 현대에도 자본부의가 만들어낸 돈의 위계질서가 있다)를 풍자함으로써 뛰어넘으려는 의도를 담게 된다.

 

그렇다면 전근대를 뛰어넘어 합리적이며 쿨하다는 현대는 어떨까. 박하가 살아가는 현대의 모습 역시 비상식적인 것은 마찬가지다. 전근대를 뛰어넘는 근대화가 가져온 합리성은 돈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집단과 신분에 예속되던 개인이 자유를 얻을 수 있게 되었지만, 그것은 또한 많은 것을 희생하게 했다. 즉 인간과 인간 사이의 끈끈한 관계 같은 좋은 가치가 돈을 매개로 하면서 사라지게 됐던 것. 용태무와 홍세나는 이 근대의 합리성이 가져온 폐해를 고스란히 드러내는 캐릭터들이다. 그들은 욕망을 위해 친구를 죽게 하고 심지어 위험에 놓인 부모와 형제를 외면한다.

 

옥탑방에 왕세자가 떨어진 이유는 이 전근대와 현대의 가치를 동시대에 놓고 바라보려는 의도에서 생겨난 것이다. 사실 전근대라고 해서 반드시 버려야할 가치도 아니고 그렇다고 현대라고 해서 반드시 나은 가치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전근대든 현대든 좋은 가치를 가져가고 나쁜 가치는 버리는 작업이다. 그런 점에서 옥탑방에 떨어진 왕세자 이각은 절묘한 위치에 서 있는 캐릭터다. 그는 서민들의 삶을 체험하면서 차츰 전근대적인 주종관계의 부조리를 이해하게 되고, 또 한 편으로는 돈에 매몰되어 있는 현대인들을 측은하게 바라본다.

 

'옥탑방 왕세자'는 그래서 현재가 과거를 몰아내는 식의 혁명을 꿈꾸는 드라마가 아니다. 다만 현재와 과거가 만나 서로 화해하고 잘못된 것들은 밀어내고 잘된 것들은 끌어안는 그런 드라마다. 물론 타임슬립이라는 장르적 장치를 활용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웃기고 울리는 이 코미디 같은 드라마가 때론 마음 한 구석을 훈훈하게 만들고 있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왕세자가 옥탑방으로 떨어져 현대의 서민들의 삶과 욕망을 겪고 바라본다는 점, 이 전근대와 현대가 만나는 지점이 이 드라마가 가진 독특한 재미를 주지만, 그것이 또한 갖는 의미도 깊다는 것을 한번쯤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