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
슬픈 정글과 <총,균,쇠> 그리고 카메라새글들/책으로 세상보기 2013. 3. 15. 15:43
정글은 왜 점점 슬퍼지는가 30년 전 한 사내가 뉴기니의 해변을 걷다가 얄리라는 남자를 만났다. 그는 이 사내에게 이렇게 물었다. “왜 백인들은 짐이 많은데 우리 뉴기니인들은 짐이 적은 걸까요?” 뉴기니에서 짐이라는 단어는 재산이라는 뜻이다. 이 뉴기니인 얄리의 질문은 지극히 단순해 보였고 쉽게 답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됐다. 하지만 이 사내는 그 질문에 쉽게 답하지 못했다. 그 질문은 사실 같은 지구에 살면서도 왜 누구는 부자로 살게 됐고 또 누구는 가난하게 살게 됐는가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이 담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내는 그 답을 찾기 시작했다. 그렇게 30년이 흘렀고 그 해답은 라는 방대한 분량의 책으로 쓰여졌다. 이 사내의 이름은 재레드 다이아몬드였다. 그는 이 책으로 1998년 퓰리처상..
-
저게 정녕 아이의 연기란 말인가새글들/책으로 세상보기 2011. 10. 14. 09:55
아이들이 타고난 연기자라는 건 아이를 키워본 부모라면 누구나 아는 일일 게다. 원하는 걸 안 해줘서 눈에서는 눈물 한 방울 나오지 않는데 정말 슬프게 우는 아이에게 "연기하지 마!"라고 말했다는 부모의 얘기는 실로 농담이 아니다. 아이들의 표정연기는 리얼 그 자체다. 심지어는 자기 자신까지도 속일 정도니까. 우는 연기를 하다가 진짜 울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물론 가짜로 웃다가 진짜 웃음이 멈추지 않아 배가 아플 정도로 웃는 건 예삿일이다. 이 정도의 몰입이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명품 연기(?)'를 해낼 수 있는 기초가 잡힌 셈이다. 물론 표현력에 한계가 있겠지만, 이것이 적어도 요즘 아역들에게서 쉽게 '발연기'를 발견하기 힘든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생활 속에서의 연기와 카메라 앞에서의 연기는 ..